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관매역수

관매역수

(소강절선생매화관매수전집)

소강절 (지은이)
장서원
2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3개 31,48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관매역수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관매역수 (소강절선생매화관매수전집)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역학 > 사주/궁합/예언
· ISBN : 9788991273726
· 쪽수 : 380쪽
· 출판일 : 2012-11-17

목차

관매역수 증보서
책머리에 운곡(芸谷) 김주성(金周成)
역자의말 위대한 책에 부쳐
소강절선생심역매화수서

邵康節先生梅花觀梅數全集 卷一
一 필수기초지식(必須基礎知識)
二 소강절선생의 점례(占例)
[선천점례(先天占例)]
[단법점례(端法占例)]
三 풍각조점(風覺鳥占)
四 팔괘만물류점(八卦萬物類占)

邵康節先生梅花觀梅數全集 卷二
一 심역점복현기(心易占卜玄機)
二 체용총결(體用總訣)
三 십팔점례(十八占例)
四 삼요영응론(三要靈應論)
五 심응오론(十應奧論)
六 유론(遺論)
七 관물통현가(觀物洞玄歌)

邵康節先生梅花觀梅數全集 卷三
팔괘방위지도(八掛方位之圖)
一 관매수결(觀梅數訣)
二 만물부(萬物賦)
三 음식편(飮食篇)
四 관물현묘가결(觀物玄妙歌訣)
五 제사향응가(諸事響應歌)
六 제괘반대성정(諸卦反對性情)
七 점물류예(占物類例)
八 물수위체결(物數爲體訣)
九 점복십응결(占卜十應訣)
十 논사십대응(論事十大應)
十一 괘응(卦應)

저자소개

소강절 (지은이)    정보 더보기
우리가 잘 아는 〈명심보감〉에서 공자, 장자, 강태공 등과 더불어 자주 등장하는 인물 중에 소강절(邵康節)이라는 철학자가 있다. 중국 북송시대의 성리학자이자, 주렴계, 장횡거, 정명도, 정이천과 함께 송의 5현으로 일컬어지고 있는 소강절의 본이름은 소옹(邵雍, 1011~1077), 강절(康節)은 시호이며, 자는 요부(堯夫)이다. 여러 번 관직을 제수 받았으나 모두 사양하고 중국 하남의 교외에서 평생을 학문에 정진하였으며, 그의 학문은 성리학 이론에 절대적인 영향을 미쳤다. 소강절 선생은 성리학의 이상주의 학파 형성에 큰 영향을 준 인물로, 수(數)에 대한 그의 사상은 18세기 유럽의 철학자 라이프니츠의 2진법에도 영향을 주었다. 그는 〈역경(易經)〉을 연구하면서 수가 모든 존재의 기본이라는 상수학(像數學) 이론을 만들었다. 상수학은 유교 경전의 하나인〈주역(周易)〉을 상수, 즉 괘효(卦爻)의 조합과 수의 원리로써 해석하려는 한 조류인데, 중국의 전한(前漢)말부터 후한(後漢)과 삼국시대에 걸쳐 성립· 전개된 학설이다. 북송대(北宋代)에 이르러 소옹(邵雍)이 〈주역〉과 도교의 사상을 융합하여 상수학의 체계를 완성하였다. 보통 2 또는 5라는 숫자를 선호하던 이전의 학자들과는 달리 그는 모든 존재의 밑바탕에 깔린 세계의 열쇠는 라는 숫자라고 믿었다. 그런 복잡한 체계가 유교의 근본과는 거리가 있었으나, 그 체계의 기본이 되는 것은 모든 존재하는 것의 본원(本源)에는 통일성이 존재하며, 그것은 소수의 뛰어난 사람만이 파악할 수 있다는 것이었고 ‘우주의 통일성 밑바닥에 깔려 있는 원리는 우주뿐만 아니라 인간의 마음에도 똑같이 적용된다’는 그의 사상은 성리학파 이상론의 기본이 되었다. 그는 또 역사란 반복되는 주기의 순환으로 이루어진다는 불교사상을 유교철학에 도입했다. 불교에서 겁(劫)이라고 하는 주기를 그는 원(元)이라고 부르고 그 순환주기도 원래의 천문학적 기간을 줄여서 12만 9,600년이라고 했다. 이 사상은 나중에 모든 성리학파에 의해 받아들여졌으며 12세기 송(宋)나라에 들어서는 주희(朱熹)에 의해 관학(官學) 이론의 일부가 되었다. 성리학을 집대성한 주자(1130~1200)는 소강절을 가리켜 그의 도학연원은 진희이(陳希夷, 871~989)에게서 유래되었으며, 그는 역(易)의 조종(祖宗)이요, 역의 골수(易之心髓)를 얻었다고 하였다. 주자 자신 역시 소옹을 극히 존경하고 중요하게 여겼다고 한다. 또한 우리나라 서경덕(徐敬德) 선생은 한평생 벼슬을 하지 않고 소강절을 사숙(私淑)하였다고 한다. 소강절의 사상은 『황극경세서(皇極經世書)』를 통해 세상에 알려지게 되었고, 주자에 의해 성리학의 근본이념으로 자리잡아 찬란한 빛을 발하게 되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