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 네이버책
  • 알라딘
  • 교보문고
"약재"(으)로 32개의 도서가 검색 되었습니다.
9791168672314

이야기 속 약재 (탐라보감)

좌동열  | 한그루
22,500원  | 20250901  | 9791168672314
약이 되는 이야기 제주문화관광해설사이자 방송매체를 통해 제주를 소개하는 다양한 활동을 해온 좌동열 작가의 제주 민간요법 이야기를 모은 책이다. 4개의 장으로 나누어 55종의 식물을 소개하고 있다. 이 책은 제주의 약초와 민간요법을 담은 실용서이면서, 그 식물에 담긴 다양한 이야기와 제주의 전통문화를 엿볼 수 있는 책이기도 하다. 우선 각 식물의 생태정보와 유래 등을 소개하고, 전통 의학과 제주 민간에서의 쓰임을 살폈다. 그리고 이를 통해 우리가 쉽게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무엇보다 저자는 이 식물들을 단순한 활용 자원으로 보는 것이 아니라, 우리와 함께 공존하는 자연 속의 소중한 선물이라고 말한다. 천혜의 자연을 자랑하는 제주는 다양한 식물들의 보고이다. 또한 육지와 멀리 떨어진 섬이라는 특성으로 인해 예로부터 제주만의 다양한 민간요법이 존재했다. 환경이 달라지면서 이 소중한 식물들은 그 생태가 위협받고 그 쓰임 또한 덜해졌지만, 여전히 우리 주변에는 우리의 삶과 건강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많은 식물들이 있다. 그 존재를 소중히 여기면서 지혜롭게 활용하기 위해서는 우선 그들에 대해 알아야 하고 그를 둘러싼 사람들의 삶 이야기에도 귀를 기울여야 할 것이다.
9791197069192

한방약재 44가지 (누구나 가정에서 쉽게 사용할 수 있는)

이광만  | 건강한삶
16,200원  | 20241111  | 9791197069192
《한방약제 44가지(누구나 가정에서 쉽게 사용할 수 있는)》는 중국과 우리나라의 본초학 서적에 기초하여 오늘날 응용할 수 있는 44가지 약재에 대해 설명하고, 가정에서 쉽게 활용할 수 있는 사례를 적었다. 한방약재에 관심있는 분들이 많이 활용하여 건강을 챙길 수 있는 기회가 되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9788962852714

약초 약재 도감 (풀·나무·버섯 중요 약재 수록)

성환길  | 대가
23,400원  | 20210225  | 9788962852714
현대인들에게 가장 필요로하는 것을 충족하기 위하여, 생활주변에서 가장 쉽게 만날 수 있는 약초 및 약재·약용버섯을 포함한 식물들을 엄선하였다. 일상생활속에서 지침서로 활용할 수 있도록 최대한 내용을 쉽게 정리하고 많은 사진을 담아 이해도를 높였다. 모든 식물들은 전체 사진을 맨앞에 실었고, 꽃·열매·뿌리·잎(앞.뒤) 등 분류에 도움이 되는 부위별 사진을 실어 분류와 감별에 도움이 되도록 하였다. 또한 “생육측성”, “채취방법과 시기”, “성분”, “성미”, “귀경”, “효능과 주치”, “약용 법과 용량”, “사용시 주의사항” 등을 최대한 간단하게 꼭 필요한 내용을 정리하였다.
9791156374732

