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일간
|
주간
|
월간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 네이버책
  • 알라딘
  • 교보문고
"임원경제지 세트"(으)로 5개의 도서가 검색 되었습니다.
9791189801434

임원경제지 전어지 전권세트

서유구  | 풍석문화재단
59,400원  | 20210730  | 9791189801434
일생을 바쳐 남긴 풍석 서유구의 저술, 《임원경제지》 《임원경제지》는 조선 후기 실학자 풍석 서유구 선생이 우리의 전통문화와 생활지식을 16분야로 나누어 집대성한 백과사전이다. 서유구는 관념에 치우친 유학자들의 학문적 태도에서 벗어나 사람살이의 기본인 ‘건실하게 먹고 입고 사는 문제’를 풀고자 민중의 생활상을 세밀하게 관찰하고 조선·중국·일본의 서적들을 풍부하게 참조하여 이 거작을 저술하였다. 《임원경제지》 7번 째 지(志) 《전어지(佃漁志)》, 목축·사냥·어로 백과사전 책 제목의 ‘전어(佃漁)’는 ‘사냥과 어로(漁撈, 고기잡이)’라는 뜻이며, 사냥과 어로뿐만 아니라 목축과 양어·양봉까지 포함되어 있다. 〈전어지〉는 《자산어보(玆山魚譜)》, 《우해이어보(牛海異魚譜)》와 함께 조선의 3대 어류 전문서로 평가받고 있다. 그런데 《전어지》는 어류 전문서일 뿐만 아니라 목축·양봉·사냥에 관한 정보가 풍성하게 실려 있다. 산과 들과 강과 바다에서 만날 수 있는 대부분의 동물들이 망라되어 있다. 인간이 생명을 유지하기 위해 섭취해야 하는 먹을거리나 일상 용품을 만드는 데 필요한 재료로서의 동물을 얻기 위한 지식을 담은 저술로, 오로지 삶의 유용성 차원에서 접근한 동물 실용백과사전이다. 총 2권의 책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전어지〉1은 권1부터 권2까지의 내용을 묶었다. 권1에서는 목축 총론과 말 기르는 법을 다룬다. “총론”에서는 가축 사육에서 중요한 점 몇 가지를 거론하며 중국 북방에서 대규모로 방목하는 방법을 배워야 함을 강조했다. “말”에서는 ‘이름과 품종’을 필두로 ‘보는 법’, ‘말 기르기 총론’, ‘종마 얻는 법’, ‘먹이는 법’, ‘수말이 싸우지 않게 기르는 법’ ‘군마를 튼실하게 기르는 법’, ‘코 째는 법’, ‘군살 빼는 법’, ‘말 거세법’, ‘치료하기’ 등 《전어지》에 등장하는 동물 중 가장 방대한 내용을 수록했다. 권2에서는 말을 제외한 모든 가축과 물고기와 벌을 다룬다. 소?당나귀와 노새?양?돼지?개?고양이?닭?거위와 오리?물고기?꿀벌 등 총 12종이다. 이중 “소”에 관한 정보가 가장 많다. 또 양어법을 소개하는 “물고기”에서는 양어가 생계를 꾸리는 데 가장 좋은 방법이라는 내용으로 시작한다. 이런 이유로 물고기 기르는 법을 여러 가지로 모아두었다. 〈전어지〉2는 권3부터 권4까지의 내용을 묶었다. 권3은 “매와 사냥개”를 사육하고 길들이는 법을 필두로 총과 활, 그물과 함정 등으로 들짐승이나 날짐승 사냥을 준비하는 방법을 소개한다. 고기잡이의 필수품인, 그물과 더불어 통발, 낚시와 작살 등 주요 어구에 대해서도 설명했다. 권4는 〈물고기 이름 고찰〉이다. 물고기를 “민물고기”와 “바닷물고기”로 크게 나누고, 각 물고기를 다시 ‘비늘 있는 종류(인류)’, ‘비늘 없는 종류(무린류)’, ‘껍데기가 있는 종류(개류)’로 나누어 총 157종을 고찰한다. 각 어종을 해설하는 내용은 명칭 고증과 오류 수정, 명칭의 유래, 생김새, 크기, 습성, 서식처, 주요 산지 및 나는 때, 이동 경로, 맛, 잡는 법, 용도, 효능, 선호도, 가공법, 운송로, 판로 등 어류와 관련된 다양한 측면을 다루고 있다. 조선 동물세계 기록의 진수 독자들은 《전어지》에서 조선의 동물세계 기록의 진수를 맛볼 수 있을 것이다. 《전어지》를 읽으면 시대의 격절과 문화의 엄청난 변동으로 인한 전통과의 단절의 벽을 실감할 수 있다. 그러나 임원경제연구소에서 이 단절의 벽을 조금이라도 더 허물기 위해 무척 애쓴 모습이 곳곳에서 역력히 보인다. 앞의 번역서들에서도 꾸준히 보여주는 방식이지만, 《전어지》에서의 여러 참고 사진과 그림이 그 진입의 벽을 낮춰준다. 더군다나 돼지나 닭 사육법과 사냥법 및 물고기 잡는 법을 삽화로 구현해 놓은 대목에서는, 의존적 문명을 살아가는 현대인의 수렵·어로 본능을 군침 돌게 자극해줄 정도로 원문을 매우 잘 시각화했다. 연구자들에게도 매우 포괄적인 도움을 준다. 조선 시대 동물연구는 앞으로 《전어지》를 거치지 않을 수 없게 되었다.” -도올 김용옥 서문 중에서
9791189801397

