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일간
|
주간
|
월간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 네이버책
  • 알라딘
  • 교보문고
"길위의 인문학"(으)로 7개의 도서가 검색 되었습니다.
9788967641108

길 위의 인문학 (희의 상실, 고전과 낭만의 상처)

최재목  | 지식과교양
13,500원  | 20180120  | 9788967641108
“글을 쓴다는 것은 고통스러운 일이다. 그러나 즐거운 일이다. 글이 나를 자유롭게 하기 때문이다.” 저자의 말에 고통과 즐거움이 동시에 느껴진다. 이 책은 철학자이자 시인인 최재목 교수가 최근 10여 년 간, 길 위에서 사색해 오며 써온 글들을 엮은 것이다. 최재목은 머리말에서 “그 동안 내가 해왔던 길 위의 방황과 유랑, 안착하지 못한 한 인간으로서의 실존적 고독과 번뇌, 사람 사이에 살아가는 힘든 순간순간, 나는 이것들을 외부적 투쟁이 아니라 솔직히 내적인 글쓰기로 뚫고 나가려고 했었다. 가능한 한 남들과 소통하는 투명한 언어로 나즉히 나를 빨래 줄에 내걸 듯 보여주려 했다.”고 밝힌다. 많은 다양한 글들을 [1. 걷기, 멍 때림; 2. 필로소피아에서 철학으로; 3. 유럽이 지은 ‘인문의 숨결’; 4. ‘고전’과 ‘개성’의 사이에서; 5. 위로의 인문학; 6. 문학, 예술의 허허 벌판에 서서]처럼 여섯 파트로 나누었다. 최재목이라는 한 인간의 고민이 유사한 ‘문법 내’에서 대화하고 있다. 동양철학, 비교동아시아사상사, 시 작업, 예술비평 등을 통해서 저자는 가끔, ‘무엇을 하고 있는가?’라고 의아해 하며, 헷갈리는 지점에 서기도 한다. 그러나 이것은 즐거운 도전이고 시련이었다. 탈경계, 무경계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저자 자신의 아이덴티티를 느슨하게·탄력적으로 지키면서 다양한 장르들과 끊임없는 대화를 해야만 한다고 생각했다. “자신의 내면을 넘어서는 ‘내월’(內越), 그리고 타자와 수많은 장르를 넘어서는 ‘간월’(間越), 서로 함께 껴안고 기어서 함께 넘어서는 ‘포월·공월’(抱越·共越)의 작업을 거쳐야만 한다”고! 이 책은, ‘길 위’ 사색과 고뇌를 담은 ‘인문학’이 주제이다. 하지만, 부제로 붙였듯이, 철학이 상실한 끊임없는 ‘희구(希)’의 정신을 얼마라도 살려보려고 하였다. 아울러 고전주의 딱딱하고 경직된 형식적, 꼰대적인 ‘본’ 지향과 낭만주의 ‘개성·자유·생명’ 지향을 대비적으로 보여주면서 궁극적으로는 낭만주의의 길을 걸어보고 싶었다고 한다. 고전주의는 원본·원초로 돌아갈 수 없는 상실감·그리움에서 생겨났으며, 그 이후는 낭만주의로 대체됐지만 우리 학문에서는 그것이 뒤죽박죽으로 되어 있다는 점을 지적한다. 저자는 ‘걷기, 나를 찾아 가는 가장 순수한 몸짓’ 중에서 말한다. “대지와 하나 되는 것, 맨발은 그것을 가르친다. 걷기는 삶의 가장 순수한 몸짓을 풀어내고 거두어들인다. 순전히 두 발로, 그것도 맨발로, 홀로 일어서는 직립의 힘이다.” 최재목 인문학의 지향점을 짐작할 수 있는 대목이다. 바로 ‘직립의 힘’이다. [문학, 예술의 허허 벌판에 서서]에서는 저자 자신의 자유로운 비평 정신을 보여주면서, 실제적으로 그가 ‘길 위의 인문학’을 어디로 끌고 가고자 했던가의 실례를 적절히 보여주고 있다. 마지막으로 눈여겨 볼만한 것은 [위로의 인문학] 부분에서 등장시킨, 요절한 가수 ‘배호’이야기였다. 아니 철학하는 사람이 무슨 배호를? 이유가 있다. 저자는 배호를 호출해서 우리의 현대사에 엄연히 존재한 상처를 밝히면서 ‘위로의 인문학’을 이야기하고자 한다. 인문학로서 지금 우리가 무엇을 어떻게 자유롭게 생각할 수 있는가를 다시 짚어볼 수 있는 대목이다. 저자는 말한다. “한 마디로 배호 노래는 나에게 애절한 ‘그늘’이었다. 빛이 있으면 반드시 그늘이 있듯, 드러나는 삶에 따라붙는 어두운 구석이었다. 그것은 필시 우리 사회의 그늘이기도 했으리라. 몸이 아프면 신음(呻吟)이 있듯, 사회가 아프면 소리가 있는 법. 소리는 ‘세상의 음악’(世音)이고, 시(詩)이다.” 그래서 이것을 ‘절망=희망’ 레이아웃하기로 이끌어 간다. 그에게 절망은 바로 희망을 이야기 하는 근거였다. 여하튼 독특한 인문학의 가능성을 만나게 하는, 최재목이라는 한 인간의 여태까지의 고뇌와 참신한 모색이 담긴 에세이집이다.
9788998886547