야생 산약초 약재 도감

김범정  | 푸른행복
37,800원  | 20230908  | 9791156374732
오랜 전통과 임상경험이 축적된 한의학(韓醫學)을 기반으로 몸 전체의 균형을 조화시키고, 체질에 따라 병의 근본을 치료하자! 식물 이름의 유래, 부위별로 식품원료 사용 가능 여부, 식물의 성분, 약리작용, 용도, 각 식물의 부위별 사진 상세히 수록! 모든 사물에 이름과 쓰임이 있듯이 식물에도 적합한 명칭과 효능을 갖고 있습니다. 식물 이름의 유래를 이해하고, 그 생육특성과 사용방법을 이해함으로써 우리 몸의 질병을 치료하고 건강증진을 도모할 수 있습니다. 현대 의약품 중에는 다수가 천연 약용식물로부터 추출, 합성하여 개발되었고, 건강식품 시장은 점차 커지고 있습니다. 근대 약물학, 약리학의 아버지로 불리는 ‘파라셀수스(파라켈수스)’는 “모든 약은 독이다. 다만 용량이 문제일 뿐이다.”라는 말을 남겼습니다. 즉, 아무리 좋은 약도 무분별하게 사용하면 독이 될 수 있다는 것입니다. 이 책에서는 필자가 오랜 기간 공부해온 본초학(本草學)을 기초로, 여러 서적을 조사하여 참고하고, 식물원, 약초원 및 약초 재배지를 답사하며 담은 사진들을 함께 수록하였습니다. 본문에는 식물명의 유래를 비롯하여 한약명, 생육특성, 성분, 약리작용, 한의학적 효능, 약용법과 더불어 특허자료 등을 다양하게 수록하였습니다. 분석적이고 실험적인 서양의학적 치료와 더불어 전통경험을 토대로 약초를 제대로 이해하고 공부하여 건강을 보조함으로써 하늘이 준 타고난 수명인 천수(天數)를 누려 모두가 아프지 않고 건강하게 120세 이상을 누렸으면 하는 바램입니다.
9791193706077

동의보감 한약 제조법 (2,169 가지 약초약재로 만드는)

허준  | 꿈이있는집플러스
28,800원  | 20241211  | 9791193706077
프롤로그 동의보감은 구암 허준(1539~1615)이 자신의 평생 경험과 임상시험을 바탕으로 조선과 중국의 의학서, 치료법 등을 집대성해 1610년 펴낸 역작이다. 의학적 측면에서는 물론 역사적, 문화적, 서지학적 등 여러 분야에서 그 가치와 의미를 인정받아 국보로 지정돼 있다. 지난 2009년에는 인류사적 기록물로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됐다. 동의보감은 임금의 건강을 돌보던 어의 출신인 허준이 조선 실정에 적합한 의학서를 지향하며 1610년 완성하여 1613년에 왕실 의료기관 내의원에서 최초로 간행했다. 총 25권 25책이다. 내과학인 내경편, 외형편 4편, 유행병, 곽란, 부인병, 소아병을 다룬 잡병편 11편, 탕액편 3편, 침구편 1편과 목차편 2편으로 되어 있고, 각 병마다 처방을 풀이한 체제 정연한 서적이다. 각 항목에 병증과 처방의 실질적인 것만을 빠짐없이 선택, 수록하였을 뿐만 아니라, 그 출전이 밝혀져 있기 때문에 각 병증에 대한 고금의 치방을 일목요연하게 파악할 수 있게 하였고, 그 밖에도 속방을 기재하였다. 이 책은 조선 시대에 이미 중국과 일본에도 소개되었고, 현재까지 한국 최고의 한방 의서로 인정받고 있다. 중세 동양 최고의 의서 중 하나로 국외에도 명저로 소개되었고 수 차례 번역된 바 있다. 동의보감은 중국에서 30여 회, 일본에서는 2회 재판 간행을 하였고 한국에서뿐만 아니라 중국과 베트남을 비롯한 여러 아시아 나라에서도 계속 재출판되고 있으며, 일부는 각국의 언어로 번역될 계획이다. 1897년에는 미국의 랜디스(Dr. Landis) 박사에 의해 일부 영어 번역본으로 서양에 소개되었다. 따라서 동의보감은 의사와 학자들이 질병을 다스리거나 현대의 연구 개발을 시행하는 데 전통적이고 체계화된 의학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의학 발달을 위한 초석 역할을 하였다.
9791156374374

