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 네이버책
  • 알라딘
  • 교보문고
"고대중국"(으)로 241개의 도서가 검색 되었습니다.
고대중국어 (한문학습의 길잡이)

고대중국어 (한문학습의 길잡이)

궈시량, 탕쭤판, 허주잉, 장사오위, 톈루이쥐안  | 역락
27,000원  | 20160127  | 9791156862758
『고대중국어』는 중문학과나 한문학과 등 고대중국어 문헌을 다루는 전공자들이 먼저 읽어야 할 책이면서, 동시에 한문을 심도 있게 배우고자 하는 학습자에게 도움이 되는 기본도서이다. 원서에서 ‘상식’으로서 다룬 부분이지만 우리 입장에서는 상식보다는 좀 더 높은 수준의 지식을 담고 있다.
고대 중국학 담론

고대 중국학 담론

김만원  | 역락
36,000원  | 20230608  | 9791167425492
이 책은 ‘일반인들이 평소 그냥 지나치기 쉬운 고대 중국학에 관한 궁금증이나 의문점에 대해 답변을 제시할 수 있다면 어떠할까?’ 하는 의도로 집필되었다. 이 책은 저자가 그동안 여러 주석서를 출간하면서 나름대로 체득한 지식과 논리를 바탕으로, 이러한 의구심에 답하고자 시도한 결과물이다. 이를테면 고급 과일인 ‘석류石榴’라는 말에서 앞에 ‘돌 석石’자가 왜 붙어 있을까? 불교 용어인 ‘관세음보살觀世音菩薩’이 ‘관음보살’이란 말로 줄어들면서 ‘세상 세世’자는 왜 탈락한 것일까? 절세미인을 비유하는 고사성어인 ‘경국지색傾國之色’이란 말의 의미를 ‘나라를 망하게 할 정도로 빼어난 미녀’라고 해석하면 안 되는 이유가 무엇일까? 등등이 그러한 예에 해당한다. 이 책을 읽다 보면 이러한 궁금증을 대부분 해소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따라서 고대 중국학과 관련하여 작년에 출간한 ≪고대 중국의 이해≫가 총론적 성격의 저술이라면, 이 책 ≪고대 중국학 담론≫은 각론적 성격의 저서라고 구분지어 말할 수 있을 듯하다.
고대중국어 통론

고대중국어 통론

쟝리훙, 런밍싼  | 역락
54,000원  | 20230601  | 9791167424372
이 책은 중국의 저명한 언어학자이자 돈황(敦煌)학자인 쟝리훙(蔣禮鴻)교수와 런밍싼(任銘善)교수의 공동 저서인 고대중국어통론(古漢語通論)을 번역한 것이다. 원서는 2016년 중국 저쟝(浙江)대학교 출판사에서 발행되었다. 이 원서는 쟝리훙 교수의 제자들이 편찬한 총 8권으로 구성된 「쟝리훙전집(蔣禮鴻全集)」 중의 한 권으로서 1984년에 출판된 「고대중국어통론(古漢語通論)」을 재출판한 것이다. 이 저서는 총 20장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고대중국어의 기본적이며 상식적인 지식들이 모두 망라되어 있다. 조금 자세히 보자면 일반론(1장), 문자(2장), 훈고(3, 4장), 문법(5-13장), 음운(14-17장), 수사(18장), 문헌(19-20장) 등으로 구성되어, 고대중국어와 관련한 전반적인 부분이 이른 바 ‘통론’의 역할에 충실함을 알 수 있다. 앞에서 기본적인 ‘상식’이라 칭하였지만 상식이라고 하기에는 매우 전문적이며 통찰을 불러일으킬 수 있는 내용으로 구성되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고대중국어(古漢語)’는 한국에서는 한문(漢文)으로 더 잘 알려져 있다. 그럼에도 이 책에서 ‘고대중국어’라는 제목을 쓴 이유는 이 책에서도 밝힌 것과 같이 중국어의 발전 선상에 있어 연속성을 내포하고 있는 의미로 쓴 것이기 때문이다. 즉 고대중국어는 현대중국어의 모태가 되면서 동일점과 차이점을 위주로 바라보는 것을 가리킬 때 쓰는 것이다. 이러한 점에 착안한다면 “현대중국어를 근거로 하여 고대중국어를 유추하여 인식할 수 있다.”고 한 본서에서의 설명은 충분한 타당성을 얻게 된다.
고대 중국의 이해