배움도 깨달음도 언제나 길위에 있다 (길 위의 인문학)

이이화  | 교보문고(단행본)
0원  | 20130916  | 9788998886547
우리나라 최고의 지식인들과 함께 삶과 역사의 향기가 깃든 지역을 탐방하며 깨달위의 인문학’이라는 프로그램의 발걸음을 모은 것이다. 단순히 머리로만 받아들이는 지식이 아니라 눈과 귀와 발을 더해 받아들인 지식은 인문학에 다가서는 첫 발걸음이 된다. 나아가 생각의 범위를 넓히고, 스스로 삶의 모토를 만들 기회를 제공할 것이다. 각 분야의 최고 지식인 13명이 풀어낸 이야기는 다채롭다. 다산 정약용의 첫 번째 좌절에 얽힌 사연과 그것을 극복해낸 이야기, 여성의 활동에 제약이 컸던 조선시대에 기생으로 살면서 최고의 여류시인으로 거듭난 이매창의 작품과 사랑, 조선 왕릉에 숨어 있는 왕과 왕비의 사연들, 성북동에 살았던 작가와 예술가들의 소박하면서도 추억이 깃든 일상, 경복궁과 종묘가 만들어진 진짜 이유, 한강 주변의 산과 섬이 사라지게 된 이야기와 옛 모습 등 우리 주변의 가까운 곳부터 구석구석 숨어 있는 곳의 다양한 지식이 숨어 있다.
없음

길 위의 인문학 세트(1~2권,전2권)

김정남  | 스마트북스
32,040원  | 20240416  | 없음
9791193674093

길 위의 인문학 2: 느린 걸음으로 조선을 걷다 (역사와 이야기가 있어 더 좋은 산책길 17)

김정남  | 스마트북스
14,900원  | 20240416  | 9791193674093
『길 위의 인문학 2』의 답사와 산책의 주제는 ‘조선’이다. 다른 시대에 비해 사료도 풍부하여 이야깃거리도 많다. 또 서울이나 경기지역에서 손쉽게 갈 수 있는 답사 장소도 여러 군데다. 인근이어서 주말에 즐겨 찾던 장소를 가려 뽑았다. 저자 김정남은 30년차 역사교사로 전작인 『길 위의 인문학_산책길에서 만난 역사』는 2022년 ‘올해의 청소년 교양도서’로 선정된 바 있다. 서둘지 않으면 주위의 풀과 나무, 꽃들도 보이고 새소리, 물소리도 들린다. 역사 속에서 시대를 고민하고 아파했던 인물들도 만나게 된다. 더불어 산책길 곳곳에서 만나는 이야기들을 통해 그들의 목소리가 들린다. 비움의 미학 종묘제례길부터 경복궁 궁궐길, 성균관 유생길, 동구릉 왕릉길, 왕의 숲길, 전주한옥마을길, 단종대왕 유배길, 광릉 숲길, 태강릉 숲길, 도산·자운서원길, 탄금대공원 숲길, 순천 낙안읍성길, 남한산성 성곽길과 행궁길, 화양구곡길, 정동길, 홍유릉 둘레길까지. 깊이 들어갈수록 보지 못한 부분이 보여 새롭다. 역사와 이야기가 있어 더 좋은 산책길.
9791190238823