동의보감 우리 약초와 약재

박종철  | 푸른행복
49,500원  | 20220930  | 9791156374374
동의보감에 한글 이름으로 기록된 214종 약초와 188종 약재! 약초사진 1,543장과 비교약초 사진 86장 수록! 이 책은 우리나라의 식약처 의약품 공정서[《대한민국약전》, 《대한민국약전외한약(생약)규격집》]에 수록된 약재 중에서 《동의보감》에 조선시대의 한글 이름으로 기록된 약초(약재)를 모두 찾고 그 가운데 식물성 의약품 188종과 약초 214종을 정리한 약초 도감이다. 《동의보감》 원본은 세감술중동 내의원교정 완영중간(歲甲戌仲冬 內醫院校正 完營重刊) 영인본을 활용했으며, 탕액편의 효능 중 일부를 해석하여 원문과 함께 실었다. 산약(山藥)은 마의 주피를 제거한 뿌리줄기로서 그대로 또는 쪄서 말린 것을 말한다. 《동의보감》(1610년)에 ‘마’로 기재되어 있으며 410년이 흐른 지금에도 여전히 ‘마’로 적고 있다. 적소두(赤小豆)는 팥의 씨를 가리킨다. 《동의보감》에는 적소두인 붉은 팥을 ‘블근?’으로 표기하고 있으며 지금도 같은 글자인 ‘팥’으로 쓰고 있다. 이처럼 오랜 세월이 흘렀음에도, 우리 민족이 같은 약재의 이름으로 같은 글자를 쓰고 있다는 사실이 신기하게 여겨진다. 이 책은 1,629장의 약초 사진과 《동의보감》 효능, 약효 해설, 우리말로 알기 쉽게 풀이한 한방 효능, 효능군 분류, 북한에서의 효능, 비교약초의 사진 등을 담은 본서가 약초 분야를 공부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길 기대한다.
9788992535663

동의보감 약초약재 369

노두식  | 행복을만드는세상
28,800원  | 20220923  | 9788992535663
이 책에서는 약초의 성상은 물론 채집시기와 효능, 성미, 사용방법 등을 사진과 함께 설명해 놓았으며 현재의 산과 들에서도 채취가 용이한 약초약재들을 선별해 놓았다. 한약재에 대한 올바른 인식을 통하여 가정에서도 부작용 없이 활용하여 건강증진에 도움이 되길 바란다.
9791195546114

성경과 약초 (성경 속 약재 이야기)

신성복  | 프레이온
0원  | 20160901  | 9791195546114
『성경과 약초』는 성경 속 등장하는 수많은 약재 등 식물을 그냥 지나치지 않고 인간과 어떤 관계가 있는지 밝히고 있다. 그리고 그 약재의 존재 가치, 또 실제적으로 우리의 건강에 미치는 영양, 의학적 효과까지 설명해 주고 있다. 기독교인이라면 각각의 약재들이 갖고 있는 에피소드로 통해 성경을 다시 볼 수 있고, 기독교인이 아니더라도 약재의 근본 배경과 기독교를 이해하는데 도움을 얻을 수 있다. 특히, 이해를 돕기 위해 각 약재의 사진을 보여주고 있어 성경책을 통해 보지 못했던 실재를 볼 수 있는 재미도 있다.
9791156374794

동의보감 건강약초 약차·약술 (약재의 효능에서 약차·약술 제조법까지)

박종철  | 푸른행복
35,500원  | 20241115  | 9791156374794
동의보감에 수록된 약초와 약재의 효능 수록! 일반인도 쉽게 활용할 수 있는 약차ㆍ약술 제조법 수록! 이 책은 32종 약초와 한약의 효능 그리고 이를 이용하여 만들 수 있는 한방 건강약차와 약술의 제조법에 대해 기술하였다. 식약처가 인정한 한약(약초) 47종의 기원, 약효 해설, 약용법도 소개했다. 특히 약초와 한약의 기능성 및 효능에 대한 특허자료를 수재하여 많은 독자 여러분들게 도움이 되도록 했다. 또한 《동의보감》에 수록된 약으로 쓰는 풀 266종과 나무 158종의 효능을 소개하고 《동의보감》 한약의 기원식물명을 전부 수록하여 현재 약초와 비교할 수 있게 했다. 최근 약초를 이용한 기능성 식품의 개발과 브랜드화가 세계적으로 폭증하는 추세이다. 이를 감안하여 한약학, 한의학, 생약학, 약학, 식품공학, 식품영양학, 자원식물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공부하는 학부생과 대학원생을 포함한 과학자는 물론 실무에 종사하는 제조업자들에게도 이 책이 곁에 두고 가까이할 수 있는 벗과 같은 책이 되었으면 한다.
9788988676080