임원경제지 향례지 전권 세트

서유구  | 풍석문화재단
59,400원  | 20210630  | 9791189801397
일생을 바쳐 남긴 풍석 서유구의 저술, 《임원경제지》 《임원경제지》는 조선 후기 실학자 풍석 서유구 선생이 우리의 전통문화와 생활지식을 16분야로 나누어 집대성한 백과사전이다. 서유구는 관념에 치우친 유학자들의 학문적 태도에서 벗어나 사람살이의 기본인 ‘건실하게 먹고 입고 사는 문제’를 풀고자 민중의 생활상을 세밀하게 관찰하고 조선·중국·일본의 서적들을 풍부하게 참조하여 이 거작을 저술하였다. 《임원경제지》 12번 째 지(志) 《향례지(鄕禮志)》, 향촌의례 백과사전 《향례지》는 선비로서 향촌에 살면서, 지역 공동체와 가문의 일원으로 꼭 알아두어야 할 예법인 향음주례(鄕飮酒禮)와 향사례(鄕射禮), 향약, 관혼상제에 관한 내용을 담고 있다. ‘향례(鄕禮)’는 왕성(王城)에서 멀리 떨어진 향촌에서 시행하는 의례라는 뜻이다. 총 2권의 책으로 구성되어 있다. 〈향례지〉1은 권1부터 권3까지의 내용을 묶었다. 권1은 향음주례(鄕飮酒禮)를 다룬다. 향음주례는 향촌의 사대부들이 향교나 서원 등에 모여 학덕과 연륜이 높은 이를 주빈(主賓)으로 모시고 술 마시며 잔치 하는 향촌의례의 하나다. 중국과 조선의 향음주례를 차례로 소개하고, 저자 풍석 서유구가 옛 의례를 참조하여 정리한 ‘새로 정한 향음주례’로 마무리했다. 권2는 향사례(鄕射禮)를 다룬다. 향사례는 주(周)나라 시대 향대부(鄕大夫)가 3년마다 어질고 재능 있는 사람을 왕에게 천거할 때, 그 선택을 위해 행하는 활 쏘는 의식이다. 후대에도 이 의식이 이어졌다. 주나라의 향사례, 조선의 향사례를 소개하고, 서유구가 ‘새로 정한 향사례’를 소개한다. 권3은 주희(朱熹)가 ‘여씨향약(呂氏鄕約)’을 보완한 향약을 자세히 소개했고, 이이의 ‘사창계(社倉契)의 약속’을 소개한다. 사창계는 조선 시대 각 지방 군현의 촌락에 설치한 사창(社倉) 단위에서 꾸린 민간협동체다. 상부상조와 친목 등의 목적으로 만들어진 제도로, 향촌 자체의 민간 빈민 구호기관의 성격을 지녔다. 〈향례지〉2는 권4부터 권5까지의 내용을 묶었다. 권4는 관혼상제 중 관례와 혼례를 다룬다. 사마광의 ?서의?, 주희의 ?가례?, 그리고 ?국조오례의? 3종의 문헌을 인용했다. 앞의 두 문헌에서는 관례(冠禮, 남자 성인식)와 더불어 계례(?禮, 여자 성인식) 절차까지 설명했다. 《국조오례의》에서는 계례를 다루지 않았다. 절차는 위의 세 문헌에서 각각 8개, 7개, 5개로 정해져 있다. 권5는 상례와 제례를 다룬다. 이 권은 내용으로나 기사수로나 《향례지》에서 가장 복잡하다. 상례는 ‘망자의 혼 부르기’부터 ‘이장’까지 총 19단계 절차를 포괄한다. 이 절차는 대부분 조선의 예학(禮學)에 절대적인 영향력을 미쳤던 주희의 《가례》의 내용을 본 줄기로 삼고, 이를 주석한 여러 예학서를 인용하는 형식으로 구성되었다. 제례에서는 ‘사당(祠堂) 세우기’, ‘시제(時祭, 계절별로 지내는 제사)’, ‘기제(忌祭, 기일에 지내는 제사)’, ‘묘제(墓祭)’, ‘복상 기간의 제사’로 나누어 제사 의례를 설명했다. 도올 김용옥 서문 : 예(禮)란 무엇인가? “대체적으로 예는 경제적으로 넉넉한 조건에서 훨씬 잘 작동될 것이라고 생각하지만, 예는 경제적으로 빈곤한 상태에서도 우리를 떠날 수 없다. 예는 인간의 조건이다. 인간이 도덕의 기쁨을 저버리지 않는 한 예는 우리를 떠날 수 없다. 그것은 인간이 삶의 노동에서 얻는 재화를 어디에 어떻게 활용할 것인가에 대한 실천적 대답이다. 이는 난해하고 학술적인 작업이 아니라 우리의 삶을 개혁하려는 끊임없는 의지와 관련되는 것이다. 우리는 살 뿐만 아니라 더 잘 살기 위하여 몸부림친다. “더 잘 삶”은 필연적으로 예를 떠나서 생각할 수 없는 것이다.”
9791189801359

