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 |
무심정륜 (지은이) | 황금연못출판사
16,000원 | 2018-08-06 | 9788996880837
정륜의 '뭣도 가지지 않아서 자유' <무심>. 불교과 기독교, 도(道)와 선(禪)을 아우르는 진리를 이야기한다. 이것저것 섞인 사이비가 아니라 모든 성인의 말씀 속에 들어있는 오직 한 가지 가르침, '사랑과 구원'에 대해 이야기한다.
|
![]() |
무심장효선 (지은이) | 세상의모든책들
15,000원 | 2015-05-05 | 9788996781844
|
![]() |
무심이규정 (지은이) | 아시아문예진흥원
13,800원 | 2015-01-01 | 9788997507221
노동자 출신 소설가로 잘 알려진 이규정의 장편소설. 정년퇴직하는 근로자가 지나온 삶의 추억으로 더듬어가는 이야기다.
|
![]() |
무심문화영 (지은이) | 수선재
2,800원 | 2005-11-15 | 9788989150251
연말 연시에 연하장을 대신하여 주고 받을 수 있도록 꾸민 포켓북이다. 한 해를 마무리하고, 새로운 한 해를 준비하는 데 도움이 될만한 글들을 수록하여, 주위 사람들에게 감사의 마음을 전할 수 있도록 했다. 책의 첫 페이지에 간단한 메시지를 적어 보내면 된다.
|
![]() |
무심문화영 (지은이) | 수선재
2,800원 | 2004-11-15 | 6000137028
연말이면 주고 받지만 버려지기 쉽상인 연하장. 이런 현실에 안타까움을 느낀 출판사 7곳이 공동마케팅을 통해 연하도서를 제작했다. 중소 출판사들이 컨서시엄으로 새로운 판도를 찾고 연하장 역시 새로운 의미를 부여받도록 하는 데 기획의도를 두고 있다.
|
![]() |
무심문화영 (지은이) | 수선재
12,000원 | 2004-05-06 | 9788989150237
저자가 충청도의 명상마을에서 직장인 명상캠프를 운영하면서 겪은 실질적인 체험을 엮은 명상서. 직장생활의 스트레스와 가정문제, 인간관계의 애환 등을 예로 들면서 시원한 마음 처방법을 제시한다.
|
![]() |
무심허허당 (지은이) | 찬섬
8,000원 | 2000-07-01 | 9788986039504
|
![]() |
무심 공간손정모 (지은이) | 한국소설가협회
13,000원 | 2017-10-23 | 9791170320654
|
![]() |
[연하도서] 무심박건삼 (지은이) | 김&정
2,000원 | 2008-11-20 | 9788962020588
|
![]() |
무심 5다이치 반조 (지은이) | 대원씨아이(만화)
3,800원 | 2007-10-05 | 9788925218434
|
![]() |
무심 3다이치 반조 (지은이) | 대원씨아이(만화)
3,800원 | 2007-08-07 | 9788925216010
|
![]() |
무심 1다이치 반조 (지은이) | 대원씨아이(만화)
3,800원 | 2007-06-06 | 9788925214009
|
![]() |
경허의 무심경허 스님 (지은이) | 고요아침
8,500원 | 2004-04-30 | 9788990317056
|
![]() |
무심 그 영원의 꽃들오쇼 (지은이) | 황금꽃
20,000원 | 1999-05-01 | 9788988371053
|
![]() |
중국의학에서 본 병 아닌 병고다카 슈지 (지은이), 김덕곤 (옮긴이) | 전파과학사
16,800원 | 2024-04-02 | 9788970446523
“미병 뒤에는 중병이 있다”고 말하며, 방치하면 위험한 질환을 야기할 수도 있다고 한다. 서양의학과 중국의학 모두를 오랜 기간 공부해 온 의사 고다카 슈지가 미병의 진단과 대처에 대해 친절하게 해설한다.
|
![]() |
중국의학에서 본 병 아닌 병고다카 슈지 (지은이), 김덕곤 (옮긴이) | 전파과학사
10,000원 | 1994-05-01 | 9788970441542
|
![]() |
양M. access (엮은이) | 수력발전소
3,700원 | 2018-06-20 | 9788990391384
정수의 계산에서 배와 단위당 개념에 익숙해질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배의 개념을 충분히 익힐 수 있으며, 단위당 양을 배의 개념과 연결해 이해할 수 있다. 배, 비례의 개념의 기초를 닦을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