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 네이버책
  • 알라딘
  • 교보문고
"무예"(으)로 154개의 도서가 검색 되었습니다.
9791187610250

효천무예

류동구  | 책창고
67,500원  | 20241030  | 9791187610250
“효천무예 40년 술기 집대성” ! 효천무예는 몸 쓰는 법을 통하여 마음과 정신을 닦는 무예이며, 사람의 근본인 효를 통하여 하늘의 뜻을 배우는 한 배달, 한 민족의 무예를 모체로 하여 수없이 많은 수련과 연마를 통해 변화수와 응용수 등을 연구 개발하여 우리 정서와 문화에 맞게 재 적립 된 무예이다. 이제, 세계에 나아가 전 세계인이 효천무예의 술기를 익히고, 배우기 위해 이 책을 발간하였습니다.
9791138846561

비전 선무예

허일웅  | 좋은땅
22,500원  | 20250905  | 9791138846561
『비전 선무예』는 전통 무예의 철학과 실천을 현대적으로 풀어낸 책이다. 저자는 무예를 단순히 힘과 기술의 경쟁이 아닌, 몸과 마음을 수련하고 자연과 조화를 이루는 길로 제시한다. 선무예의 수련법은 호흡, 마음가짐, 몸의 균형을 하나로 아우르며, 이를 통해 흔들리지 않는 내적 힘을 기르는 과정을 담고 있다. 또한 무예를 상대를 이기는 도구가 아니라 자신을 다스리는 수행의 길로 바라보게 한다. 책은 무예의 역사와 철학을 짚어내는 동시에, 일상과 연결된 실천적 가치를 강조한다. 나아가 무예를 통해 집중력, 절제, 배려를 길러 현대 사회 속에서 개인과 공동체가 함께 성장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비전 선무예』는 무예를 넘어 삶을 단단히 세우는 수양의 길을 찾고자 하는 이들에게 깊은 울림을 주는 책이다. 저자는 선무예를 널리 알리기 위해 유튜브에 양생무예 선무예 동영상을 공개하고, 명지대학교 용인미래교육원에 강좌를 개설했으며, 나아가 서울 종로에 공개 수련 장소를 마련 중이다.
9791165391973

무예도

양성오  | 북랩
12,600원  | 20200511  | 9791165391973
무도는 하루 아침에 이루어질 수 없으며 끝없는 수련만이 달인에 이르는 길이다! 평생 마음의 평안과 육체의 건강을 가져다 주는 무예도 창시자 타이거 양의 현대인을 위한 무예도 교본. 무예도의 창시자 양성오 씨는 미국에서 타이거 양이란 이름으로 미국 무도계에서 정점을 찍은 무예가다. 그가 창시한 무예도는 쿵후, 합기도, 태권도의 장점만을 가져와 현대인에 맞게 개발한 종합 무술로 타이거 양은 무예도를 통해 정신과 육체를 단련할 수 있다고 가르친다. 싸움과 무예의 큰 차이점은 무예는 예와 도를 지키고 싸움은 그렇지 않다는 것이다. 무예도는 단순한 힘과 기술을 겨루는 것을 넘어 존경, 책임, 명예를 본질로 삼고 신체와 더불어 마음의 수련까지 가르친다. 그 때문에 건강한 육체와 함께 올바른 정신, 정직한 마음을 가질 수 있어 정신적인 소모에 시달리기 쉽고 신체를 단련하기 힘든 현대인에게 꼭 필요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9791192486079

