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일간
|
주간
|
월간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 네이버책
  • 알라딘
  • 교보문고
"소강절"(으)로 7개의 도서가 검색 되었습니다.
9788972610588

황극경세서

소강절  | 대원출판사
29,700원  | 20511030  | 9788972610588
황극경세서(皇極經世書)란 글자가 의미하는 바는 황극인 임금이 세상을 경영하는 글이란 뜻으로 풀이할 수 있다. 소강절의 역철학 중 가장 절정은 우주 운행의 법칙인 ‘원회운세’로서, 천지개벽의 틀이요, 천지 일원(一元)수인 129,600년의 이수(理數)를 밝힌 것이다.
9788963690223

황극경세 세트 (소강절 선생의)

소강절  | 대유학당
180,000원  | 20110420  | 9788963690223
천도의 이치를 다룬 소강절의 『황극경세』를 번역한 책. 황극경세는 우주의 탄생부터 다시 먼지로 없어질 때까지를 이치적으로 풀은 책이다. 이 책에서는 청나라때 학자인 왕식의『황극경세서해』를 저본으로 하였다. 원문은 현토를 붙여 번역하였고, 이해하기 어려운 부분에는 주석을 덧붙였다.
9788988687703

매화역수 (대유학당 학술총서 5)

소강절  | 대유학당
22,500원  | 20140821  | 9788988687703
소강절의 매화역수를 알기 쉽게 재구성한 책. 글자점과 황극조수 부분을 보충하여 펴낸 증보판이다. 언제 어디서나 궁금한 것을 주역의 점사를 모르고도 팔괘의 성질을 아는 것만으로 쉽게 판단하고 결정할 수 있는 매화역수의 편리함과 유용성을 인생의 원리와 함께 풀어내고 있다. 매화역수로 사물이나 그 조짐을 팔괘라는 부호로 형상화하고, 이를 상황에 맞도록 해석하는 과정을 설명하였다. 부록에는 점치는데 필요한 도본을 실어 매화역수의 활용에 도움을 준다.
9788991273726

관매역수 (소강절선생매화관매수전집)

소강절  | 장서원
0원  | 20121117  | 9788991273726
『관매역수』는 철인 소강절 선생이 역의 상수 원리를 바탕으로 과학적인 분석방법으로 자연계 만물의 존재원리와 그 변화하는 이치를 해명한 책을 해설한 것이다.
9788976463234

조선유학과 소강절 철학

곽신환  | 예문서원
28,800원  | 20141030  | 9788976463234
『조선유학과 소강절 철학』은 선천과 안락의 세계에서 노닐었던 강절 소옹 그리고 조선유학에 드리운 강절학의 자취를 따라간 책이다. 소옹의 선천역철학, 조선유학자의 소옹 이해와 안락론, 조선유학의 선천역학, 조선유학의 수리·경세론과 후천개벽론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9788986758511

관매역수(소강절의 관매수전집)

해들누리 편집부  | 해들누리
18,000원  | 20010630  | 9788986758511
사주명리학ㆍ역학 전공자를 위한 해설서. 주역괘수와 십천간 등의 기초지식을 소개하고 팔괘만물류점, 십팔점례, 팔괘방위지도 그리고 점복십응결 등의 내용을 초심자들도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자세한 해설과 함께 수록했다.
9791162470800

누가 왕마힐 소동파 소강절의 청의미를 보았는가

노치허  | 학자원
19,000원  | 20181020  | 9791162470800
마힐摩詰 왕유, 강절康節 소옹, 동파東坡 소식은 당송의 시인 가운데 방외方外에 소요한 달사이다. 왕유는 중은中隱과 대은大隱을 오가며 망세소요忘世逍遙하였고, 소식은 중은中隱으로서 적념寂念으로 폄적한거貶謫閑居하였으며, 소옹은 대은大隱으로 낙양 교외에서 태평가太平歌를 부르며 쾌활상락하였다. 도연명, 두보, 이백, 유종원 등이 엿보지 못하는 방외方外의 경지가 삼객에게 있는 것이다. 백거이가 가까이 갔으나 삼객과 나란히 하지 못하고, 도연명, 두보는 망연히 삼객을 바라볼 뿐이며, 이백 등은 헤아리나 닿지 못한다. 삼객三客의 경지가 무심無心으로 성誠에 거처居處하여 성성惺惺으로 세상을 거닐기 때문이다. 난세와 곤궁과 풍찬노숙風餐露宿이 삼객을 어지럽히지 못했으며, 백세지재百世之才로써 하거下居하였다. 그 때를 만나서는 성性을 밝혀 무상무명無相無名으로 소요한 당송唐宋에서 걸출한 삼객이다. 청명淸明한 시 56수를 선하여 음미한다.
1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