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일간
|
주간
|
월간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 네이버책
  • 알라딘
  • 교보문고
"복식"(으)로 136개의 도서가 검색 되었습니다.
9791199321205

초빛의 한지공예 응용문양집 4: 궁중복식도안 (궁중복식도안)

한경화  | 한지와빛
45,000원  | 20250625  | 9791199321205
『초빛의 한지공예 응용문양집4-궁중복식도안-』은 전통유물의 한 분야인 궁중복식 도안의 원형을 바탕으로 한지공예에 적합하도록 재해석되어 그린 것 이며 이밖에 궁중 자수 도안, 현대적 패턴 도안, 십장생 도안, 등 유물에 나타난 사진과 자료, 그밖에 많은 서적의 도움을 받아 도안화 하였다.
9788936900076

복식

조효순  | 대원사
11,700원  | 20030930  | 9788936900076
복식의 풍속은 식생활이나 주생활과 함께 기층 문화의 알맹이일 뿐만 아니라 예의나 의식을 보여 주는 중요한 문화 현상이다. 이 책의 저자는 복식 심리의 입장에서 우리 옛 전통 의상에 대한 단순한 역사적인 규명보다는 그 속에 흐르는 민중 의식이나 심리를 살펴봄으로써 보다 근본적인 복식의 변천 원리에 접근할 수 있다는 견해를 밝히고 있다.
9788925417813

복식부기

제인 글리슨-화이트  | 교육과학사
13,500원  | 20230825  | 9788925417813
베니스 상인들이 현대세계를 어떻게 형성하였고, 그들의 발명이 지구를 어떻게 만들거나 파괴할 수 있었는가? 이 책은 복식부기의 역사를 살펴보고 있다. 12-13세기에 발생한 것으로 추정되는 복식부기원리는 루카 파치올리가 책에서 소개한 후 500년이 지난 오늘날에도 변함없이 적용되고 있다. 저자, 제인 글리슨-화이트는 루카 파치올리의 책이 출간된 후, 복식부기가 중세기와 산업혁명을 거쳐 오늘날까지 어떤 방식으로 전파되고 발전하였는가를 살펴보고 있을 뿐만 아니라 오늘날 기후변화의 시대에 복식부기가 해야 할 역할에 대해서도 살펴보고 있다.
9788994820576

전통 복식 따라 짓다 2: 여성 복식 (여성 복식)

이봉이  | 현자
18,000원  | 20200324  | 9788994820576
여성 복식 문화는 예나 지금이나 역동적으로 변화한다. 그 천변만화(千變萬化) 속에서도, 오랜 전통에 뿌리를 둔 복식 양식은 뚜렷한 근거를 지니며 자기 정체성을 띈다. 또 나아가서, 다양한 복식의 유행 현상과도 어우러져 그 흐름을 주도하며 하나의 큰 줄기를 형성하는 스타일이 된다. 이러한 복식 문화의 생명력이 고스란히 담긴 우리 한복은 앞으로도 끊임없이 주목 받으리라는 이 기대와 희망을 품고 나는, 옛 여성들의 복식을 살피고 한복 짓는 일을 천직으로 삼았다. 복식을 매개(媒介)로 하여 시대를 거슬러 오르고, 때론 그 시대상을 공유하는 것은 옛 사람들의 생활을 이해하고 그들의 삶을 들여다보는 과정이었다. 여성 한복은 저고리와 치마가 기본 복식으로 자리해 왔고, 신분과 예식, 또 옷의 기능에 따라 복식은 다양화되었다. 복식의 형태와 옷감의 종류·색·장식·분량의 차이가 착용자의 신분과 예식의 구분을 나타내기도 하고 의복의 기능에도 영향을 미쳤다. 예를 들자면 적의(翟衣)에서 4개의 용보(龍補), 남색 비단에 수놓은 적문(翟文)과 화문(花文), 깃·도련·소매에 둘린 홍색 선 등은 착용자의 신분과 상징을 나타내는 요소이었다. 궁중의 대례복이면서 민간의 혼례복으로 착용한 활옷은 겉감을 홍색으로 하고 안감을 청색 비단으로 하여 양과 음을 표현했고, 넓은 소매에 색동 장식과 흰색 한삼을 달고 무늬와 길상문을 수놓았다. 좁은 소매가 달린 당의는 화장 부분, 앞길·뒷길 부분, 고름 등에 화문花文, 박쥐, 글자를 금직(金織)하거나 금박(金箔)하여 장식했다. 이러한 금직(金織) 장식은 특권층에게만 허용된 기법이었다. 각 전통 복식의 특성은 유물이나 기록 외 자료들을 참고하여 확인할 수 있었다. 다양한 자료를 근거로 조선 시대 대례복인 적의·활옷, 상복인 원삼·노의·장삼, 소례복이면서 평상복인 당의·저고리·치마 외에 철릭, 장옷, 처네, 조바위, 털배자, 여자 아이 옷과 두루주머니, 댕기, 조각보 등을 지어 보았다. - 서문 중에서(이봉이)
9791167640796