본국무예

임성묵  | 행복에너지
79,200원  | 20220815  | 9791192486079
2008년부터 전통무예진흥법이 제정되어 시행되고 있다. 그러나 정부의 무관심 속에서 우리의 전통무예는 중국무술과 일본무도, 서양스포츠에 가려져 점점 설 자리를 잃어가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본국무예』 발간은 후대를 위한 기록이기도 하지만, 학계는 물론 무예계에 경종을 울리는 일이기도 하다. 한국무예계의 현실을 들어보면, 정부의 지원도 없고, 학계에서도 전통무예에 대해 크게 신경을 쓰지 않는다. 저자 임성묵 총재는 집요할 만큼 한·중·일 무예서를 탐독하여 수련하면서, 모든 무예종목 간의 연결고리를 찾아냈다. 서로 무관하게 떨어져 있었던 것으로 알고 있었던 무예 종목들이 실제는 하나로 연결된 무예 체계로 구성됐다는 것을 찾아낸 것은 무예사적으로 매우 중요한 연구다. 『본국무예』는 20여 년간 한·중·일 무예서를 연구해오면서 완숙의 경지에서 쓴 역작 중의 역작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업적을 남긴다는 것은 결코 쉬운 일이 아니다. 『본국무예』는 옛 무예서가 단순한 술기만 기록한 것이 아니라, 그 속에는 당시 신화와 의례를 비롯해서 세계관이 압축된 문화복합이 담겨있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이번 『본국무예』는 잃어버린 한국무예의 역사와 정체성을 밝히는 큰 등불이 될 것이다. 전통무예를 복원하는 것은 말처럼 쉽지 않다. 같은 책을 보고도 각기 다른 동작으로 복원되는 이유는, 기존에 배운 무예의 선입관의 영향과 한자와 그림에 대한 깊은 이해도의 차이에서 비롯된다. 대개가 평면의 2차원적 사고에 머물렀다면 임 총재는 입체적이고 3차원적 사고로 접근했다. 문인(文人)이 자연과 인간의 보편적인 법칙을 생각하고 깨달은 것을 기록한다면, 무인(武人)은 기운생동을 몸으로 깨닫고 기록한다. 그러므로 무예를 복원하고 연구하기 위해서는 한자에서 동사를 중심으로 동작을 찾아야 한다. 최초의 무예서는 갑골문과 금문으로 죽간에 기록한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옛 무예를 깊이 연구하기 위해서는 갑골문과 금문 중심으로 연구해야 한다. 잃어버린 상고시대의 정신문화를 찾기 위해서는 임 총재와 같은 새로운 접근방식의 연구가 필요해 보인다. 그러나 지금에 와서 전통무예의 흔적을 찾기란 쉽지 않다. 전란(戰亂)과 일제강점기를 거치면서 무예 관련 자료들이 소실되었다고는 하지만 우리가 전통무예를 소중하게 생각하지 못했다는 방증이기도 하다. 본서는 전통무예를 연구하는 일을 전업으로 하는 학자들도 손대지 못한 일을 해냈다. 『본국무예』는 발간된 것도 큰 성과이지만, 선조들이 물려준 비밀을 풀 수 있는 단서를 마련하여, 후대에 그 맥을 이어갈 수 있도록 했다는 것에 더 큰 의미가 있다. 아울러 정부 역시 우리 역사와 전통의 중요성을 느끼지 못하고 있다면 하루빨리 생각을 바꿔야 한다. 임 총재가 찾아낸 『무비문』에는 창, 곤, 파, 권, 사, 기사 등 여러 종류의 무예는 물론 대동유술의 기법을 기록한 「비전해법」과 택견의 동작까지 있다. 그 속에 그려있는 무인은 상투를 한 조선 사람으로 한국 무예사에 소중한 사료(史料)가 될 것이다. 이번에 출간한 『본국무예』는 훗날 무예문화 창달은 물론 무예의 역사서로서 후손들에게 길이 남아 문무합빈(文武合斌)으로 무예문화를 찬란하게 꽃피우게 할 것이 분명하다. 어려운 환경 속에서도 한국무예의 맥을 이어가는 모든 분들에게도 큰 힘이 되어주기를 희망해 본다.
9791112001917

일본무예 총람 (각 무예의 독특한 역사와 철학, 기술 체계)

