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외 자율주행차/차세대 자동차(전기차 수소차) 관련 소 부 장 시장총람과 비즈니스 전략(하)(2026)
신성장동력산업정보기술연구회 | 산업경제리서치
432,000원 | 20251031 | 9791194179771
☐ 자율주행차 및 차세대자동차 산업은 전통적 자동차 제조의 범위를 넘어 소프트웨어, 반도체, 통신, 에너지 저장장치 등 다중 산업이 결집하는 융합산업으로 자리잡고 있다. 글로벌 시장은 자율주행 소프트웨어, 센서(라이다·레이다·카메라), 고성능 컴퓨팅, 전기화(EV) 플랫폼을 중심으로 빠르게 성장하고 있으며, 상용화 초기 단계의 모빌리티 서비스와 기업용 자율주행 솔루션이 병행 발전하고 있다. 지역별로는 규제 환경과 인프라 투자 수준에 따라 상용화 속도의 차이가 존재하며, 도시 중심의 라이드헤일링과 물류용 자율주행이 초기 수요를 주도하고 있다.
☐ 기존 완성차 중심의 수직적 통합에서 소프트웨어·서비스 중심의 수평적 생태계로 전환되고 있다. 플랫폼 제공자, 소프트웨어 공급자, 반도체·센서 기업, 통신사, 데이터 플랫폼 사업자 등이 협업하거나 경쟁하는 형태가 일반화되고 있으며, 오픈 소스와 표준화 시도는 기술 확산과 비용 절감의 핵심 동력으로 작용하고 있다. 고정밀 인지(센싱) 기술, 실시간 고성능 차량제어를 위한 엣지 컴퓨팅, 안전을 보장하는 소프트웨어 아키텍처 및 검증·검증(V&V) 기술이 핵심 영역으로 부상하고 있다. 더불어 5G/6G 통신을 활용한 V2X(차량·사물 통신), 고정밀 지도와 위치추정(HD Map & Localization), 머신러닝 기반 의사결정 알고리즘이 자율주행 성능 향상의 핵심 요소로 작동하고 있다.
☐ researchandmarkets의 자료에 따르면 자율주행차의 세계 시장 규모는 7년간 연평균 성장률 38.4%로 증가하며 ’22년 약 185억 달러에서 ’28년 980억 달러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 2030년까지는 자율주행차 시장 중에서 Lv.3 차량이 가장 높은 시장 점유율을 보일 것으로 전망되며, 그 이후는 Lv.4 이상 완전자율주행 시장형성이 예측되고있다. 현재 미국이 가장 큰 자율주행 시장을 형성하고 있으며, 향후 인도와 중국을 중심으로 한 아시아 태평양 시장이 빠르게 확장될 것으로 예상되고, 특히 중국 정부는 자동차 기술에서 경쟁 우위를 확보하기 위해 자국 기업에 대한 적극적인 지원 정책을 펼치며 시장을 확대하는 중이다.
- 자율주행차 시장의 성장을 촉진하는 주요 요인은 인적 오류로 인한 사고 감소, 운송비용 및 환경 영향 감소, 현재 운전에 전념할 수 있는 시간의 해방, 더 넓은 범위의 사용자에 대한 접근성 등이 있다.
☐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의 발표에 따르면 자율주행차의 국내 시장 규모는 7년간 연평균 성장률 34.5%로 증가하며 ’22년 약 1조 5,400억 원에서 ’28년 6조 7,500억 원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 국내 자율주행차 시장은 정부의 정책 지원, 선진 ICT 기술 기반, 글로벌 완성차 기업과의 협력 등을 통해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정부는 5G 기반의 자율주행 인프라 구축, 스마트 도로 설계, 자율주행 시범운행지구 지정 등을 통해 기술 실증과 상용화를 적극 지원하고 있으며 특히, 규제 샌드박스 제도를 통해 새로운 기술의 초기 시장 진입 장벽을 낮추고 있다.
- 국내 완성차 제조업체와 삼성, LG 등 IT 강자의 협업을 통해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기술의 통합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스타트업과의 파트너십을 통해 혁신적인 기술개발 속도가 빨라지는 추세이다.
☐ Worldwide_Statista의 자료에 따르면 친환경자동차의 세계 시장 규모는 7년간 연평균 성장률 6.6%로 증가하며, ’23년 약 7,375.2억 달러에서 ’28년 1조 152.2억 달러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 온실가스 배출 저감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글로벌 주요국의 규제 강화와 친환경 자동차구매에 대한 재정 지원 확대에 힘입어 친환경자동차 시장은 지속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전 세계 주요국들은 온실가스 배출 저감 목표를 설정하고, 친환경 자동차 구매 보조금 및 세액 공제 등의 지원 정책을 확대하고 있다.
- 전기차 배터리 기술 발전 및 대량 생산으로 인해 제조 비용이 감소하였으며, 친환경자동차의 경제성이 확보되어 친환경자동차 시장을 더욱 빠르게 키워나갈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 Statista의 발표에 따르면 친환경자동차의 국내 시장 규모는 7년간 연평균 성장률 5.5%로 증가하며, ’23년 약 74.9억 달러에서 ’28년 97.9억 달러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 정부 주도의 친환경자동차 보급 확대와 자동차 산업의 구조적 전환에 대한 국내의 글로벌 기업의 노력으로 친환경자동차 국내 시장은 지속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2030년까지 전기차 450만 대 보급 목표와 충전소 확대를 통해 충전 인프라를 지원한다는 정부 기조 강화에 힘입어 친환경자동차 내수 시장이 활성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 전통 내연기관차 중심의 산업 구조에서 전기·수소차 등 미래차 중심으로 생태계 전환을 가속화하려는 글로벌 기업의 노력으로 국내 시장의 지속적인 성장이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 본 보고서는 자율주행차 및 친환경자동차 시장분석과 관련 소ㆍ부ㆍ장 산업분석은 물론 자동차 소부장 시장 및 기술분석까지 깊이 있게 다루고 있다. 또한 자동차 관련 정부과제 제안서는 물론 특허분석까지 상세히 기록하였다. 본 자료가 자동차 업계에 있으신 다양한 분들에게 도움이 되기를 희망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