일본 복식 문화와 역사 (일러스트로 보는)

글림자  | 혜지원
20,700원  | 20250123  | 9791167640796
고대 조몬·야요이부터 헤이안 시대를 거쳐 에도 막부, 그리고 현대까지 일러스트로 보는 일본 복식 문화와 역사! 일본 고대 시대인 조몬·야요이 시대부터 국가의 틀이 잡혀 가던 아스카·나라 시대, 귀족 문화가 꽃피웠던 헤이안 시대, 군사 정권이 시작된 막부 시대, 그리고 현대까지. 시대적 변화를 겪으며 발전하고 전통적인 요소와 외부의 영향을 받아들여 독자적인 복식 문화를 꽃피운 일본 복식 요소를 시대별, 국가별로 소개합니다. 일본 열도는 오래전부터 중국, 한국 등 인접 국가와의 교류를 통해 새로운 문화를 때로는 수용하고 때로는 배척하면서 일본 고유의 문화를 형성했습니다. 복식 역시 당시의 사회적 배경, 종교적 요소, 계층 구조 등 다양한 요인을 반영하며 변화해 왔습니다. 복식을 알아간다는 것은 그 시대의 삶과 가치를 이해한다는 것입니다. 『일본 복식 문화와 역사』는 일본 역사의 큰 흐름에 대해 개괄적으로 소개하고, 자연 환경, 사회적 변화, 사람들의 생활 방식이 복식에 어떤 식으로 반영되었는지를 세밀히 설명합니다. 화려한 일러스트와 함께 쉽고 재미있게 읽을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지금 만나 보세요!
9788936313623

복식미학 (패션을 보는 시각과 패션에 대한 생각)

김민자  | 교문사
26,680원  | 20130903  | 9788936313623
『복식미학』은 옷과 인간의 불가분의 관계를 욕망과 영혼의 개념으로 살펴보고 있다. 옷을 생활 속에 녹아 있어서 시시하며 그저 기계적인 하나의 일상적인 물건으로 보지 않고 인간의 욕망과 의지의 한 표출이라는 시각으로 바라보고 있다.
9788994820569

전통 복식 따라 짓다 1: 남성 복식 (남성 복식)

이봉이  | 현자
18,000원  | 20200229  | 9788994820569
오랫동안 한복과 더불어 살아오면서 나는, 전통 복식을 나름의 심미안(審美眼)으로 바라보게 되었다. 복식에는 옷의 구실과 기능뿐만 아니라 그것을 넘어 한 시대의 정신과 역사가 담겼다. 또 동시에 한 시대의 문화와 예술이 스며들어 있기에 전통 복식은 내게 더욱 매력적인 대상으로 다가왔다. 게다가 전통 복식을 스스로 지어 보면서, 전통 복식의 다양한 가치를 재발견하고 재해석하면서, 그에 더해 무언가 새로운 의미를 부여할 수 있으리라는 기대감과 사명감까지 생겼다. 전통 복식을 짓기에 앞서 옷감의 색상 배합과 다양한 바느질법으로 실용적인 부분과 미관적인 아름다움을 부각시켰을 뿐만 아니라 각 시대마다 통치체계에 따른 이념을 복식에 담아서 표현했다는 특징을 먼저 생각한다. 그 후 한 벌의 옷을 지으려면, 그 복식에 쓸 알맞은 옷감을 마련하는 일에서부터, 치수를 재고, 마름질을 하는 일련의 과정을 거쳐야 한다. 이때 옷감 소재의 직조 방법, 색상을 내기 위한 염색 과정, 그리고 문양과 직물의 특성 등을 살피고, 옛사람들의 신체 특성을 고려하여 치수를 예측해야 한다. 그다음 도식화에 따라 마름질된 평면적 도형들이 서로 만나고 바느질로 어우러져 입체적인 옷이 탄생한다. 이 책은 조선시대 복식 중에서 태조의 곤룡포를 가장 먼저 소개했다. 태조의 복식 유물은 전해지지 않았다. 그러나 나는 청룡포를 착용한 어진에 근거하여 치수를 계산하여 그 재현을 위한 원단을 준비했다. 마름질과 바느질을 하고 보에 수를 놓는 수작업 공정을 거친 다음, 곤룡포가 완성되었을 때 그 옷에서 ‘전통의 새로움’이라는 새 가치를 인식하게 되었다. - 서문 중에서(이봉이)
9791163721758