테라다 준  | 부크크(bookk)
18,000원  | 20250616  | 9791112001917
일본 무예는 형식과 예절을 중시하며, 이는 단지 형식주의가 아닌 자기 통제와 상대에 대한 존중의 표현입니다. 또한 '센신이치(先心一)', 즉 마음과 몸이 하나 되는 경지를 추구하며, 이를 통해 순간적 직관과 완벽한 집중력을 발휘하고자 노력합니다. 이러한 무예의 수련은 도장 안에서의 기술 연마를 넘어 일상에서의 자세와 태도로 확장되어, 수련자의 삶 전체를 변화시키는 힘을 가지고 있습니다. 현대 사회에서 일본 무예는 국경을 초월해 전 세계인의 사랑을 받고 있고, 올림픽 종목이 된 유도와 가라테부터 전통적 형태를 고수하는 궁도와 아이키도까지, 다양한 형태로 발전하며 각기 독특한 매력을 발산하고 있습니다. 이 총람에서는 주요 일본 무예의 역사, 기원, 대가들, 그리고 현대적 실천 방식을 살펴보며, 그 속에 담긴 철학과 정신적 가치를 탐구해 보았습니다. 무사도 정신이 깃든 이 전통 무예들은 오늘날까지 전 세계인의 존경을 받으며, 급변하는 현대 사회에서도 여전히 유효한 삶의 지혜를 전달하고 있습니다.
9788924144963

뇌건강과 봉술체조, 백세친구 단동기공 (단동무예교재)

노병일  | 퍼플
20,000원  | 20250116  | 9788924144963
저자는 뇌과학 근거기반으로 노인의 신체적 특성과 심리적 특성, 사회적 특성을 고려하여 단동무예(檀童武藝)의 곤법 수련동작을 토대로 개인별 체력에 맞는 봉술체조 운동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노인복지관과 치매예방센터의 수업을 통해 신경생리학적 효과를 증명하고자 하였다. 단동무예의 단동기공(檀童氣功)은 어릴 때부터 ‘도리 도리 깍궁’, ‘잼잼’, ‘짝짝궁’, ‘곤지곤지’ 등을 들려주는 전통 육아 교육법인 단동치기(檀童治基) 12훈의 동작에 기공이론과 봉술체조를 융합(融合)한 건강증진 프로그램이다. 단동기공은 손으로 하는 수(手)기공과 짧은 봉(스틱)으로 하는 단봉기공과 중봉기공으로 하는 봉술 기공(Stick Gigong) 체조로 구분하였다. 스틱 테라피(Stick Therapy) 이며 브레인 피트니스(Brain Fitness)인 단동기공체조는 온몸의 관절, 근육, 경락과 경혈, 림프절의 림프를 자극하여 관절 유연성과 근육발달, 바른 자세와 균형감각 및 체력 향상, 체형 교정 및 통합적인 전뇌 발달을 통한 인지기능 향상, 온몸의 신진대사가 원활해져 혈액순환과 면연력 향상 및 다이어트에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좁은 공간의 가정에서 개인 심신운동 및 앉아서도 누워서도 가능하며 야외에서는 단체운동으로 사회성과 협동심을 높이는 효과도 있었다. 이러한 봉술 기공체조는 개인의 건강은 물론 위기상황에 자기는 물론 가족과 이웃을 보호할 수 있는 호신능력을 키워주는 효과까지 있다. 더불어 문화체육관광부 소속 한국직업능력개발원의 민간자격 봉술기공 지도사(제2018-004553호)로 활동하고 있다.
9788962065046

