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
제목
저자
외국
ISBN
목차
출판
x
BOOK
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베스트셀러
알라딘
교보문고
Yes24
신간도서
알라딘
교보문고
Yes24
국내도서
가정/요리/뷰티
건강/취미/레저
경제경영
고등학교참고서
고전
과학
달력/기타
대학교재/전문서적
만화
사회과학
소설/시/희곡
수험서/자격증
어린이
에세이
여행
역사
예술/대중문화
외국어
유아
인문학
자기계발
잡지
전집/중고전집
종교/역학
좋은부모
중학교참고서
청소년
초등학교참고서
컴퓨터/모바일
외국도서
가정/원예/인테리어
가족/관계
건강/스포츠
건축/디자인
게임/토이
경제경영
공예/취미/수집
교육/자료
기술공학
기타 언어권 도서
달력/다이어리/연감
대학교재
독일 도서
만화
법률
소설/시/희곡
수험서
스페인 도서
어린이
언어학
에세이
여행
역사
예술/대중문화
오디오북
요리
유머
의학
인문/사회
일본 도서
자기계발
자연과학
전기/자서전
종교/명상/점술
중국 도서
청소년
컴퓨터
한국관련도서
해외잡지
ELT/어학/사전
내책판매
인기 검색어
일간
|
주간
|
월간
1
probability
2
mathematics
3
macroeconomics
4
blues
5
오다
실시간 검색어
국민책방
c 자료
실즈브
스티브 잡스 경영
설문해설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알라딘,
영풍문고,
교보문고
"국민책방"
(으)로 5개의 도서가 검색 되었습니다.
야구의 나라 (한국의 파워 엘리트들은 어떻게 야구를 국민 스포츠로 만들었나)
이종성 | 틈새책방
16,200원 | 20240229 | 9791188949625
·일제 강점기 ‘귀족 스포츠’였던 야구는 어떻게 전 국민이 열광하는 스포츠가 됐을까? ·한국 스포츠사의 가장 흥미로운 미스터리를 문화사로 풀어낸 역작 ·야구 명문교의 ‘학연’과 정치·경제·미디어·문화 엘리트의 결합이 건설한 야구의 나라 야구 애호가들이라면 꼭 읽어야 할 책이 출간됐다. 《야구의 나라》는 우리나라의 스포츠 역사에서 가장 흥미로운 미스터리인 “왜 야구는 축구를 제치고 최고의 인기 스포츠가 되었을까?”에 대한 해답이다. 한양대학교에서 스포츠문화사학을 연구하는 이종성 교수는 일제 강점기부터 2000년대까지 야구가 국민 스포츠가 된 과정을 추적했다. 야구가 국민 스포츠가 된 데에는 엘리트들의 학연이 절대적이었다. 일제 강점기 시절 명문교의 교기(校技)였던 야구는 질시의 대상이었다. 공 하나만 있으면 되는 축구와는 달리 비싼 장비가 필요한 야구는 귀족 스포츠였다. 게다가 일제는 야구를 통해 내선융화를 노리기도 했다. 조선에서도 고시엔 대회 예선을 열었고, 조선인 팀이 선전하면 내선융화의 증거로 치켜세우기도 했다. 그러나 그만큼 야구는 선망의 대상이기도 했다. 엘리트와 귀족을 상징하는 야구는 해방 이후에도 지역 명문교를 상징하는 스포츠가 됐다. 경기고, 경복고, 휘문고, 배재고, 경남고, 경북고, 광주일고, 전주고 같은 지역 명문들과 선린상고, 군산상고, 마산상고 같은 상업고등학교, 신일고와 충암고 같은 신흥 명문들까지 지역 명문교들은 야구를 교기로 삼아 경쟁했다. 학창 시절 야구에 열광했던 엘리트들은 모교의 야구를 지원했고, 역시 엘리트들이 장악한 언론계는 야구 대회를 열어 신문 판촉에 열을 올렸다. 1970년대 고교 야구의 흥행은 결코 우연이 아니었다. 프로 야구가 출범하는 데에도 엘리트들의 힘은 절대적이었다. 미국 유학을 경험한 야구 명문교 출신 엘리트들은 정계와 재계를 장악하고 있었다. 유럽에 뿌리를 둔 축구보다 야구가 한 발 앞서 간 이유였다. 여기에 고교 야구를 통해 발산된 지역주의가 프로 야구에 그대로 이식되면서 야구는 한국 최고의 인기 스포츠가 됐다. 이렇게 탄생한 프로 야구는 1980년대 문화의 아이콘이 되었고, 이는 다시 문화 자본이 되어 문화 엘리트들의 DNA에 새겨졌다. 이렇게 야구는 학연에서 시작해 정치, 경제, 미디어와 문화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한 영향력을 행사했고 이는 다시 확대 재생산되면서 한국을 야구의 나라로 만들었던 것이다. 이종성 교수의 《야구의 나라》는 스포츠가 단순히 자본이나 엔터테인먼트적인 요소만으로는 평가할 수 없는, 사회적 상호 작용의 결과물이라는 것을 보여 준다. 인도네시아의 배드민턴이나 인도의 크리켓처럼 한국이 야구의 나라가 된 데에는 역사적·문화적 배경이 녹아 있다. 다른 모든 사회 분야처럼, 스포츠 역시 여러 관점에서 바라보고 해석해야만 실체를 명확히 알 수 있다. 이런 측면에서 《야구의 나라》는 스포츠 분야를 조망하는 새로운 방법론을 제시하는 책이다.