고대 중국의 이해

김만원  | 역락
16,200원  | 20220826  | 9791167424020
이 책은 고대 중국의 정치, 경제, 사회, 문화, 예술, 종교, 과학 등 다방면에 걸친 기본적인 지식과 정보에 관하여, 중국학을 전공하는 학자들은 물론 일반 독자들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기술한 일종의 안내서이다. 저자는 중국의 고전과 관련하여 폭넓은 지식과 다양한 정보에 관한 자료를 체계적으로 구축하고자 하는 마음에, 다음과 같은 4종의 총서 역주서를 세상에 선보인 적이 있다. 중국고전총서1 고사편 : ≪산당사고 역주≫ 20책(2014) 중국고전총서2 어휘편 : ≪사물기원 역주≫ 2책(2015) 중국고전총서3 인물편 : ≪씨족대전 역주≫ 4책(2016) 중국고전총서4 도서편 : ≪사고전서간명목록 역주≫ 4책(2017) 이상 4종의 총서를 발간한 뒤로는 이를 바탕으로 고문헌에 대해 보다 깊이 있는 탐구를 시도해 보고자 하는 욕심에, 고대 중국의 전장제도와 문화에 관한 고증학적 저서들과 관련하여, 후한 반고班固의 ≪백호통의白虎通義 역주≫(2018), 후한 채옹蔡邕의 ≪독단獨斷 역주≫ㆍ진晉나라 최표崔豹의 ≪고금주古今注 역주≫ㆍ후당後唐 마호馬縞의 ≪중화고금주中華古今注 역주≫(합본 2019), 남조南朝 양梁나라 원제元帝의 ≪금루자金樓子 역주≫(2020), 당唐나라 소악蘇鶚의 ≪소씨연의蘇氏演義 역주≫ㆍ이부李涪의 ≪간오刊誤 역주≫ㆍ이광예李匡乂의 ≪자가집資暇集 역주≫(합본 2021) 등, 2종의 독립 역주서와 2종의 합본 역주서를 덧붙여 출간하였다. 저자는 이러한 작업을 하면서 언젠가 이를 기반으로 일반 독자들도 고대 중국학에 관해 보다 손쉽게 다가설 수 있도록 도움을 받을 수 있는 지침서를 저술해 보고자 하는 의도를 품게 되었다. 이 책 ‘고대 중국의 이해’는 그러한 의도에서 작업한 결과물이다. 다시 말해서 이 책은 고대 중국의 정치ㆍ경제ㆍ사회ㆍ문화ㆍ예술ㆍ종교ㆍ과학 등 다방면에 걸친 기본적인 지식과 정보에 관하여, 중국학을 전공하는 학자들은 물론 일반 독자들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기술한 일종의 안내서이다. 저자는 강의 시간에 학생들에게 ‘현대인의 상식이나 과학적 지식에 기반했을 때 중국 고문헌에 등장하는 내용 가운데 상당 부분은 신빙성이 없지만, 중요한 것은 그 속에 담겨 있는 고대 중국인들의 사유체계를 이해하고, 어떠한 논리적 인과관계가 숨어 있는지를 간파해 내는 것’이라는 말을 되풀이해서 강조하곤 한다. 왜냐하면 실제로 고대 중국인들의 서술 가운데 사실에 반하는, 다시 말해서 상상력에 의한 창작물들이 이루 헤아릴 수 없을 정도로 많기 때문이다. 그러나 필자가 보기에 상식적이고 과학적인 사실 여부는 그다지 중요하지 않다고 생각한다. 핵심적인 것은 그들의 사유체계를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 하는 것이다. 이 책은 비록 여러 고문헌에서 단편적이고 산재된 기록들을 발췌하고 종합하여 기술한 데다가, 전적으로 필자 개인의 견해에 근거한 것이기에 체례가 산만하고 논거가 미약할 수 있지만, 중국의 고전을 읽거나 대중매체에서 제공하는 중국 관련 프로그램을 접하면서 직면하게 되는, 여러 정보들에 대한 궁금증을 해소하는 데 적잖이 도움을 받을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다만 이 책에서 기재한 원문들 가운데는 원전이 아니라 타 문헌에서 인용된 것을 다시 재인용한 것들이 있는데, 문맥을 이해하는 데 지장이 없으면 일일이 원전과의 대조 작업을 거치지 않았다는 점을 밝힌다.
고대 중국의 제왕