무예개론

허건식  | 레인보우북스
18,000원  | 20210830  | 9788962065046
20세기 무예가 서구 스포츠화와 더불어 성장했다면, 21세기 무예는 인류무형유산으로서의 가치가 부각되고 있다. 전통무예는 유네스코의 인류무형유산으로서 그 가치를 인정받고 있으며, 유네스코 체육스포츠분야(CIGEPS) 상임자문기구(PCM)인 유네스코 자문기구인 세계무술연맹(WoMAU)과 세계무예마스터십위원회(WMC), 그리고 유네스코 C2기구인 국제무예센터(ICM)가 대한민국 충북에 본부를 두고 있다는 사실만으로도 우리나라는 무예강국으로서 국제적 지위를 확보하고 있다. 본 서는 지난 30여년 간의 노트를 중심으로 정리한 것이다. 대학원 석사과정을 마칠 무렵인 1996년 포털 네띠앙 ‘무예보고서’라는 개인 홈페이지를 만들어 무예정보를 교류했다. 그러나 포털 네띠앙이 경영난으로 문을 닫고, 그 후 다양한 포털사이트의 블로그와 카페에서 운영되었으며, 2010년 티토리 ‘무예보고서’(martial-arts.tistory.com)로 공유하면서 안정된 블로그를 유지하게 되었다. 이 과정에서 무예를 공부하는 많은 이들과 함께 하게 되었고, 그 자료들을 하나 둘 다시 정리하여 그동안 출판한 2003년 《무도론 강의노트》와 2006년 《무도연구기초》와 함께 새롭게 출판하게 되었다. Ⅰ장에서는 ‘무예란 무엇인가?’라는 주제로 무예의 동인, 개념, 현대적 인식, 분류 등의 기초적인 내용을 중심으로 다루었고, Ⅱ장에서는 무예의 발달사를 각 국가와 민족, 대륙별 특성을 정리하였으며, Ⅲ장은 필자가 꾸준히 연구하고 있는 ‘무예의 문화적 구조’를 중심으로 다루었다. Ⅳ장은 ‘무예의 원리’와 Ⅴ장의 ‘무예의 수련원리’, Ⅵ장의 ‘무예의 수련구조’라는 주제로 무예의 수련체계 이론을 중심으로 정리하였으며, Ⅶ장 ‘무예도장 탐구’, Ⅷ장 ‘무예인물탐구, Ⅸ. ‘무예서 탐구’, Ⅹ. ‘무예문화탐구’ 는 필자가 그동안 써 왔던 각종 기고문을 정리해 본 서에 추가하였다.
9788928520213

스프링 무예체조 (홍재무예체조)

최형국  | 민속원
13,500원  | 20240920  | 9788928520213
망각의 기억 속, 잃어버린 몸 문화를 ‘무예’ 속에서 찾는다. 몸과 마음의 중심영역 ‘스프링’을 이해하고, 일상에 지친 몸의 조화를 되살린다. 이 책은 무예를 통해 몸을 다스려 마음을 채우는 몸짓을 담고 있다. 필자는 몸과 마음의 원천이며, 중심이자, 단전이자, 코어이자, 힘의 근원을 ‘스프링(The Spring : 몸+마음의 원천)’이라 부르고자 한다. 몸과 마음은 ‘나’라는 존재를 완성시키는 시작이자 끝이다. 무예는 손의 자유로움과 함께 새로운 인간으로 아니 좀 더 자유로 운 인간의 몸으로 진화하고자 하는 인류의 갈망이 담겨있는 몸짓이다. 이러한 무예적 움직임을 통해 인간의 몸은 전투적 몸쓰기 단계로 발전한 것이다. 오직 인간만이 의식적으로 도구를 사용하여 적을 공격하거나 방 어할 수 있는 새로운 종으로 거듭났다. 그 무수한 반복을 통해 만들어진 의식적 움직임이 몸과 마음의 중심 인 스프링과 자연스럽게 연동하는 것 그것이 무예다. ‘무예하는 인간’의 탄생이다. Homo Martial arts! 나는 항상 평온하기를 원하지만, 세상은 결코 내버려 두지 않는다. 하지만 험난한 파도가 유능한 사공을 만든 다. 무예 수련을 통해 그 험난한 파도를 이겨내고, 평온한 마음의 상태를 만들어가는 것이 내일의 나를 더 좋은 사람으로 거듭나게 할 것이다. 무예는 몸과 마음의 중심인 스프링을 이해하며 몸을 자유롭게 만들고, 마음 을 다스리는 최고의 몸짓이다. 무예는 무력을 위한 원초적 수단이 아니라 그 수련과정 자체로 의미가 있다. 이를 통해 몸과 마음의 균형을 찾아가고 그것을 통해 좀 더 평안한 삶을 풀어낼 수 있을 것이다. 누구나 항상 봄처럼 싱그럽게 살고 싶고, 용수철처럼 탄력적인 삶을 만들고 싶고, 샘물처럼 쉼 없는 생명의 힘을 세상과 나누고 싶을 것이다. 무예는 몸(身)을 다스려 맘(心)을 채우는 인류 최고의 몸짓이다.
9791165459420

