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새내기를 위한 행정학

새내기를 위한 행정학

(개정판)

한국국정관리학회 (지은이)
대영문화사
23,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5개 7,0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새내기를 위한 행정학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새내기를 위한 행정학 (개정판)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행정학
· ISBN : 9788976444639
· 쪽수 : 432쪽
· 출판일 : 2014-01-10

목차

제 1 편 행정과 행정학

제1장 행정이란 무엇인가? 19
제1절 행정의 개념 19
1. 일반적 의미의 행정/20
2. 행정학에서의 행정/21
제2절 행정과 정치, 행정과 경영 25
1. 행정과 정치/26
2. 행정과 경영/27
3. 종합적 검토/29
제3절 행정의 유형 30
1. 국제행정과 국가행정- 담당 주체에 의한 분류/31
2. 계선행정, 참모행정, 보조행정- 조직 역할에 의한 분류/31
3. 전략기획행정, 중간관리행정, 운영관리행정- 업무 계층에 의한 분류/32
4. 권위적 행정, 참여적 행정, 방임적 행정-리더의 역할에 의한 분류/33
5. 외교안보행정, 질서규제행정, 산업경제행정, 사회문화행정-정책 기능에 의한 분류/33
6. 기속행정과 재량행정, 권력행정과 비권력행정-법적용 기준에 의한 분류/34
제4절 정부와 행정환경 35
1. 정부/35
2. 행정환경/39

제2장 행정의 가치 44
제1절 행정가치의 개념과 유형 44
1. 가치의 개념/44
2. 행정가치의 개념과 유형/45
제2절 행정의 본질적 가치 45
1. 자유/46
2. 평등/49
3. 정의/52
4. 공익/57
제3절 행정의 수단적 가치 60
1. 합리성/60
2. 민주성/62
3. 합법성/64
4. 형평성/65
제4절 행정가치의 갈등과 조정 65
1. 자유와 평등/66
2. 민주성과 능률성, 능률성과 가외성/66
3. 가치 갈등의 조정- 열린 마음, 열린 사회/67

제3장 행정학 이론의 역사와 발전 69
제1절 행정학 연구의 태동 69
제2절 유럽의 행정학 71
1. 독일 행정학의 발달/71
2. 영국 행정학의 발달/72
제3절 미국 행정학의 발달 75
1. 행정학의 태동(1887~1910년)/75
2. 행정학의 발전기(1911~1950년)/78
3. 행정학의 성숙기(1951~1970년)/79
4. 현대 행정학(1970년 이후)/80
제4절 한국의 행정학 83
1. 한국 행정학의 발달 과정/83
2. 한국 행정학 발전 과정의 평가/85

제4장 행정학의 학문적 성격과 접근법 88
제1절 행정학의 학문적 성격 88
1. 사회과학의 한 분과 학문/88
2. 다양한 사회과학 분야와 연관된 종합 학문/89
3. 실천적?도구적 성격이 강한 응용 학문/90
4. 과학과 기술, 예술의 영역을 포괄/90
5. 공익성과 합리성을 중시하는 학문/91
제2절 행정학의 접근법 92
1. 행정학의 접근 방법에 대한 논의/92
2. 접근법의 분류/93
제3절 현대 행정학의 주요 접근법 93
1. 이념적 접근 방법/93
2. 행태론적 접근 방법/94
3. 체제론적 접근 방법/96
4. 제도론적 접근 방법/97
5. 현상학적 접근 방법/100
6. 공공선택이론/101
7. 거버넌스론/102
8. 신공공관리론/104

제 2 편 행정학의 주요 분야

제5장 정책론 109
제1절 정책 연구의 의의 109
1. 정책학의 발달과 학문적 특성/110
2. 정책의 개념과 유형, 필요성/114
3. 정책 과정/123
제2절 정책 형성 124
1. 정책의제 설정/124
2. 정책 문제와 목표의 인식/130
3. 정책대안의 탐색과 개발/134
4. 정책분석과 정책의 채택/136
5. 정책 결정의 이론모형/140
제3절 정책집행 145
1. 정책집행의 개념과 의의/145
2. 정책집행 효율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149
3. 정책집행의 이론모형/152
제4절 정책평가 153
1. 정책평가의 개념/154
2. 정책평가의 유형/156
3. 정책평가의 기준/160

제6장 조직론 162
제1절 조직과 조직 과정 162
1. 조직의 정의/163
2. 조직의 존재 이유/165
3. 조직화/166
제2절 조직이론의 이해 168
1. 폐쇄형 조직이론/168
2. 개방형 조직이론/170
3. 신공공관리론/173
제3절 조직의 효과성 174
1. 합리적 목표이론/176
2. 체계이론/177
3. 이해관계자이론/178
4. 경쟁가치이론/179
제4절 조직구조와 설계 181
1. 조직구조/181
2. 조직구조의 구성 요소/182
3. 조직설계 유형/184
4. 효과적 조직설계/188
제5절 조직에서의 개인 189
1. 조직관리자 중심의 인간관의 변천/191
2. 조직구성원으로서의 개인/194
3. 동기부여이론/198