한국복식문화사 (고대부터 광복 이후의 한복과 의생활 변화)

김순영, 염정하, 이민정  | 전북대학교출판문화원
45,600원  | 20220910  | 9791163721758
한국복식은 한국인의 옷과 장신구를 말한다. 한국복식은 선사시대부터 현재까지 긴 시간동안 생명력을 이어 왔다. 〈한국복식문화사〉는 한국인의 옷과 장신구 문화의 오랜 역사를 개괄하는 책이다. 20세기 초 한국복식사학의 태동 이후 한국복식사를 개괄하는 개론서들이 다수 출판되어 왔음에도 불구하고 이 책이 집필된 계기는 대략 두 가지이다. 첫째, 한국복식에 대한 역사적 지식을 대중의 이해도를 고려하여 좀 더 쉽게 전달해야 하는 필요성 때문이다. 이 책은 내용면에서 방대한 한국복식문화사 지식을 전문적이고 학술적으로 설명함과 동시에, 형식면에서 비교적 쉽고 명료하게 핵심을 전달하는데 초점을 맞추었다. 전통 복식의 구조와 특성을 설명하기 위해 풍부한 도판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복식에 내재된 의미와 상징은 이해하기 쉽게 풀어 설명하였다. 따라서 이 책은 한국복식 연구자들 뿐 만 아니라 한국복식문화사를 처음 접하는 학부생들과 한국복식에 관심 있는 일반 대중에게 신뢰할 만한 자료로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이 책은 최근의 한국복식사 연구동향을 반영하고 현대의 한복문화를 포함하여 저술되었다. 대부분의 한국복식 관련 저서는 한국복식의 역사를 개화기 또는 일제강점기 이전까지 제한하여 기술하고 있으며 현대 시기를 생략하거나 소홀히 다루고 있다. 이 책은 고대부터 일제강점기까지의 한국복식 역사와 더불어 광복 이후의 한복과 의생활 변화, 현재의 한국복식 공예와 무형유산의 전승 현황까지 함께 소개함으로써 과거와 현재의 연속선상에서 한국복식의 흐름을 인식케 하고 보다 생동감 있고 살아있는 역사로서 한국복식을 알리고자 하였다.
9788931529968

유럽 고전 복식 연표 (비잔틴 시대부터 20세기 초반 유럽 고전 복식을 한눈에)

STUDIO JORNE  | 성안당
25,200원  | 20240221  | 9788931529968
유럽 복식의 흐름을 시대별로 한눈에! 다채로운 일러스트와 상세한 설명으로 생생하게 묘사한 아름다운 유럽 고전 복식의 세계! 《유럽 고전 복식 연표》는 시대별 흐름에 따라 달라지는 유럽의 복식 변천사를 한눈에 볼 수 있도록 연표 형태로 구성한 도서입니다. 앞면은 여성 복식, 뒷면은 남성 복식을 15장의 연표로 정리하였고, 펼쳐서 보는 것만으로도 아름다운 유럽 복식의 흐름을 자연스럽게 이해하고 파악할 수 있습니다. 비잔틴 제국, 로마네스크 등의 중세 시대부터 아르누보 시대 등 20세기 초반까지의 남녀 의복, 헤어스타일, 패션 아이템 등을 담았습니다. 이 책은 섬세하고 빈티지한 일러스트와 디자인으로 창작자들에게 영감을 주는 콘텐츠를 소개하는 ‘스튜디오 조네’가 텀블벅에서 《유럽 복식 일러스트북》,《하티 부티크》 등의 콘텐츠를 성공적으로 펀딩한 이후, 《원작 ㆍ 이야기 ㆍ 복식》에 이어 일반 독자들에게 공개하는 두 번째 책입니다. 다채로운 일러스트와 함께 각각의 그림에 대한 상세한 설명으로 배경지식 없이도 어렵지 않게 이해할 수 있으며, 복식 전문가의 감수를 통해 정확성과 완성도를 높였습니다. 특히, 패션은 단순히 옷이 아니라 우리가 살고 있는 시대를 반영한 결과물이기 때문에 주요 역사적 사건을 시간순으로 나열하여 역사적 사건과 패션 문화를 종합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충실한 콘텐츠가 되어줄 것입니다.
9788993140040