무예십팔기 (해범 김광석 선생 어록)

이일형  | 바른북스
37,800원  | 20221129  | 9791165459420
1980년대, 우리나라 최초로 《무예도보통지武藝圖譜通志》의 〈무예십팔기武藝十八技〉를 본격적으로 공개하고 후학들을 길러온, 한국무예의 무학종사武學宗師로 존경받아 온 해범海帆 김광석金光錫 선생의 가르침이 무예어록武藝語錄의 형식을 빌려 독자들을 생생한 수련의 현장으로 데려간다. 저자는 《무예십팔기(해범 김광석 선생 어록)》을 통하여, 지난 40여 년을 해범 선생의 가까이에서, 보고 듣고 익힌 무예와 수양의 길에 대한 가르침들을 정리하여, 무예를 하는 사람들에게 지침이 될 많은 내용을 공개하고 있다. 한국무예에 대한 바른 정의와 무예 수련에 대한 체계적 방법론, 예로부터 선조들이 행해 온 건강과 양생을 위한 다양한 운동 등, 비전으로만 전해져 온 한국 도가무예道家武藝의 진면목이 그대로 드러난 책의 내용은 비단 무예인들 뿐만 아니라, 우리 민족의 전통적인 몸짓을 연구하는 체육계와 문화계의 영역에서도 새로운 관점으로 시야를 넓힐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다. 더하여 건강을 추구하는 일반인은 물론, 무엇보다 수양의 길을 가는 사람들에게 몸과 마음을 다스리는 온전하고 완전한 길을 제시할 것이다.
9791130323176

실크로드 신체문화교류사 5: 몽골(전통무예, 무용, 유희) (전통무예, 무용, 유희)

김태영, 황의룡, 김태양, 이명희, 박귀순  | 박영사
20,900원  | 20250830  | 9791130323176
중앙아시아의 고원에는 80만 년 전부터 인류가 살았다고 한다. 그들은 석기시대부터 활과 화살, 창, 칼, 도끼 등 다양한 도구를 만들어 사용하였다. 주로 사냥을 하던 고대인들은 목축, 농경, 수공업 등의 생활의 다양한 분야를 새롭게 창조하였다. 4만 년 전에 빙하가 줄어들면서 몽골 땅의 자연 기후는 오늘날의 조건과 비슷해져 한랭건조지대에 속하게 되었다. 몽골은 평균 해발 1,580m의 중앙유라시아 고원지대에 있고, 총인구는 약 260만 명이다. 몽골은 21개 아이막과 330개의 솜이라는 행정구역으로 이루어져 있고, 수도인 울란바타르(Улаанбаатар)시와 다르항 올 아이막(옛 다르항시) 및 오르혼 올 아이막(옛 에르드네드시)의 3개 시로 구성되어 있다. 도시 성향이 강한 곳을 제외하고 약 30만 명의 국민이 순수하게 유목으로 생활하고 있다. 현재 내몽골은 중화인민공화국의 영토로 남아 있으며, 외몽골은 1924년 11월에 중국으로부터 독립하여 현재까지 독립된 국가체제를 유지하고 있다. 1924년 11월 24일에는 국호를 몽골인민공화국으로 정하고, 소련의 뒤를 이어 공산주의 국가가 되었다. 1989년 민주화를 요구하는 시위가 시작되면서 민주화혁명이 일어났으며, 1992년 2월에 신민주 헌법을 채택하고 국호를 몽골국으로 바꾸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 이러한 배경을 토대로 이 연구에서는 몽골 사회에서 인류 탄생과 더불어 지속되었던 서민들의 투쟁기술, 또는 생활상을 적나라하게 보여주는 신체문화로서 계승, 발전되어 온 전통무예와 무용, 그리고 유희에 관해 연구하여 정리하였다. 지금까지 실제로 실크로드를 통한 신체문화 항목을 주제로 ‘비교민속학’이나 ‘문학사’, ‘사회문화사’, ‘예술사’ 등에서 동서지역 간의 상호교류를 밝혀주는 여러 연구가 발표되었다. 그중에는 뛰어난 성과를 보여주는 연구도 있지만, 인간의 본능에서 발현되는 신체활동(전통무예, 무용, 유희)에 관한 연구는 아직도 각각의 민족이 각자도생의 길을 걷고 있을 뿐이라는 고민을 우리에게 안겨 주었고, 그 해결책을 찾기 위해 이 연구는 출발하였다. 다행하게도 본 연구소는 기초학문을 육성하는 토대연구사업의 인문사회분야 지원사업에 선정되어 5년간(2017-2022) 실크로드를 통한 아시아 7개국의 전통무예, 무용, 그리고 유희로 나누어 신체문화와 관련된 문화사적 연구를 진행하게 되었다. 이 연구를 진행함에 있어서 전체를 아우르는 1권과 각 국가의 전통신체문화 7권, 그리고 이 7개국의 신체문화를 총망라한 교류사 부분 1권으로 구성하여 단행본으로 출판하게 되었는데, 그중에 다섯 번째로 몽골의 전통신체문화를 밀도 있게 다루어 집대성한 연구물이다.
9791130323169

