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 네이버책
  • 알라딘
  • 교보문고
"미디어와 법"(으)로 7개의 도서가 검색 되었습니다.
9791128804526

미디어와 법

문재완, 지성우, 이승선, 김민정, 김기중, 이성엽  | 커뮤니케이션북스
34,020원  | 20170310  | 9791128804526
한국언론법학회 총서 『미디어와 법』. 미디어는 공기처럼 우리를 둘러싸고 있다. 누구라도 불시에 이와 관련된 법적 문제에 직면할 수 있다. 어떻게 대비할 것인가? 한국언론법학회의 미디어법 교과서인 이 책을 보라. 미디어와 법을 전공한 학자 15명이 명예훼손, 프라이버시 침해, 표현의 자유, 개인정보 보호, 저작권, 잊힐 권리와 언론구제제도까지 다양한 판례와 이론을 제시한다. 나아가 이 책은 새로운 미디어 환경에서 나와 관련된 법적 문제를 스스로 해결할 힘을 길러 줄 것이다.
9791128804533

미디어와 법(큰글씨책)

문재완, 지성우, 김민정, 김기중  | 커뮤니케이션북스
36,860원  | 20170310  | 9791128804533
한국언론법학회 총서 『미디어와 법』. 미디어는 공기처럼 우리를 둘러싸고 있다. 누구라도 불시에 이와 관련된 법적 문제에 직면할 수 있다. 어떻게 대비할 것인가? 한국언론법학회의 미디어법 교과서인 이 책을 보라. 미디어와 법을 전공한 학자 15명이 명예훼손, 프라이버시 침해, 표현의 자유, 개인정보 보호, 저작권, 잊힐 권리와 언론구제제도까지 다양한 판례와 이론을 제시한다. 나아가 이 책은 새로운 미디어 환경에서 나와 관련된 법적 문제를 스스로 해결할 힘을 길러 줄 것이다.
9791186456255

현대인을 위한 IT 미디어와 법

손형섭  | 동방문화사
27,000원  | 20160307  | 9791186456255
▶ 이 책은 현대인을 위한 IT 미디어와 법에 대해 다룬 도서입니다. 현대인을 위한 IT 미디어와 법의 기초적이고 전반적인 내용을 학습할 수 있도록 구성했습니다.
9788957110577

미디어와 정보공개법

이구현  | 한국언론재단
19,000원  | 20041115  | 9788957110577
9788957114247

디지털 시대 뉴스 미디어와 법제도 (언론재단 연구서 2016-01)

박아란, 문재완, 이승선, 이용성  | 한국언론진흥재단
14,850원  | 20161031  | 9788957114247
모바일 환경이 도래하면서 신문과 방송이라는 전통적인 포맷 구분은 무색해지고 있다. 프린트와 영상 미디어가 융합된 멀티 미디어 저널리즘, 콘텐츠와 독자의 상호작용성을 높인 인터랙티브 저널리즘, 개별 콘텐츠 사이의 연결망을 구축하는 스트럭처 저널리즘이 뉴스의 미래를 예고하고 있다. 『디지털 시대 뉴스 미디어와 법제도』는 이용자 중심 디자인의 관점에서 뉴스 포맷의 신조류를 탐구한다.
9788957111024

미디어 정치시대의 미디어와 선거법 (조사분석 2005-09)

김영주 외  | 한국언론진흥재단(한국언론재단)
21,000원  | 20051210  | 9788957111024
2005년 8월의 선거법 개정을 계기로 그러한 변화가 어떻게 이루어졌고, 그 의미는 무엇이며, 어떠한 한계와 문제점을 지니고 있는가를 선거보도와 선거캠페인을 중심으로 살펴본 연구서....
9791128811883

디지털 시대의 미디어와 저작권 2018년 (2018년 개정판)

방석호  | 커뮤니케이션북스
47,310원  | 20180904  | 9791128811883
지상파방송도 디지털로 전환이 되면서 저작권법은 최근 20여 년 동안 혁명적인 변화를 보이고 있다. 다양한 디지털 저작물 시장과 이를 전달하는 방송, 인터넷, 통신 등 각종 플랫폼의 경쟁 속에서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이 출현했고 저작권법은 그 어느 때보다 많은 도전을 받고 있다. 체계적 이론 소개와 함께 시장에서 실제로 발생하는 최신 저작권 분쟁 사례, 법제, 정책들도 살펴본다. 디지털 혁명이 몰고 온 변화에서 ‘불법복제와의 전쟁도구’ 정도로 저작권법을 이해한 대가는 컸다. 인터넷 강국이라는 대한민국에서 P2P 음악 비즈니스 모델이 고정관념과 경직된 법에 갇혀 버린 사이에 시장은 크게 위축되고 기타 콘텐츠 시장의 자발적 구조 변화는 기대하기 힘든 상황이 되어 버렸기 때문이다. 기적적으로 K팝이라는 외부 변수 덕분에 국내 디지털 음악 시장의 경쟁력이 겨우 회복되었지만 콘텐츠 산업의 경쟁력을 위해 작동하게끔 그 역할이 변한 ‘저작권 법제와 정책’에 신경을 쓰지 않으면 콘텐츠 전달 플랫폼 전쟁에서 다시 뒤처지는 잘못을 반복할 수 있다. 개정판에서는 특히 음반제작사, 기획사, 이동통신사, 인터넷 사업자 등이 디지털 음악 시장의 변화에 어떻게 대응했고 어떤 교훈을 얻을 수 있는지를 상술함으로써 독자들이 인터넷이라는 플랫폼과 저작권법제가 쉽게 연결지어져 이해할 수 있도록 노력했다. 물론 이 책이 초판부터 견지한 장점인 ‘저작물 전달 매체를 둘러싼 실제의 분쟁 사례 상담코너’를 개정판에서도 계속 살리되 내용을 더 많이 보강하고, 최신 국내외 판례들을 이해하기 쉽게 설명함으로써 업계, 연구계 종사자들도 도움을 받을 수 있도록 하였다.
1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