길 위의 인문학: 산책길에서 만난 역사 (산책길에서 만난 역사, 2022 올해의 청소년교양도서)

김정남  | 스마트북스
16,020원  | 20220629  | 9791190238823
이야기와 시가 있어 더 좋은 16개 산책길 답사는 지식만 접하지 그 깊은 뜻까지 담지 못한다. 깊은 뜻을 담는 것은 답사자의 마음자세에 있다. 그래서 느린 걸음이 좋다. 그 느린 걸음이 산책이다. 서둘지 않으면 주위의 풀과 나무, 꽃들도 보이고 새소리, 물소리가 들린다. 역사 속에서 시대를 고민하고 아파했던 인물들도 만나게 된다. 더불어 산책길 곳곳에 있는 시들을 통해 그들의 목소리가 들린다. 골목길(북촌한옥마을·하회마을·감천문화마을), 강변길(유교문화길·다산길2코스·백마강길), 한적한 숲길(백담로·가야산소리길·대흥사십리숲길), 바다 산책길(강화나들길2코스·한산도역사길·송악산둘레길), 운치 있는 호수길(경포호수길·내장호수변길), 정원 산책길(창덕궁·후원) 등, 이야기와 시가 있어 더 좋은 16개 산책길.
9788997969364

청년백수를 위한 길위의 인문학 (임꺽정의 눈으로 세상을 보다)

고미숙  | 북드라망
13,500원  | 20140920  | 9788997969364
자유로운 백수 임꺽정, 우리 시대 마이너들에게 삶의 비전을 제시하다! 임꺽정, 하늘이 내린 천하장사이자, 말타기와 검술의 달인, 한 시대를 풍미한 화적패의 수괴. 이런 그를 고전평론가 고미숙은 한 단어로 정의한다. 바로 ‘백수’다. 『청년백수를 위한 길위의 인문학』은 소설 《임꺽정》을 저자 고미숙 특유의 화법으로 분석·정리한 인문서로, 《임꺽정》을 통해 현재 우리의 삶의 대안을 찾고자 한다. 저자는 《임꺽정》에 나오는 청석골 칠두령의 사랑과 우정, 자유와 열정, 반역과 투쟁의 여정을 통해 비정규직과 백수 등 우리 시대 마이너들에게 삶의 비전을 제시하고자 한다. 청석골은 도망자들의 거점이자 자유의 공간으로, 일종의 경제공동체이다. 점점 규모가 커지자 구성원들은 각자의 능력을 발휘해 집을 짓고, 마을을 만들고, 의원과 기생까지 초빙해오는 수준이 된다. 이처럼 마이너란 단지 추방당한 자들을 뜻하는 것이 아니라, 주류적 가치로부터 자유로운 자들을 의미한다. 따라서 저자는 마이너란 낡은 관습에서 벗어나 새로운 형식을 창안할 수 있어야 한다고 말한다. 그리하여 우리 시대 청년 백수들이 청석골 칠두령의 배짱과 의기를 터득할 수 있기를 희망한다.
9788998003593

걷기 속 인문학 (길 위의 묵상, 걷기에 관한 성찰)

황용필  | 샘솟는기쁨
0원  | 20171017  | 9788998003593
걷기에 관한 인문학적 성찰, 발로하는 사색 『걷기 속 인문학』. 저자는 매일 1만 보 걷기 마니아. 매달 한 번 밤길을 걷고, 두 달에 하루는 20Km를 걷는다. 교육학, 정치학, 목회학 학자로서 걷기에 관한 통섭, 인문학적 사유를 전하고 있다. 걷기는 세상의 이치를 읽어내는 일이며 원시적인 몸짓인 동시에 몸으로 하는 사색, 걷는 것이야말로 삶과 죽음이 만나고, 또 창조적 시선을 부여한다는 것이다.
1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