실크로드 신체문화교류사 4:중국(전통무예, 무용, 유희) (전통무예, 무용, 유희)

김태영, 황의룡, 김태양, 이명희, 박귀순  | 박영사
24,700원  | 20250830  | 9791130323169
실크로드는 고대시대부터 사람들과 장소를 서로 이어주는 세계의 중추신경계 역할을 하였고, 이를 통해 문물과 문명, 종교를 포함한 다양한 문화들이 상호 주고받으며 인간생활에 기여해 왔기 때문에 서로를 이해하는 매우 중요한 루트로 알려져 있다. 인류의 삶을 관통해 온 신체문화는 각 국가의 민속유희로, 또 다른 갈래로는 스포츠로 발전하여 이어져 왔다. 이러한 흐름은 단순히 한 국가 내에서만 이루어진 것이 아니다. 특히, 서로 이웃해 있는 한국, 중국, 일본 3국은 수없이 많은 교류와 갈등이 있었고, 그 과정 속에서 많은 영향력을 주고받았다. 고대사회부터 인간의 거의 모든 행위가 종교 신앙에서 비롯되었기 때문에 신에게 제사를 지내며 풍농과 풍어 그리고 서로의 안위를 빌기 위해 거행하였던 연희(演戲)는 신과 사람을 잇는 통로이자 다리로 인간문화의 중요한 한 부분을 차지해 왔다. 이 시대는 부족이나 민족 간의 침략과 정복이 일상화되었던 시대적 혼란 속에서 자기방어뿐 아니라 상대방과의 싸움에서 이기기 위해 연마하던 무예를 비롯하여 신과 인간의 신명을 위해 추었던 무용, 민중의 원형적 행위를 토대로 삶의 중요한 기능으로 작용한 유희(놀이)가 발전되어 왔다. 다행히 많은 전통무예와 무용, 그리고 유희가 아직도 우리 사회에 전승되어 전통적 신체문화로서 많은 사람들에게 주목받고 있다. 중국은 끊임없이 주변 여러 나라의 문화를 받아들여 자신들의 문화를 풍부하게 가꾸어 왔다. 예를 들어 한(漢)나라 이후에 위진남북조(魏晉南北朝)와 수(隋)나라, 당(唐)나라 등의 역대 중국 왕조들은 주변국들의 악(樂, 음악은 물론 유희 포함)을 받아들여 풍부하게 발전시켰다. 수나라의 칠부기(七部伎)와 구부기(九部伎), 당나라의 십부기(十部伎)를 예로 들면 그 내용은 원래 중국의 악은 두세 개 정도였고 서역의 악이 대부분이었다. 여기에는 고구려악도 포함되어 있었다. 이러한 배경을 토대로 이 연구에서는 중국 사회에서 인류 탄생과 더불어 지속되었던 서민들의 투쟁기술, 또는 생활상을 적나라하게 보여주는 신체문화로서 계승, 발전되어 온 중국의 전통무예와 무용, 그리고 유희에 관해 연구, 정리하였다. 실제로 중국에서 실크로드를 통한 신체문화 항목을 주제로 ‘비교민속학’이나 ‘문학사’, ‘사회문화사’ ‘예술사’ 등에서 동서지역 간의 상호교류를 밝혀주는 여러 연구가 발표되었다. 그중에는 뛰어난 성과를 보여주는 연구도 있지만, 인간의 본능에서 발현되는 신체활동 영역(전통무예, 무용, 유희)에 관한 연구는 아직도 각국이 각자도생의 길을 걷고 있을 뿐이라는 고민을 우리에게 안겨 주었고, 그 해결책을 찾기 위해 이 연구는 출발하였다.
9791130323152

