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 네이버책
  • 알라딘
  • 교보문고
"고문진보 후집"(으)로 14개의 도서가 검색 되었습니다.
9788932452692

고문진보 후집 (개정3판)

황견  | 을유문화사
32,400원  | 20200930  | 9788932452692
동양 고전 번역의 새로운 전범을 보여 주었던 을유문화사 『고문진보』가 새로운 디자인과 편집으로 다시 태어났다. 『고문진보』는 전국 시대부터 당송 시대까지의 시와 산문 가운데서 명편만을 모은 고전 중의 고전으로, 우리나라에서도 오래전부터 옛 문인들의 필독서로 자리 잡았으며, 사서삼경 다음으로 많이 읽힌 문장의 보고로 전해진다. 중어중문학 전문가들의 철저한 고증과 친절한 주석, 한글세대를 고려한 섬세한 번역을 바탕으로 한 을유문화사판 『고문진보』를 통해 독자들은 보물 같은 문장들의 정취를 충분히 음미하며 즐길 수 있을 것이다.
9791157942305

고문진보 후집

신용호 옮김  | 전통문화연구회
25,200원  | 20190830  | 9791157942305
《고문진보》는 책명에 쓰인 뜻 그대로 중국의 역대 고문 가운데 진실로 보배가 될 만한 시문을 정선하여 모아놓은 책이다. 곧 이 책에 수록된 시문은 선대 문인이나 학자들의 고아한 작품을 정선하여 편찬한 것으로, 배우는 자들이 마땅히 이를 받들어 문장을 짓는 전범으로 삼도록 하고자 하였다. 전통문화연구회 동양고전신역 시리즈 중 네 번째 책으로,《상설고문진보대전》의 후집을 완역한 것이다. 번역문은 원문의 뜻을 충실하게 드러내는 것이 기본 원칙이다. 그러나 수백 수천 년 이전에 지은 고문을 문의의 전달에만 치중하여 번역하다 보면 현대문으로는 어색하거나 생경해지는 경우도 왕왕 있게 된다. 매 편마다 전편에 관류貫流하는 주제나 대의를 염두에 두고 매 구의 사의나 매 자의 자의를 가급적 이에 맞추어 번역하고자 하였다.
9791159932069

고문진보 후집 2

황견  | 올재
0원  | 20201023  | 9791159932069
‘옛글 중 참으로 보배로운 글만을 모아 두다.’는 뜻의 고문진보古文眞寶! 전국戰國 시대부터 송宋나라에 이르기까지 여러 작자의 글을 송나라 학자 황견黃堅이 편찬했다. 옛 선조들은 이 책을 필수 교재로 삼아 한문을 공부했으며, 동시에 오랜 시대를 관통하여 흐르는 지혜도 함께 익혀 왔다. 우리나라에서 유독 그 가치를 높게 인정받았던 《고문진보》에 대해 조선 전기의 학자 김시습은 “이 《고문진보》를 만약 뱃속에 간직할 수만 있다면, 가슴속에 혼연히 쨍그랑 옥소리 울리리라”라고 표현하기도 했다.
9791159932052

고문진보 후집 1

황견 찬  | 올재
0원  | 20201023  | 9791159932052
‘옛글 중 참으로 보배로운 글만을 모아 두다.’는 뜻의 고문진보古文眞寶! 전국戰國 시대부터 송宋나라에 이르기까지 여러 작자의 글을 송나라 학자 황견黃堅이 편찬했다. 옛 선조들은 이 책을 필수 교재로 삼아 한문을 공부했으며, 동시에 오랜 시대를 관통하여 흐르는 지혜도 함께 익혀 왔다. 우리나라에서 유독 그 가치를 높게 인정받았던 《고문진보》에 대해 조선 전기의 학자 김시습은 “이 《고문진보》를 만약 뱃속에 간직할 수만 있다면, 가슴속에 혼연히 쨍그랑 옥소리 울리리라”라고 표현하기도 했다.
9788972707141

고문진보후집

명문당편집부  | 명문당
0원  | 20030102  | 9788972707141
동양고전. 고문진보에 대한 책으로, 동양 고전에 관심이 있는 이들에게 적합하다.
9788997970704