고대 중국의 제왕

구성희  | 신서원
13,500원  | 20110131  | 9788979401271
『고대 중국의 제왕』은 주 무왕에서 유비에 이르기까지 18인 고대 중국 제왕들이 펼치는 용인의 역사를 인물 그림과 함께 편안한 문체로 구성한 책이다. 저마다 각자의 특징과 원칙으로 인재를 활용하여 제왕의 칭호를 얻은 이들의 이야기가 흥미진진하게 펼쳐진다.
고대 중국의 명학

고대 중국의 명학

정재현  | 서강대학교출판부
12,350원  | 20121220  | 9788972732198
인문·사회과학의 여러 분야에 걸쳐 지혜의 등불을 밝히는 서강대학교 출판부의 「서강학술총서」 제47권 『고대 중국의 명학』. 후기묵가·혜시·공손룡 등 이른바 궤변가의 사상을 다루었다. 후기묵가의 저작인 《묵경》을 포함한 고대 중국의 명학에 대한 현재의 이해를 반영하고 있다.
한자와 고대중국어

한자와 고대중국어

조은정, 허철  | 역락
9,000원  | 20240228  | 9791167427168
한자와 고대중국어 고대중국어는 고대의 중국인들이 사용했던 언어입니다. 그언어가 고대 문헌에 한자로 기록되어 있고 우리는 그 한자를 보고 당시의 언어를 파악합니다. 고대 중국인들의 언어는 현대의 언어보다 짧고 함축적입니다. 소위 고문이라 불리는 『논어』나 『맹자』 원서와 이의 현대 중국어 번역, 한국어 번역서를 비교해 보면 책 두께에서부터 다릅니다. 원서가 가장 얇고 그 다음 현대중국어, 그 다음 한국어 순으로 책이 두꺼워집니다. 동일한 개념을 표현하는데 어떤 언어는 어째서 짧게 표현하고 어떤 언어는 어째서 길게 표현할까 요? 짧고 단순해 보이는 고대중국어에는 어떤 비밀이 숨겨져 있을까요? 이 책에는 한자와 고대중국어에 대한 기초적인 이야기가 실려 있습니다.
다시 한번, 고대 중국철학

다시 한번, 고대 중국철학

김철신  | 동과서
17,100원  | 20241227  | 9788965251668
오래된 텍스트라 치부하기에는, 여전히 우리 삶을 뒤흔드는 강력한 지혜가 있다. 지금, 다시 한번, 고대 중국철학.   30년간 고대 중국철학을 연구하고 가르쳐온 김철신 교수가 오랜 강단 경험을 바탕으로 복잡하고 낯설게만 느껴지던 고대 중국철학을 친절한 언어로 풀어낸 책을 펴냈다. 공자, 맹자, 순자, 노자, 장자 등 위대한 철학자들의 이름은 익숙하지만, 정작 그들의 사상을 이해하기는 쉽지 않다. 한자로 된 개념어와 철학 용어는 어렵게만 느껴지고, 이는 고대 철학과 독자 사이에 높은 진입장벽을 형성해왔다. 《다시 한번, 고대 중국철학》은 철학적 배경이 없는 독자들도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철학이란 무엇인지부터 차근차근 설명하며 이야기를 시작한다. 철학이라는 학문이 왜 탄생했는지, 철학적 사고란 무엇인지, 그리고 철학이 다른 학문들과 어떻게 다른지에 대해 간결하면서도 흥미롭게 풀어내, 철학적 사고의 틀을 잡아준다. 이와 더불어 주역의 ‘둔괘’와 공자의 ‘중용’를 통해 오늘날의 복잡하고 불확실한 세상 속에서도 여전히 의미 있는 통찰을 소개하고, 고대 중국철학을 대표하는 논쟁을 통해 독자에게 새로운 시각을 제시한다. 이 책을 통해 독자들은 철학의 근본적 질문과 해답이 개인의 사고와 삶에 새로운 방향을 제시할 수 있음을 경험하게 될 것이다.
고대중국어 문법론