실크로드 신체문화교류사 3:일본(전통무예, 무용, 유희) (전통무예, 무용, 유희)

김태영, 황의룡, 김태양, 이명희, 박귀순  | 박영사
24,700원  | 20250830  | 9791130323152
이 연구가 주제로 선정한 실크로드의 아시아 7개국이란 한국을 비롯해 바다 건너 일본과 중국, 몽골, 카자흐스탄, 우즈베키스탄, 이란을 가리킨다. 실제로 실크로드 상에는 수많은 나라가 존재해 왔는데, 왜 하필 이 7개국이냐고 질문한다면 아직은 정확한 학술적 근거를 제시하기 어려운 것이 사실이지만, 지구상에서 동서의 문명교류라는 관점에서 실크로드가 역사적으로 인류의 문화 발전에 큰 역할을 했다는 점이 많은 연구를 통해 밝혀졌다. 아시아 대륙의 동쪽 끝에 있는 일본 열도는 온대 지방에 속해 있고, 사계절의 변화가 뚜렷해서 농경 시대가 도래한 이후 문화가 발달하기에 적합하였다. 지리적으로 국토가 수많은 섬으로 이루어져 있고, 동서로 좁고 남북으로 길게 뻗어 있다. 서쪽은 아시아 대륙에 접해 있고, 동쪽은 넓은 바다를 뜻하는 태평양과 접하고 있기 때문에 외부로부터의 문화 전파를 수용하기에도 용이했다. 그러나 근대에 들어와 동양에 위치해 있으면서도 독특한 정치 구조를 지니면서 제국주의를 선택하는가 하면, 제2차 세계대전을 벌이고, 또 전후에는 놀랄 만한 경제적 발전을 이룩한 나라이기 때문에 세계인의 눈에 일본은 무언가 색다른 나라로 인식되어 왔다. 특히 일본은 끊임없이 주변 여러 나라의 문화를 받아들여 자신들의 문화를 풍부하게 가꾸어 왔다. 문화가 전파되어 정착하면 다른 곳으로 빠져나가지 못하는 섬나라의 특성을 잘 살려서 일본 민족의 독특한 문화로 재생산하였다. 특히 자신을 보호하거나 타인과의 투쟁 기술로 몸에 익히며 전승되어 온 무예, 신과 인간의 관계를 밀접하게 연결해 주며 아우르는 제례나 의례, 축제 속의 무용, 또 일상생활 속에서 삶의 즐거움을 풍족하게 해주는 해학, 즉 유희와 같은 신체문화를 풍부하게 가꾸어 왔던 것으로 나타난다. 그러므로 태곳적부터 일본인의 일생과 떼려야 뗄 수 없었던 다양한 신체문화유산에 대해 통사적으로 조사, 분석하여 그 특성을 찾아내는 작업은 인문사회과학의 토대 연구로서 우리 사회의 지식을 넓히고 외연을 확장하는 데 유용할 것이다.
9791130323138

실크로드 신체문화교류사 1: 전통무예, 무용, 유희 (전통무예, 무용, 유희)

