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일간
|
주간
|
월간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 네이버책
  • 알라딘
  • 교보문고
"인도불교사"(으)로 6개의 도서가 검색 되었습니다.
9788952207302

인도 불교사 (붓다에서 암베드카르까지)

김미숙  | 살림
8,820원  | 20131025  | 9788952207302
『인도 불교사-붓다에서 암베드카르까지』는 가우타마 붓다와 그로부터 시작된 인도 불교의 역사를 흥미롭고도 일목요연하게 정리한 책이다. 붓다가 출가해서, 그를 따르는 무리들이 생겨나고, 붓다가 생애를 마친 후 그 말씀을 보존하기 위해 경전을 만들고, 이후 불승(소승), 대승, 금강승으로 이어지는 변천을 보인 이야기들이 한눈에 들어온다.
9788957462683

인도불교사 (그 사상적 이해)

정순일  | 운주사
0원  | 20110315  | 9788957462683
인도에서 발생한 불교는 한때 고대 인도의 사상적 주류를 이루며 인도인들의 사유와 문화에 커다란 영향을 미쳤다. 또한 중국으로 전래된 불교는 현지의 오랜 전통문화와 만나면서 수준 높은 철학과 종교로 발전해 인간과 세계의 문제에 대한 깊은 성찰을 인류에게 제공했다. 저자는 불교의 본질을 이해하기 위해 우선적으로 인도불교의 역사를 차분히 살펴볼 필요가 있다고 말한다. 그런 다음에야 중국을 거쳐 한반도에 정착한 한국불교의 정체성이 드러나기 때문이다.
9788985101240

인도불교사

다카사키 지키도  | 경서원
14,250원  | 20060830  | 9788985101240
인도 불교의 역사를 다룬 책이다.
9788952743473

인도불교사 2

에띠엔 라모뜨  | 시공사
27,000원  | 20060103  | 9788952743473
에띠엔 라모뜨가 10년에 걸친 대작업 끝에 완성한 『Histoire du Bouddhisme indien』의 번역본이다. 유럽의 불교학자들은 이 책을 “불교 연구 역사에 있어 한 시대의 획을 긋는 기념비적인 저술”이라고 소개한다. 붓다의 생애, 초기불교, 교리 교단의 조직, 성전의 성립과 발달, 불교의 언어, 부파의 기원, 전도와 전파, 아비다르마의 발전, 조각과 건축, 유적의 발굴, 문헌학, 금석학, 고전학 등 인도 불교의 거의 모든 분야를 다루고 있다....
9788972594420

간추린 인도불교사

에티엔 라모트  | 시공사
0원  | 19971006  | 9788972594420
기원적 6세기에 창시자가 구상한 그대로의 샤키야무니의 불교를 비롯해 샤키야무니의 제자들이 전수한 불교기원 전후에 형성된 대승불교, 기원후 7세기경에 나타나 트트라라 불리는 불교 등을 중심으로 인도 불교의 역사를 간략하게 간추려 엮은 책.
9788974794767

불교사 100장면 (인도 중앙아시아 중국을 거쳐 한국까지 100장면에 담긴 2,600년 불교의역사)

자현  | 불광출판사
17,820원  | 20181112  | 9788974794767
아시아의 문화와 역사를 알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것, 불교 서양의 역사와 문화를 더욱 쉽게, 그리고 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해서 반드시 알아야만 하는 것이 바로 ‘그리스?로마 신화’와 ‘기독교’이다. 그리스?로마 신화를 알아야 서양의 회화나 조각과 같은 예술 전반을 이해하기 쉽고, 16~17세기 기독교 내부에서 일어난 종교개혁이라는 사건이 어떻게 유럽의 사회적?정치적 변화를 이끌어 냈는지 등을 이해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처럼 역사를 공부하기 위해 반드시 알아야 하는 사상이 서양의 경우 그리스 로마 신화와 기독교라면, 아시아의 경우에는 ‘불교’라고 할 수 있다. 2,600여 년 전, 아시아의 한 지역인 인도에서 발생한 불교는 오늘날 여러 종교 중 하나로 여겨지는 것과 달리 아시아, 그중에서도 중국과 한국에서는 단순한 ‘종교’가 아닌 하나의 사상이었다. 특히 한국의 경우, 불교의 전래와 공인은 곧 동아시아의 문화 중심지였던 중국과의 교류를 뜻하였다. 그래서 불교를 받아들임으로써 국가의 체제를 정비하고 발전시켰으며, 또한 사찰이나 탑, 불화를 조성하면서 건축 양식과 예술을 발전시킬 수 있었다. 그래서 성리학이 동아시아의 주류 사상이 되는 조선 시대 이전까지 불교는 ‘지배 이데올로기’로 있을 수 있었다. 그러므로 우리 역사나 문화를 더욱 쉽게, 정확히 알기 위해서는 불교의 전개와 변천 과정을 반드시 알아야만 한다. 이와 더불어 한국에 불교를 전한 중국, 그리고 불교의 시원인 인도까지 불교의 전개와 변천 과정을 알아야 한국사, 더 나아가 동아시아사를 이해하는 바탕을 갖추었다 할 수 있을 것이다.
1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