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GO를 알면 세상이 보인다 (새내기를 위한 NGO 특강)
박상필 | 한울
0원 | 20190610 | 9788946066564
세상을 바라보는 새로운 창(窓), NGO의 A~Z
청소년과 대학 새내기를 위한 알기 쉬운 NGO 입문서
?핵심 요약
이 책에는 NGO는 무엇인가? 왜 생겨났는가? 무엇을 하는가? NGO와 NPO는 어떻게 다른가? 참여민주주의란 무엇인가? 능동사회란 어떤 사회인가? 한국NGO의 현주소는 어디인가? 등 NGO와 관련한 지식들을 다양한 사진과 데이터를 통해 보여준다. NGO는 사회를 이루는 한 축으로서 NGO를 이해하는 것은 세상을 보는 창을 하나 갖는 것과 같다.
이 책은 NGO 입문서이기도 하지만 단순히 지식은 전달하는 것이 궁극적인 목적은 아니다. 궁극적인 목적은 이 땅의 젊은이들이 현실과 물질에 매몰되지 않고 더욱 큰 이상을 갖고 삶에서 이를 실천해 나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기획 의도
및
출간 의의
??? 기획 의도
많은 청소년들이 입시 위주의 공부에 바빠 사회문제에 무관심하다. 이러한 입시 위주 교육을 받아온 학생들은 대학생이 되어서도 다시 취업 준비에 매달릴 뿐, 자신이 살아갈 방식과 자신을 둘러싼 사회에 대해 생각하고 개입할 생각은 좀처럼 하지 않는다. 대기업공화국이 된 우리 사회, 그러면 그런 거대 기업들을 과연 누가 견제할 것인가?
NGO는 국가(정부)와 시장(기업) 외에 사회의 한 축을 이루는 제3의 영역이다. NGO는 국가와 기업 사이에서 견제하고 사회문제에 끊임없이 개입한다. 이 책은 이러한 NGO를 이해함으로써 세상에 한걸음 더 접근하고 새로운 시각으로 사회를 바라보고 사회문제에 더욱 적극적인 태도를 가질 수 있게 도와준다. 특히 독자 대상인 청소년과 대학 새내기를 위해 NGO에 관한 A부터 Z까지를 알기 쉽게 풀어썼다.
??? 출간 의의
이 책은 단순히 NGO의 생성과정과 정의, 역할 등의 이론 소개에 머물지 않고, 오늘날 한국사회 NGO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NGO가 서야 할 자리를 제시한다. 그러면서 청소년들에게 관망하지 말고 문제가 되는 그 자리로 나설 것을 요청하고 있다. 저자가 청소년들에게 애정을 담뿍 담아 보내는 메시지는 입시 공부에 찌든 학생들에게 생기를 불어넣어 줄 것이다.
또한 일선 교육현장에서 마땅한 NGO 교재가 없어 안타까워하던 교사들에게는 수업교재로 유용하게 쓰일 수 있다.
?내용 소개
이 책은 30개의 짧은 장을 통해 NGO와 관련한 이야기를 하나씩 풀어간다.
제1부 ‘NGO의 이론적 기초’에서는 NGO를 이해하기 위한 기본적인 배경지식을 갖추도록 한다. 우리가 살고 있는 사회가 보이지는 않지만 여러 영역으로 이루어져 있다는 것을 알려주고 그 중에서 NGO의 위치와 역할, 정부 및 기업과의 관계 등을 살펴본다.
제2부 ‘NGO와 민주주의’에서는 한국 민주주의의 발전과 NGO의 관계를 살펴본다. 그리고 NGO의 지향점을 하나씩 짚어본다. NGO가 꿈꾸는 세상은 어떤 세상이고, NGO는 이를 위해 어떤 실천을 하고 있을까?
제3부 ‘NGO와 자원봉사활동’에서는 NGO의 원동력인 자원봉사활동에 대해서 이야기한다. NGO에 있어 자원봉사활동은 어떤 의미를 갖는지, 현대인에게 왜 자원봉사활동이 필요한지, 한국의 자원봉사활동 실태는 어떠한지 등을 살펴본다.
제4부 ‘NGO와 국제사회’에서는 국제문제를 위한 글로벌 거버넌스의 필요성과 각국 NGO의 역할을 이야기한다. 또 세계화의 부정적 측면을 저지하는 NGO의 역할과 주요 국제 NGO들을 소개한다.
제5부 ‘한국사회의 발전과 NGO’에서는 다시 한국 NGO로 시선을 돌려 한국NGO의 현황을 살피고 주요 한국 NGO를 소개한다. 또 한국사회의 개혁과 문제해결을 위해 NGO가 하는 일을 알아본다.
제6부 ‘고투하는 청년들에게’는 자신이 가진 가능성을 생각하며 좌절하지 않고 꿋꿋하게 노력하기를 바라는 저자의 격려 메시지이다.