왕의 복식

유희경, 김혜순  | 꼬레알리즘
90,000원  | 20091117  | 9788993140040
『왕의 복식』은 전통복식사뿐 아니라 문화, 예술, 역사 전반에 이르는 인문학 전통복식 전문가를 비롯한 일반인들에게 왕의 옷에 관한 최대한의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독자들로 하여금 우리 전통복식의 의미를 새기고 자긍심을 가질 수 있게 돕는다. 동시에 이 책이 전통문화 관련 연구의 본보기가 되고 나아가 우리 문화예술의 고급화, 세계화를 위한 밑거름이 되길 기대한다.
9788931559989

원작 · 이야기 · 복식 (동화, 소설 속 복식을 명화와 일러스트로 만나는)

STUDIO JORNE  | 성안당
27,000원  | 20230719  | 9788931559989
《원작 ㆍ 이야기 ㆍ 복식》은 수백 년 동안 사랑받아온 고전동화와 소설의 원작 속 주인공들의 복식을 명화와 일러스트로 소개합니다. 백설공주, 인어공주, 작은 아씨들, 마담보바리, 위대한 개츠비 등 총 10편의 원작과 이야기 속 등장인물의 의복은 물론 헤어스타일, 머리 장식, 액세서리, 신발 등의 복식품을 아름다운 명화와 일러스트에 담아냈습니다. 원작에는 생각 이상으로 인물의 외형 묘사를 포함한 많은 정보가 생략되어 있어, 이야기 속 그들의 모습을 상상으로만 만나야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무도회에 간 신데렐라는 어떤 드레스와 유리구두를 신었을까?’, ‘작은 아씨들의 네 자매는 평소에 어떤 옷을 입었을까?’, ‘광란의 1920년대 미국, 개츠비의 의상은 얼마나 화려했을까?’ 등 이러한 궁금증의 답을《원작 ㆍ 이야기 ㆍ 복식》에서 만나보실 수 있습니다. 이 책은 펀딩을 통해《유럽 복식 일러스트북》,《하티 부티크》를 성공적으로 선보인 이후, 섬세하고 빈티지한 일러스트와 디자인 등 창작자들에게 영감을 주는 콘텐츠를 소개하는 스튜디오 조네가 펀딩이 아닌 일반 독자들에게 공개하는 첫 번째 책입니다. 한 차례 텀블벅을 통해 펀딩을 마쳤던 《원작 ㆍ 이야기 ㆍ 복식》은 원작에 담겨있는 정보와 다양한 자료를 토대로 재해석하고 구현한 다채로운 그림과 함께 전체적으로 새롭게 디자인하였으며, 전문가의 감수, 저작권 확인 등의 세세한 작업 과정을 거쳐 정확성과 완성도를 높였습니다. 또한 이야기 속 매력적인 등장인물을 자신만의 느낌으로 꾸며볼 수 있는 컬러링 시트를 제공하고, 앤티크한 스타일의 책 디자인과 표지를 양장과 금박으로 장식하여 오랫동안 소장하고 싶은 귀한 선물이 되어줄 아이템으로 완성하였습니다. 아름다운 의복을 사랑하는 고전 복식 마니아, 시대별 역사적으로 고증된 의복 자료가 필요한 창작자, 새로운 시선으로 동화와 소설, 명화를 감상하고 싶은 모든 분에게 귀중한 영감을 줄 수 있는《원작, 이야기, 복식》을 공개합니다.
9788936305529

