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학교 사회복지사, 오늘도 학교 갑니다 (교육복지사의 사람 사업 사회복지 이야기)
노한나, 박수빈, 박희경, 서만향, 송복식, 이정은, 최정남 | (주)책글사람
12,820원 | 20241225 | 9791198955920
전국에는 많은 학교가 있다. 일부 학교에는 아이들이 편하게 드나들며 쉬고 놀고 자라는 교육복지실이 있다. 그 공간에서 학교복지사는 아이들을 만난다. 아침밥을 먹이고, 상담과 심리 검사를 지원하고, 개인과 가족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사례관리와 물품 후원을 연계한다.
학교복지사로 일하며 수많은 아이들을 가슴에 새겼다. 아이들과는 응원의 만남도 있었고, 안타까운 만남도 있었다. 졸업 후에도 지속되는 인연이 있는가 하면, 중간에 사라지거나 끊어지는 인연도 있다. 아이들과의 인연에서 오는 기쁨, 안타까움, 뿌듯함, 보람, 통찰, 좌절, 편견, 아픔이 담긴 이야기를 동료들과 함께 나누었다. 입으로 이야기를 나누다 글로 엮었다.
글을 쓴다는 게 조심스러웠다. 우리와 학생들이 서로 마주한 순간을 다르게 기억할 수도, 시공간의 온도를 각자의 방식대로 저장하고 있을 수도 있다. 힘겹고 아픈 이야기여서 이 만남을 잊고 싶을 수도 있다. 그럴지라도 용기를 내고 싶었다.
책 1부에는 지역 사회가 함께 키우고 지켜낸 아이들과 가족들 ‘사람’에 대한 이야기를 담았다. 2부에는 학교 복지 프로그램을 통해 얻게 된 통찰과 진행 과정을 담은 ‘사업’을, 3부에는 교사, 환경, 편견, 실수, 동료와 함께 일하는 ‘사회복지사’를 담았다. 여기에 담긴 이야기는 모두 성공 사례라 할 수 없다. 학생들의 성장 과정에 우리도 함께 있었던 만큼 우리에게도 실패 경험이 있다는 뜻이다.
우리가 마주하는 학생들은 가난과 결핍이 기본값으로 설정되어 있다. 극복이 힘겨울 정도로 견고하다. 하지만 우리와 함께 성장한 아이들에게 바란다. 우리가 사는 세상은 가늘게라도 연결되어 있고, 아픈 누군가를 공감하는 사람들이 더 많다는 것을 알기를! 함께 했던 학교 복지 경험을 아이들의 몸이 기억하여 미래를 일구는 작은 씨앗이 되기를! 자신이 남긴 크고 작은 발자국이 삶에서 얼마나 반짝이는 서사였는지 우리가 기억하고 있다는 것을 알아주길...
2024년 12월 저자 일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