역주 고문진보 후집 1

진력  | 한국인문고전연구소
25,200원  | 20210310  | 9788997970704
작자 소개, 작품 소개를 추가하고 소주(小註)와 주석, 자의(字義)를 대폭 보완한 최신 개정본 《고문진보》 본서는 《상설고문진보대전(詳說古文眞寶大全)》 후집(後集) 10편과 《문장궤범(文章軌範)》 7편 및 각 문장의 앞뒤에 있는 소서(小序)와 비평(批評)을 역주(譯註)한 것이다. 《고문진보》란, 선자(選者)가 자신만의 독특한 기준을 세운 다음 이에 따라 역대의 명작 시문(詩文)을 가려 뽑아 엮어낸 일종의 ‘선집(選集)’으로, 문장학습을 위한 계몽서이자 입문서로서 주로 지방의 사숙(私塾)에서 강학 교재로 사용된 것으로 보인다. 본 역주서가 대본(臺本)으로 삼은 것은 우리나라에서 주로 유통된 판본인 《상설고문진보대전(詳說古文眞寶大全)》으로, 첩산(疊山) 사방득(謝枋得)의 《문장궤범(文章軌範)》이 부록(附錄)으로 실려 있는 형태를 취하고 있다. 본래 《문장궤범》에 수록된 작품은 총 69편인데 그중 42편이 《고문진보》에 수록된 작품과 중복되므로 《문장궤범》의 평비(評批)까지 《고문진보》의 해당 작품으로 함께 옮겨 싣고, 그 나머지 27편을 《고문진보》의 끝에 부록하여 간행한 것이다. 《고문진보》는 문자 그대로 가장 보배로운 글만을 정선(精選)한 것이다. 이 때문에 우리 선인(先人)들이 사서(四書)ㆍ삼경(三經) 이외에 이 《고문진보》를 가장 많이 읽었던 것이다. 《문장궤범》 또한 송(宋)나라 첩산(疊山) 사방득(謝枋得)이 엮고 평을 가한 것으로 문장의 올바른 법식을 배울 수 있는 좋은 책으로 꼽힌다.
9788997970711

역주 고문진보 후집 2 (부 문장궤범)

진력, 사방득  | 한국인문고전연구소
25,200원  | 20210310  | 9788997970711
작자 소개, 작품 소개를 추가하고 소주(小註)와 주석, 자의(字義)를 대폭 보완한 최신 개정본 《고문진보》 본서는 《상설고문진보대전(詳說古文眞寶大全)》 후집(後集) 10편과 《문장궤범(文章軌範)》 7편 및 각 문장의 앞뒤에 있는 소서(小序)와 비평(批評)을 역주(譯註)한 것이다. 《고문진보》란, 선자(選者)가 자신만의 독특한 기준을 세운 다음 이에 따라 역대의 명작 시문(詩文)을 가려 뽑아 엮어낸 일종의 ‘선집(選集)’으로, 문장학습을 위한 계몽서이자 입문서로서 주로 지방의 사숙(私塾)에서 강학 교재로 사용된 것으로 보인다. 본 역주서가 대본(臺本)으로 삼은 것은 우리나라에서 주로 유통된 판본인 《상설고문진보대전(詳說古文眞寶大全)》으로, 첩산(疊山) 사방득(謝枋得)의 《문장궤범(文章軌範)》이 부록(附錄)으로 실려 있는 형태를 취하고 있다. 본래 《문장궤범》에 수록된 작품은 총 69편인데 그중 42편이 《고문진보》에 수록된 작품과 중복되므로 《문장궤범》의 평비(評批)까지 《고문진보》의 해당 작품으로 함께 옮겨 싣고, 그 나머지 27편을 《고문진보》의 끝에 부록하여 간행한 것이다. 《고문진보》는 문자 그대로 가장 보배로운 글만을 정선(精選)한 것이다. 이 때문에 우리 선인(先人)들이 사서(四書)ㆍ삼경(三經) 이외에 이 《고문진보》를 가장 많이 읽었던 것이다. 《문장궤범》 또한 송(宋)나라 첩산(疊山) 사방득(謝枋得)이 엮고 평을 가한 것으로 문장의 올바른 법식을 배울 수 있는 좋은 책으로 꼽힌다.
9791157942831

고문진보 후집(하) (현토완역)

이상하  | 전통문화연구회
28,800원  | 20210220  | 9791157942831
고문古文의 진정한 보배, ≪고문진보古文眞寶≫ ≪고문진보≫는 고문의 진정한 보배라는 뜻이다. 중국의 역대 시문詩文 가운데 모델이 될 만한 명작名作을 선별하여 엮은 책이다. 시詩를 수록한 전집前集과 문文을 수록한 후집後集으로 나뉜다. 본서는 그중 문이 실린 ≪고문진보후집≫을 번역하였다. ≪고문진보≫의 여러 판본 가운데 우리나라에서 가장 널리 읽힌 ≪상설고문진보대전詳說古文眞寶大全≫을 저본으로 하였다.
9791157942756

고문진보 후집(상) (현토완역)

이상하  | 전통문화연구회
28,800원  | 20210220  | 9791157942756
고문古文의 진정한 보배, ≪고문진보古文眞寶≫ ≪고문진보≫는 고문의 진정한 보배라는 뜻이다. 중국의 역대 시문詩文 가운데 모델이 될 만한 명작名作을 선별하여 엮은 책이다. 시詩를 수록한 전집前集과 문文을 수록한 후집後集으로 나뉜다. 본서는 그중 문이 실린 ≪고문진보후집≫을 번역하였다. ≪고문진보≫의 여러 판본 가운데 우리나라에서 가장 널리 읽힌 ≪상설고문진보대전詳說古文眞寶大全≫을 저본으로 하였다.
9788932452500

고문진보 후집(제2판) (제2판)