한국외국어대학교 한국글로벌스포츠건강문화센터  | 박영사
26,600원  | 20250830  | 9791130323138
오랜 기간 실크로드를 통해 교류해 온 동아시아와 중앙아시아 7개국이 민족별로 즐기며 계승해 온 전통무예와 무용, 그리고 유희 종목이 어떻게 탄생하였고, 변용되어 왔는지를 문화교류사 관점에서 검토하고 전망한 결과를 도출하였다. 실크로드로 연결된 각 국가별 전통무예, 무용, 유희 종목들을 상호 비교하여 그 공통점과 차이점을 밝히고, 각각의 신체 문화 종목들이 상호 어떤 영향을 주고받았는지를 제시하였다. 실크로드 국가의 전통무예와 무용, 유희에 관한 사료, 유물, 그림, 사진, 연구물 등을 수집하여 학술적 토대연구 자료로 체계화하고 후속 연구를 위한 다양한 자료로 제시하였다. 동아시아를 포함한 중앙유라시아 국가들의 전통문화에 대한 우리 사회의 학문적, 대중적 관심과 이해를 돕도록 실크로드를 통한 문화교류의 공통점과 상이점을 연구하는 데 주력하였다. 아시아 7개국의 전통무예, 무용, 유희 종목과 관련된 자료수집, 분석을 집대성한 연구결과를 종합해 실크로드로 연결된 중앙아시아와 동아시아 국가 간의 신체문화에 대한 현대적 의미를 고찰, 제시하였다.
9791130323145

실크로드 신체문화교류사 2:한국(전통무예, 무용, 유희) (전통무예, 무용, 유희)

김태영, 황의룡, 김태양, 이명희, 박귀순  | 박영사
27,550원  | 20250830  | 9791130323145
오랜 기간 실크로드를 통해 교류해 온 동아시아와 중앙아시아 7개국이 민족별로 즐기며 계승해 온 전통무예와 무용, 그리고 유희 종목이 어떻게 탄생하였고, 변용되어 왔는지를 문화교류사 관점에서 검토하고 전망한 결과를 도출하였다. 실크로드로 연결된 각 국가별 전통무예, 무용, 유희 종목들을 상호 비교하여 그 공통점과 차이점을 밝히고, 각각의 신체 문화 종목들이 상호 어떤 영향을 주고받았는지를 제시하였다. 실크로드 국가의 전통무예와 무용, 유희에 관한 사료, 유물, 그림, 사진, 연구물 등을 수집하여 학술적 토대연구 자료로 체계화하고 후속 연구를 위한 다양한 자료로 제시하였다. 동아시아를 포함한 중앙유라시아 국가들의 전통문화에 대한 우리 사회의 학문적, 대중적 관심과 이해를 돕도록 실크로드를 통한 문화교류의 공통점과 상이점을 연구하는 데 주력하였다. 아시아 7개국의 전통무예, 무용, 유희 종목과 관련된 자료수집, 분석을 집대성한 연구결과를 종합해 실크로드로 연결된 중앙아시아와 동아시아 국가 간의 신체문화에 대한 현대적 의미를 고찰, 제시하였다.
9791130323206

실크로드 신체문화교류사 8: 이란(전통무예, 무용, 유희) (전통무예, 무용, 유희)

김태영, 황의룡, 김태양, 이명희, 박귀순  | 박영사
20,900원  | 20250830  | 9791130323206
오랜 기간 실크로드를 통해 교류해 온 동아시아와 중앙아시아 7개국이 민족별로 즐기며 계승해 온 전통무예와 무용, 그리고 유희 종목이 어떻게 탄생하였고, 변용되어 왔는지를 문화교류사 관점에서 검토하고 전망한 결과를 도출하였다. 실크로드로 연결된 각 국가별 전통무예, 무용, 유희 종목들을 상호 비교하여 그 공통점과 차이점을 밝히고, 각각의 신체 문화 종목들이 상호 어떤 영향을 주고받았는지를 제시하였다. 실크로드 국가의 전통무예와 무용, 유희에 관한 사료, 유물, 그림, 사진, 연구물 등을 수집하여 학술적 토대연구 자료로 체계화하고 후속 연구를 위한 다양한 자료로 제시하였다. 동아시아를 포함한 중앙유라시아 국가들의 전통문화에 대한 우리 사회의 학문적, 대중적 관심과 이해를 돕도록 실크로드를 통한 문화교류의 공통점과 상이점을 연구하는 데 주력하였다.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