고대중국어 문법론

메이광  | 한국문화사
40,850원  | 20201110  | 9788968179365
본서의 저자인 메이광(梅廣) 교수는 언어학이론, 특히 형식문법 연구에 오랫동안 종사했고 고대중국어와 현대중국어뿐만 아니라 중국 소수민족 언어에까지 언어학 이론을 적용, 연구해왔다. 미국 하버드대학에서 언어학 박사학위를 취득한 후 홍콩 중문대학 New Asia College(新亞書院) 중문과 재직, 국립타이완대학 중문과 교수, 타이완 국립칭화대학 중국어문학과 교수와 학과장, 동 대학 언어학연구소 교수를 역임하였다. 현재는 타이완 칭화대학의 ‘석좌교수(講座敎授)’이자 동 대학 언어학연구소의 명예교수이다. 그 외에도 미국의 일리노이대학과 콜비대학(메인주), 중국 대륙의 베이징대학과 칭화대학, 한국의 서울대학교와 고려대학교 등지에서 강연한 바 있고, 미국의 하버드대학과 MIT대학, 네덜란드의 레이던대학 등지에서 방문학자를 지낸 바 있다. 중국어어법, 소수민족언어 연구에 종사했으며 1980년대 타이완 중남부 산간지역, 1990년대 중국 대륙 윈난성 서북 변경지역에서 소수민족언어를 조사하였다.
고대중국어 어법론

고대중국어 어법론

리쭤펑  | 역락
36,000원  | 20181228  | 9791162443538
이 책은 고대 중국어 어법을 배울 수 있다. 어법기초, 문형, 문장의 종류 등으로 구성했다.
고대중국 철학사상

고대중국 철학사상

송영배  | 성균관대학교동아시아학술원
22,500원  | 20141031  | 9791155500880
『고대중국 철학사상』은 저자가 30여 년 간 발표했던 논문을 엮은 것으로, 선진시기의 철학 사상, 한漢나라 초기의 동중서董仲舒의 철학사상 등이 수록되어 있다. 크게 9장으로 나뉘어 있으며 공자의 '인사상과 사회윤리론', '묵가학파의 진보주의적 철학', '양주학파의 개인주의적 철학' 등을 수록하고 있다.
고대 중국의 제왕학 (동양의 인간학)

고대 중국의 제왕학 (동양의 인간학)

장기근  | 명문당
9,000원  | 20060930  | 9788972708339
중국의 신화나 전설 속에는 인본주의적 덕치의식이 담겨져 있다. 삼황 오제를 무위자연의 도덕정치를 실천하고 아울러 존엄한 임금 자리를 덕 있는 사람에게 선양한 위한 성왕으로 높이고 있다. 이러한 정신은 유교의 '왕도 덕치사상'으로 승화되었다....
고대중국의 이해 2

고대중국의 이해 2

서울대학교동양사학연구실  | 지식산업사
13,500원  | 19951201  | 9788942320226
중국 고대사 분야 연구를 활성화하고 발전시키기 위해 서울대학교 동양사학연구실에서 펴낸 논문집. 각 분야의 학자들이 "가설은 대담하게 고증은 세심하게"를 좌우명으로 삼아, 각자의 전공 분야를 연구해온 결과를 모은 책이다. 저자들은 어떤 특정한 주제를 가진 접근하기보다 고대 중국의 문명 문화 사상의 전반적인 모습을 그리고 있다.
고대 중국의 인간상 (한글판 동양의 인간학)

고대 중국의 인간상 (한글판 동양의 인간학)

장기근  | 명문당
13,500원  | 20060330  | 9788972708063
「삼황오제의 신화」나 「하ㆍ은ㆍ주 삼대의 이야기」는 다 수천 년 전부터 전하는 「신화, 사화 및 전설」이다. 그러나 신화나 사회 속에 담겨진 사상적 전통이나 특색은 오늘의 우리들과 밀접하게 통하는 점이 많다. 이 점이 동양 및 중국 사상의 특성이며 전통이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삼황오제의 「덕치사상」이 바로 하의 우왕, 은의 탕왕 및 주의 문왕, 무왕의 덕치사상으로 이어지고 또 일관된 도리와 전통을 지니고 있다. 이러한 전통적 특색이 바로 유가 사상의 전통이며 특색이다. 따라서 유교의 영향을 받는 우리나라에도 그 ...
고대 중국의 사신도

고대 중국의 사신도

전호태  | 울산대학교출판부
4,270원  | 20060207  | 9788978688710
고대 중국의 사신도를 살펴보는『중국문화총서』제3권. 중국 각지에서 발행되는 발굴보고서에 소개된 자료를 중심으로 한~당대 사신 표현의 사례를 찾아 알아보기 쉽게 정리한 책이다. '사신'이라는 주제를 연구하기 위한 1차 자료로 활용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지금까지의 사신 표현 유적, 유물 자료를 정리하여 시대별, 지역별 표현 및 인식의 흐름을 짚어보고 있다.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