황견  | 을유문화사
0원  | 20070228  | 9788932452500
한글 세대를 위한 후집 동양적 사고와 정신 문화의 지평을 넓혀준 한문 문장 교과서 를 번역한 책이다. 2001년에 발간된 초판의 체재와 내용을 수정하고 보완하여 새롭게 펴낸 개정판이다. 는 옛글 가운데서 참된 보물만을 모은 고전 중의 고전으로, 크게 시를 모은 시 선집인 '전집'과 산문을 모은 산문 선집인 '후집'으로 구성되어 있다. 는 단순한 문장 모음집이 아니라, 세월이 흘러도 변하지 않는 고전의 가치와 삶의 지혜를 전해주는 교훈서의 역할도 겸하고 있다. 임금에 대한 절개, 출세에 대한 지략, 인생의 의미와 자연의 아름다움 등을 노래하며 민중과 사회의 여러 모습에 대한 중국 옛 선현들의 사유를 함께 전해준다. 이 책은 철저한 고증을 바탕으로, 중국 고전의 명문들을 한글 세대에 맞게 새롭게 번역하였다. 한글세대를 위하여 한문 원문을 수록하였으며, 각 한자마다 한자음과 한글 토씨까지 덧붙였다. 후집에는 사(辭), 부(賦), 설(說), 해(解), 서(序) 등 20여 체 130여 편의 문장이 담겨 있다. 주로 당송 시대의 고문이 실려 있지만, 그 이전에 나온 산문과 운문이 결합된 사부체나 대표적인 변려문도 수록하였다.
9788991720305

고문진보(후집)(부 문장궤범) (문장궤범)

전통문화연구회 편집부  | 전통문화연구회
29,440원  | 20160926  | 9788991720305
율곡 이이는 당대 최고의 문장가로 손꼽히는 사람이었다. 기록된 일화에 따르면 선조가 그의 문장을 칭찬하며 그 공부법에 대해 물었다. 그때 율곡 이이는 다른 공부를 한 것은 없지만 한유의 문장과 고문진보를 읽었다고 답했다고 한다. 이와같이 고문진보는 한문의 문장을 접할 때 문장을 익히기 위한 기초이자 가장 중요한 서책 중 하나였다. 이 책은 고문진보에 대한 정확한 직역을 통해 그 문장의 가치를 그대로 독자들에게 전달하고 있을 뿐만아니라 한문 문장에 익숙해 질 수 있도록 돕고 있다.
9788982031243

고문진보: 후집(문편)

황견 (원저)  | 육문사
27,000원  | 20151115  | 9788982031243
송나라 말기의 학자 황견이 편찬한 <고문진보>는 시문선집으로 전국시대부터 송나라에 이르기까지의 시문을 전집, 후집으로 나누어 수록하였다. 후집은 산문인 17체의 명문을 실었다. 현존하는 <고문진보>는 전집과 후집 각 10권으로 되어 있는데, 후집에는 사.부 등의 운문을 포함해서 설.해.서.기.잠.명.문.송.전.비.변.표.원.론.서의 모두 17가지 체 67편의 문장이 실려 있다. <고문진보> 후집에는 주로 문장이 수록되어 있기는 하나, 그중에는 사.부.잠.명.송 등의 운문도 섞여 있다. 문류는 <북산이문>.<조고전장문>의 두 편이 실려 있는데, 이것은 사륙변려체나 부처럼 운이 있는 문으로, 문이라 칭하기는 하나 산문이 아니라 일종의 운문이라 할 수 있다. 중국에서는 예로부터 문이라는 명칭을 운문과 산문 양쪽에 모두 사용했던 것이다. 이들 운문식의 문 외에, 설.기.해.서.문.전.비.변.표.원.론.서의 12종류의 문이 있는데, 이중에는 운문의 가를 동반한 것이 있기는 하나 모두 산문이다. 작품과 작자에 대한 것은 물론이고 작품을 개괄적으로 자세히 다루고 원문에 나오는 고사나 인용된 문구와 그 출전의 내용까지 자세히 소개하고, 원문 밑에 한 자 한 자 음을 달아, 초학자라도 즐겁게 한시를 낭송하는 맛을 즐길 수 있도록 원문이 지닌 맛과 함축된 의미를 살려 우리말로 풀어놓았으며, 그 글이 쓰이게 된 배경이나 그 당시 작자의 심경이나 상황, 혹은 그 글과 관련 있는 이야기 등을 실어, 작품을 이해하는 데에 도움이 되도록 했다.
9788972707660

고문진보(후집)(신완역)

김학주  | 명문당
22,500원  | 20050125  | 9788972707660
9788972707684

고문진보(후집)(신완역)

김학주  | 명문당
22,500원  | 20050125  | 9788972707684
이 책은 내용이 가장 풍부한 우리나라 판본의 을 완역한 것이다. 우리나라판 는 내용이 풍부하여 중국의 고시와 고문을 공부하는 데에 다른 어떤 책보다도 편리하다. 를 통해서 동양의 옛 윤리와 사상 같은 것도 아울러 이해하며 우리 선인들의 학문 성격도 직접 이해할 수 있다. 후집에서는 우리 조상들이 즐겨 읽던 옛 글 가운데 가장 좋은 글만이 엄선되어 실려 있다....
1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