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 네이버책
  • 알라딘
  • 교보문고
"백설공주는 왜"(으)로 5개의 도서가 검색 되었습니다.
9788979973600

백설공주는 왜 도움만 받았을까요

그림형제  | 자유지성사
8,550원  | 20210108  | 9788979973600
『어린이 동화논술 생각바꾸기』 는 초등학교 국어교과서에 나오는 세계명작 12편을, 어린이들의 생각을 확장시켜 주기위해 "왜"라는 질문으로 발제(發題)한 동화작품별(童話作品別) "창의적 자기주도 독서법" 입니다.
9791190089630

백설공주는 왜 거울 속에 있었을까 (김이하 에세이)

김이하  | 생각나눔
7,900원  | 20190830  | 9791190089630
어느 심리학자의 말을 빌리면 어린아이는 거울에 비친 자신의 모습을 반가워하며 손으로 거울을 만져보며 알 수 없는 말을 건네곤 하면서, 스스로 자기의 존재가 엄마와 분리된 독립적인 존재임을 처음으로 발견한다고 한다. 나의 모습과 똑같은 타인으로 인하여 나는 살아있음을 증명받는다. 나의 모습과 똑같은 타인을 통해서 나는 말한다. 나의 모습과 똑같은 타인을 매일매일의 거울 속에서 맞이한다. 내가 웃으면 타인도 웃는다. 내가 화내면 타인도 화낸다. 거울 속에 있는 백설공주는 누구인가!
9788958073345

백설공주는 왜 자꾸 문을 열어 줄까 (동화로 만나는 사회학)

박현희  | 뜨인돌출판사
9,210원  | 20110630  | 9788958073345
답답하게 갇혀있던 사고의 틀을 벗어나라! 동화로 만나는 사회학『백설공주는 왜 자꾸 문을 열어 줄까』. 백설공주는 왜 호되게 당하고도 또 문을 열어줄까? 라푼젤은 왜 머리카락을 스스로 잘라 밧줄로 만들어 내려오지 않지? 황금알에 눈이 멀어 거위의 배를 가른 농부는 그 후에 더 행복해지지 않았을까? 이 책은 동화의 미심쩍은 부분에 질문을 던지며 새로운 관계와 연대를 상상하는 사회학 에세이다. 저자는 동화에서 교훈을 얻기는커녕 다스리는 자의 욕심과 음모와 편견, 경계 밖으로 나간 이를 배제하려는 시도를 읽어낸다. 이 세상은 일탈한 자들, 규칙을 조롱한 자들에게 빚지고 있음을 강조하며, 너무도 당연하게 받아들여지던 동화의 결말을 사회학적 시선으로 살펴보고 있다.
9788958077749

백설공주는 왜 자꾸 문을 열어 줄까(큰글자도서) (동화로 만나는 사회학)

박현희  | 뜨인돌출판사
25,110원  | 20200929  | 9788958077749
"교훈"이라 쓰고 "나쁜 교육" 이라 읽는다 동화 속에 숨겨진 교훈의 비밀과 진정한 동화의 의미에 대한 신개념 사회학 에세이 의심을 가득 안고 동화를 읽는 여자가 있다. 동화 속 주인공들을 보면 무슨 수로 “그 후로도 오래오래 행복했”는지 믿어지지 않는다고 한다. 분홍신을 신고 춤추던 소녀는 끔찍하게 생을 마감했고, 피노키오는 학교를 거부한 대가 치고는 너무 가혹한 벌을 받는다. 그뿐인가. 「미녀와 야수」의 미녀 같은 지극한 효녀 주인공들은 도대체 자기 살자고 자식을 사지로 내몬 부모를 어떻게 다시 볼지 궁금하다. 왜 동화 작가들은 주인공들을 이토록 고생시키면서 우리에게 ‘무언가’를 주입하려 했을까? 답은 이미 안다. 재미와 교훈을 얻으라고. 그런데 과연 거기에서 얻은 교훈은 공평무사하기만 할까? 동화를 통해 만들어진 규범은 좋은 세상에 기여했을까? 다음 세대에 의심할 바 없이 전수해 줄 정도로 좋은 가치를 담고 있기는 한가? 동화의 미심쩍은 부분에 질문을 던지며 새로운 관계와 연대를 상상하는 사회학 에세이『백설공주는 왜 자꾸 문을 열어 줄까-동화로 만나는 사회학』이다.
9788979973808

어린이 독서 토론. 논술 따라잡기. 10: 백설 공주는 왜 도움만 받았을까요 (’백설 공주’ 읽고 토론. 논술따라잡기)

어린이선비교실 편집부  | 자유지성사
9,000원  | 20220208  | 9788979973808
2022년 개정 교육 과정은 "왜?" 라는 질문을 중시합니다. "엄마, 자장면이 먹고 싶어요." "그래? 그럼 먹으러 가자." 그렇게 말하는 것은 지난 과거 교육 과정입니다. 2022년 개정 교육 과정은 이렇게 말해야 합니다. "우리 대장이 자장면이 먹고 싶구나. 그런데 볶음밥도 있고 짬뽕도 있고 우동도 있는데 왜 자장면이 먹고 싶지?" 이 물음에 아이가 "그냥 먹고 싶어요." 라고 대답했다면 그것 또한 지난 과거 교육 과정 스타일입니다. 이제 아이는 "왜?" 라는 엄마의 물음에 구체적으로 또박또박 '자장면이 먹고 싶은 이유'를 말해야 합니다. 그것이 2022년 개정 교육 과정에서 추구하는 것입니다. 결국 공부의 핵심은 근원을 따져 밝히고 자신의 의견을 논리적으로 진술하는 데 있습니다. 그것이 바로 논술이며, 이 훈련은 어렸을 때부터 꾸준히 길러 주어야 합니다. 우리는 아이들에게 동화책을 읽힙니다. 책을 읽은 아이에게 엄마는 이렇게 묻습니다. "재미있니?" 아이는 대답합니다. "네." 그걸로 끝입니다. 동화는 우리 아이들에게 꿈과 용기와 올바른 삶의 방식을 가르쳐 줍니다. 그것을 좀더 확실하게 깨우치게 하려면, "재미있니?" 라는 질문만으로는 곤란합니다. "왜 그랬을까?" "만일에 그 때 주인공이 이렇게 했다면 결과는 어떻게 달라졌을까?" "잠깐만, 그 방법밖에 없었을까?" 우리 아이들의 호기심을 자극하고 생각을 확장시킬 수 있는 질문을 던져 준 다음에 조리있는 답을 말할 수 있도록 유도해야 합니다. 그리고 그것을 글로 쓰면 논술이 되는 것입니다. 그런 의미에서 '어린이 독서ㆍ토론ㆍ논술 따라잡기'를 정성껏 만들었습니다. 단순히 읽는 것에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내용의 확실한 이해를 바탕으로 생각을 넓혀 갈 수 있도록 꾸몄습니다. 이 책을 잘 활용하면 우리 아이들의 사고력과 탐구력, 그리고 창의성이 무럭무럭 자랄 것입니다. 그것이 공부의 핵심입니다.
1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