가격비교
우리 생활 속 사이버 보안 (전국민 사이버 위협 대응 안내서)
한재민, 박태환 | 미래상상책방
15,030원 | 20241226 | 9791196978082
클릭 한번으로 무너지는 세상! 하루도 빠지지 않고 뉴스를 장식하는 보이스피싱, 스미싱, 랜섬웨어… 우리 일상에 스며든 사이버 위협의 그림자에 가려진 무서운 현실 전국민 사이버 위협 대응 안내서 “우리 생활 속 사이버 보안”은 사이버 위협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 개인정보보호, 안전한 인터넷 사용, 사이버 범죄에 대한 대응 방법 등을 총망라하고 있습니다. 소중한 디지털 자산을 지키기 위해서는 강력한 사이버 보안 시스템이 필요합니다. 그래서 여러분이 디지털 세상에서 안전하게 살아가기 위해 필요한 지식을 갖추고 막연한 두려움을 떨쳐낼 수 있도록 우리 생활 속 사이버 보안을 내놓게 되었습니다. 이 책은 스마트폰을 사용하고 소셜 미디어를 이용하는 일상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위협을 소개하고 예시를 통한 설명과 함께 간단한 대응 방법을 제시합니다. 이 책을 만드는 과정에서 가장 중요하게 여겼던 것은 사이버 보안이라고 하는 다소 생소하고 어려운 주제를 쉽고 재미있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었습니다. 사이버 보안은 어렵지 않습니다. 누구나 쉽게 배우고 실천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조금만 관심을 기울인다면 더욱 안전한 디지털 환경을 만들 수 있습니다. 이 책과의 인연으로 사이버 위협과 보안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스스로 보호하는 능력을 키우기를 바랍니다.
가격비교
주권자 국민이 만든다, 제7공화국 (주권자 국민이 만든다)
박승옥 | 기적의 마을책방
13,500원 | 20250215 | 9791198821126
탄핵과 대선, 주권자 인간지능에게 묻는 프롬프트 질문 대통령을 선출한 것은 국민인데, 왜 탄핵은 309명에게만 맡겨야 하나? 왜 국민 생활과 직결된 법률이나 특검법을 301명만 제정할 수 있나? 왜 ‘마적떼 도둑’에게 1만 8천여 개나 되는 공직과 각종 국가 이권을 약탈당해야 하나? 이 책은 질문하는 책이다. 2024년 12.3 윤석열의 비상계엄이 왜 일어났고, 앞으로 주권자 국민은 무엇을 해야 하는지 인공지능이 아니라 주권자 ‘인간지능’에게 묻는 프롬프트 질문이다. 저자는 범인을 잡는 것도 중요하지만, 범죄의 원인을 밝혀내고 그 원인을 제거하는 게 더 중요하다고 강조한다. 12.3 비상계엄은 제왕 대통령제인 6공 헌법이 계속되는 한 언제든 또다시 일어날 사태가 시민 지능들에게 스스로 자문해 볼 것을 권한다.
가격비교
독서하지 않은 국민은 망한다 (책방이 노래방보다 많아야)
김정수 | 글로벌출판사
22,500원 | 20241213 | 9791193186381
김정수의 『독서하지 않은 국민은 망한다』는 〈독서필요성과 현대인의변화〉, 〈명서〉, 〈주요한자〉 등에 대한 기초적이고 전반적인 내용이 수록된 책이다.
가격비교
비밀보장 (5천만 결정장애 국민들의 속 시원한 고민 해결 상담소)
송은이, 김숙 | 다산책방
11,700원 | 20160218 | 9791130607382
팟캐스트 전체 순위 1위 기록, 누적 다운로드 1700만을 돌파하여 여전히 기록 갱신 중인 팟캐스트 [비밀보장]이 다산책방에서 <비밀보장>으로 출간되었다. 이 책은 코미디언 송은이와 김숙이 2015년 8월부터 시작한 팟캐스트 [비밀보장]의 핵심적인 질의응답만을 모아 총 74개의 고민에 대한 해답을 담고 있다. 팟캐스트 [비밀보장]은 청취자들의 고민 사연을 받고 청취자들의 신상 등은 철저히 비밀에 부친 뒤 고민을 해결해준다는 취지로 만들어졌다. 송은이와 김숙이 해결해줄 수 있는 질문은 속전속결 즉문즉답식으로 답변을 하고, 전문가 혹은 사연과 비슷한 경험이 있는 사람들과의 상담을 통해 해결할 수 있는 질문은 전화 연결로 의견을 들어보고 모든 의견을 취합하여 송은이와 김숙이 답을 내는 식이다. 송은이와 김숙, 두 언니가 모였으니 재미는 말할 것도 없지만, 뜬구름 잡는 식의 이야기는 구체적인 해결책이 될 수 없기에 청취자들의 사연을 대하는 송은이와 김숙의 태도는 자못 진지하다. 언니들의 진심을 느꼈던 것일까? 청취자들의 사연은 친구에게도 가족에게도 말 못 할 가려운 고민, 퍽퍽한 고구마처럼 목구멍을 꽉 막는 고민들이 대부분이다. 하지만 이런 고민들도 언니들에게 털어놓기만 하면 키득키득 웃는 사이에 사이다 같은 청량감으로 뻥 뚫리고 쑥 내려간다.
가격비교
1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