임원경제지 보양지 전권 세트

서유구  | 풍석문화재단
89,100원  | 20201102  | 9791189801359
일생을 바쳐 남긴 풍석 서유구의 저술, 《임원경제지》 《임원경제지》는 조선 후기 실학자 풍석 서유구 선생이 우리의 전통문화와 생활지식을 16분야로 나누어 집대성한 백과사전이다. 서유구는 관념에 치우친 유학자들의 학문적 태도에서 벗어나 사람살이의 기본인 ‘건실하게 먹고 입고 사는 문제’를 풀고자 민중의 생활상을 세밀하게 관찰하고 조선·중국·일본의 서적들을 풍부하게 참조하여 이 거작을 저술하였다.
9788996063872

임원경제지 본리지 세트

서유구  | 소와당
0원  | 20090420  | 9788996063872
지식의 출발은 먹고사는 일로부터 임원경제지의 원칙은 철저하게 먹고사는 일로부터 출발한다는 점이다. 식량을 어떻게 마련할 것인가? 식량에 속하는 것은 무엇이 있는가? 가축을 어떻게 기를 것인가? 옷은 어떻게 만들 것인가? 집은 어떻게 지을 것인가? 가정 경제는 어떻게 운용할 것인가? 가계부는 어떻게 쓸 것인가? 취미와 여가는 어떻게 활용할 것인가? 동네 사람들끼리는 어떻게 지낼 것인가? 국가와 제도는 어떻게 운영할 것인가? 놀랍도록 구체적인 사실로부터 세상의 모든 지식을 담아냈다. 수학을 위한 수학이 아니라 둑의높이를 계산하기 위한 수학, 천문학을 위한 천문학이 아니라 농작물 심을 시기를 알기 위한 천문학 등 온갖 분야의 분과 학문이 하나의 컨셉으로 녹아 있다는 점에서 근대 이후 분과 학문의 틀에서 우리가 경험하지 못한 놀라운 지식의 향연이 돋보인다.
9791189801311

임원경제지 정조지 전권 세트

서유구  | 풍석문화재단
0원  | 20201005  | 9791189801311
총 1,748개(조선 최다)의 방대한 한·중·일 레시피(recipe) 소개 2020년 풍석문화재단과 임원경제연구소가 조선 후기에 실용적인 학문을 추구했던 풍석 서유구(徐有?, 1764~1845)의 실용백과사전 『임원경제지(林園經濟志)』의 16개 분야 중 음식요리 백과사전인 『정조지(鼎俎志)』(전4권)를 번역 출간했다. 이번 출간본은 정본화(定本化)를 거친 『정조지』 최초의 완역본으로서 전체 4권, 총 1,368쪽에 이른다. 뿐만 아니라 정확한 교감을 거친 한문 원문에 구두점을 찍어 번역문과 나란히 비교해 볼 수 있도록 편집하였으며, 재료와 도구, 임원경제연구소·풍석문화재단 음식연구소 및 여러 음식 전문가가 『정조지』 음식을 재현한 사진 536장, 그림 99장, 표 17개로 독자들의 이해를 돕고 있다.
1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