만화 허준 동의보감 세트 (치료편 1·2/약재편 1)

정형기  | 의성당
32,400원  | 20110725  | 9788988676080
허준의 동의보감을 만화로 엮었다. 한국 최고의 한방 의학서이자 고전 의학서로 꼽히는 허준의 동의보감을 만화로 제작해 누구나 쉽고 재미있게 읽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치료편 1, 치료편 2, 약재편으로 이루어져 있다.
9791141051372

조선왕조 실록의 식물과 의약재 사설

나영학  | 부크크(bookk)
85,700원  | 20231108  | 9791141051372
인류가 탄생하면서부터 의약재는 절체절명의 수요 필수품목이었다. 《조선왕조실록》은 우리의 장구한 시간과 살아있는 역사서이며, 여기에는 많은 식물과 약재명이 적혀있다. 오래 전에 필자는 《조선왕조실록》을 읽으며 어려움에 부딪쳤다. 외국의 사신들이 왕실로 보내온 식물과 관련된 조공품, 의약재 등의 명칭에서 식물을 오랫동안 공부해왔음에도 불구하고 생김새는 어떤지, 원산지, 잎과 꽃의 생김새, 암술과 수술, 열매, 재배환경은 물론 그 식물의 쓰임새 등을 알지 못함이 부끄럽기만 하였다. 지금은 우리가 식탁에서 늘 사용하는 ‘후추’만 보더라도 그렇다. 그 당시 후추의 귀중함은 동서양을 막론하고 보석 같은 열매였다. 돈이 있어도 구할 수 있는 물건이 아니기 때문이다. 1587년 일본사신 ‘다치바나 야스히로(橘康廣)’가 조선을 내방한다. 예조판서 등 여러 대신들이 있는 연회에서 일본사신은 술에 취해 고의로 주머니속의 후추알을 흩어 놓으니 기생과 악공들이 다투어 후추알을 줍느라 연회장의 질서가 걷잡을 수 없는 형편이 되었다. 이를 물끄러미 바라보던 일본사신이 말하길 “이 나라의 기강이 이미 허물어졌으니 망하지 않기를 어찌 기대하겠는가?” 《조선왕조실록》과 임진왜란을 회고하며 기록한 《징비록》에도 나온다. 당시 사람들이 후추가 얼마나 귀했으면 자존심마저 버려야했는지 짐작하게 하는 대목이다. 조선왕조 『실록의 식물과 의약재 사설』에서는 《조선왕조실록》에 나오는 주요 식물과 외국에서 들어와 왕실 등에서 빈번하게 사용되는 식물 목록을 간추려 독자들과 쉽게 소통하고 이해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사라져가는 우리말 식물 이름과 해당식물의 쓰임새, 민속물, 글씨 등 관련 사진과 함께 이해를 돕도록 하였다. 대부분은 해당 식물에 서려 있는 수많은 이야기를 이끌어내고, 현재 의학의 연구는 어디까지 진행되고 있는가에 주안점을 두었다. 조선 역사 속에서 펼쳐지는 식물의 세계는 생각보다 광범위하고 깊었다. 주요 사서를 비롯하여 고전, 시가집, 선비들의 문집, 문학 작품, 여러 논문 등에서 관련된 자료와 기록을 찾아내 정리했다. 《조선왕조실록》의 방대한 분량과 긴 역사 속에서 미약하나마 ‘식물 분야’를 국내에서 처음 단행본으로 엮어낸 것을 보람으로 느끼며 석과불식(碩果不食)의 실천하고자 하는 심정이다. 관심 있는 독자와 후학들께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 지구상의 물질 중에서 가장 비싼 것은 약이다. 좋은 약하나는 수천만 명의 생명을 살린다.
9788988676264