복식수예

임원자  | 교문사
14,250원  | 20010205  | 9788936305529
복식과 관련된 수예 자료를 정리한 책. 총 4장에 걸쳐 복식수예의 기원과 발달에 대해 설명하고 수예의 종류를 정확하고 체계적으로 정리하면서, 수예의 종류에 따라 기본기법을 제시하였으며, 그 기본기법을 응용하여 복식과 실내 장식품 등에 쓰인 예를 풍부한 컬러도판을 활용하여 제시했다.
9788988330432

전통복식

한국전통복식연구회  | 경춘사
12,000원  | 20000820  | 9788988330432
한국전통복식연구회에서 발표한 두번째 학술총서, 전통복식....
9788928507269

한국 복식 사전

강순제, 김미자, 김정호, 백영자, 이은주  | 민속원
76,000원  | 20151020  | 9788928507269
[한국복식사전]은 상고시대부터 사용된 한국복식 용어들을 대상으로 쓰개, 머리양식, 남자 관복, 여자 예복, 남자 겉옷, 군복, 일상복, 어린이옷, 상장례복, 정재복식, 내의, 신발, 직물, 염색, 문양, 봉제, 자수, 장신구, 매듭, 색채의 20개 부문에서 각 부문별 관련 용어를 발췌하였고, 관련분야별로 8인의 교수가 참여하여 이루어낸 성과물이다. 이 책은 한자로 된 복식명칭들이 한글로 언해되는 과정에서, 한자에 대한 언해의 내용이 시대의 흐름에 따라 포괄하는 의미의 범위가 달라지거나 의미가 다르게 해석되는 경우 등에 대한 것도 중요하게 다루었다. 이와 더불어 한국복식을 국제사회에 알리기 위해 한국복식 용어에 대한 표준화된 영문표기 작업의 필요성에도 의미를 두었다.
9788928519873

중국 중세 복식 문화

탄찬쉬에  | 민속원
31,500원  | 20240506  | 9788928519873
돈황석굴 벽화 속 이색적인 중국 복식 문화 중국은 예로부터 ‘의관(衣冠)의 왕국’이라는 별칭을 가질 만큼, 복식문화가 끊임없이 발전해왔다. 돈황석굴의 벽화와 채색소상은 풍부하고도 귀중한 중세의 복식 그림과 자료를 보존하고 있으며, 이는 북조(北朝)로부터 송대(宋代)에 이르기까지 천여 년에 걸쳐 형성된 것이다. 돈황석굴에 표현된 복식 문화는 그 형성과정의 긴 역사만큼이나 다양하고 이색적인 문화들의 보고라고 할 수 있다. 돈황석굴 속의 복식 관련 그림은 그 종류가 풍부할 뿐만 아니라 시대의 흐름에 따른 복식의 변천 과정도 엿볼 수 있다. 막고굴은 진(秦)나라 건원(建元) 2년(서기 366년)부터 시작하여, 16국을 거쳐 원대(元代)에 이르기까지 오랜시간 동안 점진적으로 건축되었는데, 천여 년의 시공간 속에서 돈황석굴은 북위(北魏), 서위(西魏), 북주(北周), 수(隋), 당(唐), 오대(五代), 북송(北宋), 서하(西夏), 원(元) 등 시대의 변화에 따른 다양한 문화적 차이와 복식의 변화 및 발전과정들을 고스란히 담아내고 있다. 돈황석굴 속의 복식 그림은 선명한 지역적 특징들도 잘 보여주고 있다. 돈황의 춥고 건조한 자연환경과 이러한 기후에 어울리는 경제 활동들로 인해 옷감이 비교적 두껍게 표현되어 있는 반면, 우기와 어울리는 기구나 의복은 상대적으로 매우 드물게 나타나고 있다. 또한 실크로드가 교통의 요지에 위치하고 있었던 만큼 다채롭고 화려한 비단 복식이 많았다. 또한 돈황은 불교 신앙을 위주로 조성된 지역이기에 스님의 각종 복식이 눈에 많이 띄며 세속의 일부 복식에도 불교 장식을 세기고 있는 경우가 많다.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