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 네이버책
  • 알라딘
  • 교보문고
"동남아시아 외교"(으)로 3개의 도서가 검색 되었습니다.
9791173180200

국교수립: 동남아시아 (외교문서 비밀해제)

한국학술정보  | 한국학술정보
648,000원  | 20250315  | 9791173180200
외교문서 비밀해제 국교수립 (동남아시아) 15~17세기의 신항로 개척 시대를 지나며 전 세계 각 나라는 다른 나라와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에 있어 밀접한 관계를 맺게 되었고, 그 중요성은 세계대전과 냉전, 정보통신 혁명을 거치며 오늘날까지도 계속 커지고 있다. 이를 위한 국가 간의 인적·물적 교류는 민간 차원에서도 얼마든지 이뤄질 수 있지만, 국가 차원에서 양측의 상호 협력 관계를 공식화하는 국교 수립(수교)은 한층 더 의미 있다고 할 수 있다. 한민국 역시 광복과 한국 전쟁을 거치며 다른 국가와 수교를 맺기 위해 외교적 노력을 기울였고, 분단국가라는 특징과 전쟁 후 사회·경제적 어려움은 이런 필요성을 더욱 크게 만들었다. 냉전 시대 논리에 따라 1950년대에는 우선 미국과 서유럽을 중심으로 하는 제1세계 우방 국가들과 수교를 진행했으며, 1960년대부터 아프리카와 남미, 동남아시아 등의 제3세계 개발도상국으로 관계를 크게 확장했다. 이후 1980년대 들어 냉전이 완화되자 북방 외교를 표방하며 적대 관계였던 중국, 소련, 동유럽 국가 등과도 수교를 맺기 위해 노력했고, 결국 1990년 소련, 1992년 중국과 국교를 수립하게 된다. 현재 2024년 2월 기준 대한민국은 전 세계 193개국과 수교를 맺고 있으며, 이는 북한과 시리아를 제외한 UN 회원국 전부를 포함하는 수치다. 본 총서는 외교부에서 작성하여 30여 년간 유지한 동남아시아 국가와의 국교 수립 관련 자료를 담고 있다. 지역 구분은 외교부의 직제를 따른 것으로, 이는 태국(1958), 인도네시아(1961~1973), 휘지(1971), 라오스(1974~1975), 싱가포르(1958~1975), 베트남(1992) 등의 자료를 포함한다. 총서는 총 9권으로, 전체 분량은 3천 5백여 쪽에 이른다.
9788952128690

한국의 동남아시아 연구 (역사, 현황 및 분석)

안청시, 전제성, 이한우, 김홍구, 이미지, 정법모, 김형종, 오윤아, 정미경  |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30,000원  | 20190920  | 9788952128690
동남아 주요 국가 및 아세안 기구에 관한 국내 연구실태를 전수 조사하고 분석한 국내 최초의 학술서 동남아시아 지역에 대한 한국 학계의 연구는 지난 30여 년 사이에 급속하게 성장하였다. 이 책의 저자들은 한국 학계에서 일정 수준의 연구를 축적한 인도네시아, 베트남, 태국, 필리핀, 말레이시아, 미얀마, 캄보디아, 라오스, 싱가포르, 브루나이, 동티모르 등 11개국과 아세안 관련 연구 실적들을 학위논문 학술지 논문, 단행본을 총망라하여 분석하였다. 인문사회과학 중심의 학계를 넘어서 학문분과 전 분야에 걸쳐서 학위논문과 학술지 논문, 학술서적 출판 현황을 집약하고 분류하고 평가한 단행본 출판은 처음이다. 다른 지역에 대한 다양한 지역연구의 경우에도 이런 형식의 단행본은 선례를 찾아보기 어렵다. 현 정부는 신남방정책을 주요 외교전략으로 표방하고 있다. 미중경쟁의 시대에 남방을 중시함으로써 한반도를 둘러싼 새로운 세력균형을 추구한다는 전략이다. 그런데 그런 창의적 전략 추진을 위한 기반이 되는 지식 축적의 지형은 어떠한지 제대로 조사된 바가 없었다. 이 책은 동남아 주요국가에 대한 상당한 정도의 지식이 국내적으로 축적되었다는 사실을 현황으로서 보여 준다. 세부적으로 한국인 전문가들과 학위논문의 목록을 제시하고 있다. 동시에 동남아의 약소국에 대해서는 여전이 지식이 부족하다는 점도 알려 줌으로써 어떤 지역에 대해 더 연구할 필요가 있는지를 지적한다. 동남아에 관한 우리나라의 지식 축적이 이제 반세기를 지나서 인문사회계를 넘어 이공계 분야까지 확산되고 있고, 동남아 출신 유학생들의 기여 또한 최근에 두드러지고 있다는 점은 매우 긍정적이다. 반면에 우리 동남아학계는 여전이 인문사회계 중심이고 현지인 유학생들의 업적을 포괄하고 있지 못하는 한계도 가지고 있다. 이 책은 동남아시아에 대한 연구에 있어서 학문 간 대학 간 칸막이 현상을 극복하고 현지인의 국내유학생들까지 아우르는 포괄성 확대가 필요하다는 것을 당면 과제로 제시하고 있다.
9788953421769

동남아시아 (미국 중국 갈등의 현장)

김한식  | 한국학술정보
8,550원  | 20050215  | 9788953421769
열강으로 불렸던 나라들 가운데 동남아를 소홀히 한 나라는 없었다. 지정학적, 문화적, 자원경제적으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 동남아를 두고 세계 최대세력 미국과 전통적인 지역의 강자 중국이 벌이는 갈등이 드러나는 지금의 동남아 국제관계를 조명하는 책. 동남아인의 관점에서 미, 중의 동남아 정책이 어떻게 작용하고 갈등하는지를 살피고 있다....
검색어 "동남아시아 외교"와 유사한 도서추천 목록입니다.
1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