허준 동의보감: 약재편

정형기  | 의성당
0원  | 20110725  | 9788988676264
중앙일보 《만화 동의보감》, 문화일보 《만화 생활건강》, 국민일보 《그림 동의보감》으로 연재된 바 있는 『허준 동의보감』 약재편. 유네스코의 세계기록유산에 등재된 동의보감을 바탕으로 현대인들에게 필요한 부분만 선별하여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만화로 그렸다. 현대 의학적으로 검증되고 주변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약재를 추려, 한방용어와 병명 등은 쉽게 풀이했다.
9791196378011

동의보감 약초 백과사전 (질병으로 분류한 약초약재)

황극남, 이위, 주의린  | 꿈이있는집플러스
28,800원  | 20180520  | 9791196378011
생약 중 가장 광범하게 응용되고 있는 것은 주로 식물성 약물로서 뿌리·뿌리줄기·나무껍질·잎·꽃·씨 및 전초 등이다. 많은 사람이 직접 먹어보거나 맛을 보아 물질에 대한 특수작용을 시험하였고, 발생한 질병의 시기나 절기, 기후에 대해서 경험적인 근거를 이용하였으며, 앞에서 말한 것처럼 인간의 자연에의 적응과정에서 여러 시행착오를 통한 경험의 집적에서 유래된 물질들을 질병의 치료에 사용하였다. 이러한 것을 직접 치료에 사용해 봄으로써 여러 경험을 통한 실증을 얻게 되었다. 이로 인하여 어떠한 물질을 가지고 질병을 치료할 수 있는 약물로 삼게 된 것이며, 이렇게 함으로써 인류가 의약에 대한 지식을 알게 되었고, 또 생활 속에서 실천하는 동안이 나, 같은 질병을 여러 차례 치료하는 동안 부단한 창조와 풍부한 경험을 쌓아서 전해져 내려온 것이다.
9788961412070

약초 약재 300 동의보감 (가정에서 손쉽게 보약 만드는 법, 효과 질환, 효능 소개!)

엄용태  | 중앙생활사
35,100원  | 20171025  | 9788961412070
이 책은 약재 전문가인 저자가 각종 암, 고혈압, 당뇨병, 뇌졸중, 치매, 비만, 변비, 우울증, 여성질환, 알레르기 비염, 아토피, 통풍, 불면증, 피부병, 갱년기질환, 탈모, 냉증, 고지혈증, 화병, 통증, 각종 성인병에 효과적인 보약 및 약재 만드는 법을 관련 약초 사진과 약재 사진을 함께 실어 누구나 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했다. 또한 약초의 서식지, 채취기간 및 이용 부위, 효능, 약리 작용, 독성 및 금기, 용법, 1회 사용량 등을 이해하기 쉽게 알려준다.
9788961412261

내 몸을 살리는 약재 동의보감 (노화를 억제하고 질병을 물리치는 몸에 좋은 약재 상식사전)

정지천  | 중앙생활사
14,400원  | 20190107  | 9788961412261
* 건강식품이라고 해서 무조건 몸에 좋은 것은 아니다! * 건강과 장수에 도움이 되는 각종 한방 약재와 처방, 육류와 수산류 소개! 이 책은 한의대 교수로서 각종 라디오와 TV의 건강 관련 프로그램에 출연하여 음식 요법 및 한방 건강을 알려주는 정지천 교수가 건강 기능 식품의 재료로 활용되는 한약재와 한약 처방, 일주일에 2~3번은 먹는 육류와 수산류의 성질과 효능, 활용법 등을 설명해주는 약재 지침서다. 노화를 지연시키고 질병을 예방하는 생활 속 실천 방법을 통해 생명을 보양하는 양생(養生)법을 알려준다.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