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동양철학 > 중국철학
· ISBN : 9788965251668
· 쪽수 : 256쪽
· 출판일 : 2024-12-27
책 소개
목차
들어가는 말
1부 철학의 기원과 본질
1장 철학의 탄생과 근본 요소인 생각
-첫걸음
-철학: 불완전한 지능을 위한 지혜의 기록
-생각: 철학의 기본이자 근본 구성 요소
-강의 노트
2장 철학의 여명기
-첫걸음
-상(商) 왕조: 거북이 등껍질의 균열로 상제(上帝)의 뜻을 엿보다
-주(周) 왕조: 나를 가꾸고 세상을 도와 하늘의 부름을 받는다
-춘추(春秋)시대: 분봉제(分封制)가 무너지고 패자(霸者)가 등장하다
-철학의 여명기: 천명의 시대에서 인간의 시대로
-강의 노트
3장 과학과 종교 그리고 철학
-첫걸음
-철학과 과학: 모든 것을 알고자 탐구하다
-철학 대 과학: 지식을 다루는 방식과 질문의 초점의 차이
-철학과 종교: 의미와 궁극적 실재라는 교차점
-철학 대 종교: 신앙과 사유의 두 갈래 길
-강의 노트
4장 고대 중국과 고대 그리스의 전통 사유 방식
-첫걸음
-고대 그리스와 중국: 서로 다른 환경에서 탄생한 두 가지 사유 전통
-배경의 분리와 통합: 지각 대상과 배경에 대한 다른 두 가지 지각 방식
-권력의 집중과 분산: 중앙집권과 민주주의의 두 전통
-모순의 배제와 수용: 모순을 바라보는 두 가지 관점
-강의 노트
2부 고대 중국철학의 심연
5장 『역경(易經)』, 고대 중국이 빚어낸 사유 방식의 한 전형
-첫걸음
-효와 괘: 『역경』의 기본 요소
-괘의 구조: 괘명, 괘사, 효제
-서법: 길흉화복을 따지는 다섯 가지 방법
-둔괘 해설: 상황에 따른 지혜
-강의 노트
6장 공자(孔子)와 『논어(論語)』: 중화(中和)가 실현된 삶의 방식
-첫걸음
-중화(中和): 공자가 제안한 삶의 방식
-위기지학(爲己之學): 중화를 이루는 방법
-사학병진(思學竝進): 배우고 생각하기
-극기복례(克己復禮): 한계를 극복하다
-『논어』 「학이」: 배움의 여정, 군자의 길
-강의 노트
7장 교육과 본성 Ⅰ: 맹자의 성선설 바로보기
-첫걸음
-왕도정치: 맹자의 진면목
-본성에 대한 두 가지 견해: 본질적 속성과 본래적 속성
-맹자의 성선설: 사람은 선한 본성을 지니고 있다
-성선설에 대한 오해: 인간이 선하다면 악인은 왜 존재하는가
-호연지기: 선한 본성을 살리는 길
-강의 노트
8장 교육과 본성 Ⅱ: 순자의 성악설 바로보기
-첫걸음
-순자: 잔혹한 시대가 빚어낸 인간 본성에 대한 새로운 통찰
-‘양육’과 ‘교육’: 인간 성장을 이루는 두 가지 축
-맹자와 순자의 '성': 선천적 본성과 변화 가능성
-순자의 성: 선악은 오직 사회적 결과에 의해서 결정된다
-성의 발현 방식: 인간이 개입할 수 있는 영역에서 답을 찾다
-예와 스승: 인간 성품을 교정하고 사회를 이끄는 두 축
-순자의 성악설: 생긴 대로 살 것인가, 나를 변화시킬 것인가?
-한비(韓非): 인간은 이기성을 벗어날 수 없다
-강의 노트
9장 견백 논쟁: 고대 중국에서 펼쳐진 치열한 사유의 격돌
-첫걸음
-공손룡과 백마비마: 상식을 넘은 논리와 혁신의 철학자
-묵자와 후기 묵가: 혁명적 사상과 과학적 세계관
-견백석을 둘러싼 철학적 논쟁: 사물과 인식의 경계를 넘다
-논쟁 1단계: 견백석은 셋인가 둘인가?
-논쟁 2단계: 견백석의 단단함과 흼은 분리되어 있는가, 아닌가?
-논쟁 3단계: 사물은 그 자체로 존재하는가, 해석된 것인가?
-강의 노트
나오는 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