?독자 대상
? 청소년, 대학 새내기, 중고등학교 및 대안학교 교사
?지은이 소개
박상필
지은이 박상필은 경북 청도에서 태어나 1977년 10대 근로청소년으로 일한 바 있고, 1987년 6월항쟁 당시 경희대 총학생회장을 지냈다. 1989년 미국 알래스카대학에 유학하여 석사학위를 받고 귀국하여 대구에서 잠시 정치에 참여한 바 있다. 1998년 경북대에서 우리나라에서는 처음으로 NGO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이후 연세대와 이화여대에서 NGO강의를 했고, 경희대학교 NGO대학원의 객원교수를 지냈다. 현재는 성공회대학교 NGO대학원 연구교수로 있다. 학회는 한국NGO학회, 한국비영리학회, 한국인문사회과학회, 한국비판사회학회, 한국행정학회 등에서 활동하고 있고, 시민단체는 참여연대, 미래사회와종교성연구원 등에서 활동하고 있다. 저서로는 ??NGO와 현대사회??(2001), ??NGO와 정부 그리고 정책??(2002), ??NGO를 배운다는 것??(2002), ??NGO: 핵심개념 시리즈??(2005), ??NGO학??(2005), ??NGO학 강의??(2006) 등이 있다. 지금은 서구 근대성을 극복하는 테제의 하나로서 시민사회와 NGO를 기본 토대로 한 대안사회 연구 프로젝트에 몰두하고 있다.
?구 성
여는 글 지구에 두 발을 딛고 서서 우주를 바라보는 젊은 청춘들에게 바친다
제1부 NGO의 이론적 기초
01 사회를 어떻게 구분할 것인가
02 NGO란 무엇인가
03 NGO와 유사한 조직에는 어떤 것이 있나
04 NGO는 무엇을 하는가
05 NGO를 어떻게 분류할 것인가
06 NGO는 왜 생겨났는가
07 NGO는 정부나 기업과 어떤 관계인가
08 NGO의 조직과 재정은 어떻게 만들어지나
제2부 NGO와 민주주의
09 NGO는 참여민주주의를 지향한다
10 NGO는 더불어 사는 공동체사회를 원한다
11 NGO는 유연한 능동사회를 만든다
12 NGO는 신뢰와 협력의 문화를 만든다
13 NGO는 깨어 있는 민주시민을 길러낸다
14 NGO는 지방자치를 지키고 발전시킨다
15 NGO는 여성의 권리를 신장한다
16 NGO는 시민운동을 주창하고 선도한다
제3부 NGO와 자원봉사활동
17 자원봉사활동이란 무엇인가
18 현대사회에서 자원봉사활동은 왜 필요한가
19 NGO에서 자원봉사활동은 어떤 의미를 갖는가
20 한국의 자원봉사활동은 어디쯤 와 있나
제4부 NGO와 국제사회
21 UN은 NGO의 협력 없이 움직일 수 없다
22 시민사회는 전 지구적으로 확대되고 있다
23 NGO는 세계화의 부정적 측면을 저지한다
24 주요 국제 NGO에는 어떤 것이 있나
제5부 한국사회의 발전과 NGO
25 한국 NGO의 현황은 어떠한가
26 주요 한국 NGO에는 어떤 것이 있나
27 한국 NGO의 문제는 무엇인가
28 한국사회를 개혁하기 위해 NGO가 나서라
29 현대사회의 문제해결을 NGO에게 맡겨라
제6부 고투하는 청년들에게
30 다이아몬드는 쓰레기통에 있어도 다이아몬드다
개정판 후기
찾아보기
이 책에는 NGO는 무엇인가? 왜 생겨났는가? 무엇을 하는가? NGO와 NPO는 어떻게 다른가? 참여민주주의란 무엇인가? 능동사회란 어떤 사회인가? 한국NGO의 현주소는 어디인가? 등 NGO와 관련한 지식들을 다양한 사진과 데이터를 통해 보여준다. NGO는 사회를 이루는 한 축으로서 NGO를 이해하는 것은 세상을 보는 창을 하나 갖는 것과 같다.
이 책은 NGO 입문서이기도 하지만 단순히 지식은 전달하는 것이 궁극적인 목적은 아니다. 궁극적인 목적은 이 땅의 젊은이들이 현실과 물질에 매몰되지 않고 더욱 큰 이상을 갖고 삶에서 이를 실천해 나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내용소개]
이 책은 30개의 짧은 장을 통해 NGO와 관련한 이야기를 하나씩 풀어간다.
제1부 ‘NGO의 이론적 기초’에서는 NGO를 이해하기 위한 기본적인 배경지식을 갖추도록 한다. 우리가 살고 있는 사회가 보이지는 않지만 여러 영역으로 이루어져 있다는 것을 알려주고 그 중에서 NGO의 위치와 역할, 정부 및 기업과의 관계 등을 살펴본다.
제2부 ‘NGO와 민주주의’에서는 한국 민주주의의 발전과 NGO의 관계를 살펴본다. 그리고 NGO의 지향점을 하나씩 짚어본다. NGO가 꿈꾸는 세상은 어떤 세상이고, NGO는 이를 위해 어떤 실천을 하고 있을까?
제3부 ‘NGO와 자원봉사활동’에서는 NGO의 원동력인 자원봉사활동에 대해서 이야기한다. NGO에 있어 자원봉사활동은 어떤 의미를 갖는지, 현대인에게 왜 자원봉사활동이 필요한지, 한국의 자원봉사활동 실태는 어떠한지 등을 살펴본다.
제4부 ‘NGO와 국제사회’에서는 국제문제를 위한 글로벌 거버넌스의 필요성과 각국 NGO의 역할을 이야기한다. 또 세계화의 부정적 측면을 저지하는 NGO의 역할과 주요 국제 NGO들을 소개한다.
제5부 ‘한국사회의 발전과 NGO’에서는 다시 한국 NGO로 시선을 돌려 한국NGO의 현황을 살피고 주요 한국 NGO를 소개한다. 또 한국사회의 개혁과 문제해결을 위해 NGO가 하는 일을 알아본다.
제6부 ‘고투하는 청년들에게’는 자신이 가진 가능성을 생각하며 좌절하지 않고 꿋꿋하게 노력하기를 바라는 저자의 격려 메시지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