제7장 인사행정론 203
제1절 인사행정의 개념과 원리 203
1. 인사행정과 인적 자원의 관리/203
2. 인사행정의 기본 원리/205
3. 인사행정 제도의 발달/209
제2절 공직구조와 임용 213
1. 공직구조/213
2. 공무원 임용/218
제3절 공무원의 능력 발전 221
1. 능력 발전의 의의/221
2. 능력 발전의 방법/222
3. 공무원 교육훈련/224
제4절 공무원의 행동규범 226
1. 직무 수행상의 의무/226
2. 참정권의 제한과 신분 보장/228
3. 근로기본권의 제한/229

제8장 재무행정론 232
제1절 정부 예산과 재정 기능 232
1. 정부 예산의 개념/232
2. 정부 재정의 기능/233
제2절 정부 예산의 유형과 원칙 236
1. 정부 예산의 유형/236
2. 정부 예산의 원칙/238
제3절 예산의 과정 241
1. 정부 예산의 회계연도/241
2. 정부 예산의 편성/242
3. 예산의 심의?확정/245
4. 예산의 집행/249
5. 결산/253
제4절 예산 결정의 이론 256
1. 예산이론으로서의 점증주의와 총체주의/256
2. 점증주의/257
3. 총체주의/260
제5절 예산 제도의 발달 263
1. 통제, 관리, 계획, 감축의 예산 제도/263
2. 기타 예산 제도/264

제9장 전자정부론 266
제1절 정보화와 정보사회 266
1. 정보 및 정보화의 개념과 필요성/266
2. 정보의 속성과 가치/267
3. 정보사회의 출현과 특성/269
제2절 정보화 시대의 행정환경 276
1. 공공 부문에서 정보통신기술의 도입과 역할/276
2. 정보화를 통한 거버넌스/277
3. 행정환경 변화에 따른 전자정부/279
제3절 행정정보 체계 283
1. 정보 체계의 개념/283
2. 행정정보 체계의 발달/285
3. 행정정보 체계의 특성/286
4. 관리상의 쟁점/288
제4절 공공 부문 정보화의 방향 291
1. 정보관리의 방향/291
2. 빅데이터 시대의 공공행정/294

제10장 지방자치론 296
제1절 지방자치의 의의 296
1. 지방자치의 개념/296
2. 지방자치의 구성 요소/296
3. 지방자치단체/300
제2절 지방자치기관 301
1. 기관대립형과 기관통합형/301
2. 지방의회의 지위와 권한/302
3. 지방자치단체장의 지위와 권한/304
4. 지방의회와 지방자치단체장의 상호 관계/307
제3절 주민 참여 310
1. 주민 참여의 개념과 유형/310
2. 주민의 직접 참여/312
제4절 지방자치와 광역행정 315
1. 광역행정의 의의/315
2. 광역행정의 방식/316

제 3 편 현대 사회와 행정

제11장 공공 갈등과 관리 319
제1절 공공 갈등의 개념과 원인 319
1. 공공 갈등의 개념/319
2. 공공 갈등의 특성과 확산 과정/323
3. 공공 갈등의 원인/326
4. 공공 갈등관리의 중요성/329
제2절 공공 갈등의 관리 및 해결 방법 331
1. 공공 갈등의 쟁점/331
2. 공공 갈등의 순환주기/333
3. 공공 갈등의 관리 및 해결 방법/336
4. 공공 갈등 해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340
제3절 대안적 갈등 해결 방법(ADR) 342
1. 갈등 해결 방법으로서 ADR/342
2. ADR의 개념과 종류/343
3. ADR 활용의 편익/347
4. 정부 부문에서 ADR 활용 방법/350
제4절 공공 협상의 원칙과 전략 355
1. 공공 협상의 개념과 특징/355
2. 공공 협상의 준비와 원칙/361
3. 공공 협상 시 고려 사항/362
4. 공공 협상의 기본 전략/365

제12장 정부혁신 367
제1절 신공공관리와 정부혁신 367
제2절 주요국의 정부혁신 특성 368
1. 영국의 정부혁신/368
2. 뉴질랜드의 정부혁신/374
3. 미국의 정부혁신/380
4. 프랑스의 정부혁신/386
5. 독일의 정부혁신/388
6. 일본의 정부혁신/391
제3절 한국의 정부혁신과 방향 394
1. 정부혁신 과정/394
2. 정부혁신의 내용/396
3. 정부혁신의 미래/400

참고 문헌/403
찾아보기/423

저자소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