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 네이버책
  • 알라딘
  • 교보문고
"장애학생통합교육"(으)로 10개의 도서가 검색 되었습니다.
9788982873430

장애 학생의 통합 교육

김승국  | 교육과학사
4,500원  | 19990915  | 9788982873430
9788968668968

장애학생을 위한 통합교육 (교육과정 통합 및 교수학습 지침서)

Rachel Janney, Martha E. Snell  | 시그마프레스
11,700원  | 20170315  | 9788968668968
모든 학생을 가르치기 위해 빠르고 실제적이며 손쉽게 사용 가능한 안내서와 추가적인 지원을 요구하는 아이들을 위한 적절한 수정이 필요하다면 이 책을 읽어보도록 하자. 유치원에서부터 고등학교까지 통합교육을 위한 명확하고 구체적인 계획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현장 검증이 이루어진 전략, 사례 연구, 계획 도구가 함께 있는 이 책은 교사가 핵심 교과 영역에서 효과적으로 보편적 교수를 전달하는 것뿐 아니라 다양한 요구와 능력을 지닌 학생들에게 맞춤화된 수정과 유연한 지원을 제공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교사들은 이 책에서 통합교육에 실제로 효과적인 방법과 개별 학생의 소속감을 북돋는 동시에 짜임새 있게 수정하는 방법을 발견할 것이다.
9788963307978

다문화 특수교육 (다문화 사회의 장애 영재학생 통합교육)

Gwendolyn Cartledge  | 학지사
0원  | 20120125  | 9788963307978
『다문화 특수교육』은 교사가 다문화 학생 집단 고유의 학습 문제가 무엇인지 확인하고, 이후의 성공적인 삶을 위한 문제를 해결하는 데 도움을 주기 위한 목적으로 기획된 책이다. 14개 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장은 가독성 및 교재의 유용성을 증진하기 위해 '질문과 전략', '예시', 'Teaching Tips', '적용', '요약', '관련 학습 활동' 등의 일련의 교육적인 요소들을 포함하였다.
9791159554841

청각장애 학생을 위한 성공적인 통합교육 지침서 (제2판)

한국난청인교육협회  | 군자출판사
9,900원  | 20190924  | 9791159554841
청각장애인의 의사소통 수단은 수화 언어(수어) 중심에서 음성 언어(구어) 중심으로 옮겨지고 있다. 통합교육 현장에 계시는 선생님들께 필요한 청각장애 학생들과의 의사소통 방법 및 학습지도 방법, 성공적인 통합 교육에 도움이 될 자료와 정보를 담아낸 지침서다.
9788999702587

장애학생의 일반교육과정 접근: 통합학급 수업참여 방안 (통합학급 수업참여 방안)

빅터 놀렛  | 학지사
16,200원  | 20140320  | 9788999702587
▶ 이 책은 장애학생의 일반교육과정을 다룬 이론서입니다. 특수교육이론의 기초적이고 전반적인 내용을 학습할 수 있도록 구성했습니다.
9788968660108

정서·행동 장애 학생의 성공적인 통합교육을 위한 이해와 실천

Grad L. Flick  | 시그마프레스
22,500원  | 20130225  | 9788968660108
이 책은 통합교육 장면에서 정서·행동 장애 학생들이 성공적으로 교육받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필수적인 내용을 다루고 있다. 정서·행동 장애를 이해하는 것을 바탕으로 정서·행동 장애 학생을 어떻게 인식할 것인가, 이들 학생들에게 필요한 판별 및 사정 절차, 교육계획 작성을 어떻게 할 것인가, 학급 또는 학교 차원에서 정서·행동 장애 학생들을 어떻게 관리할 것인가 등 통합교육 장면에서 직면하게 되는 다양한 문제들에 대해 사례를 들어가며 실천 전략을 제시하고 있다.
9788999734113

특수교육과 통합교육의 사회학 (장애학생과 저성취 학생을 위한 교육 정책)

김소현, 강성구, 김지연, 김라경, 강종구  | 학지사
16,200원  | 20250310  | 9788999734113
장애가 차별이 아닌 모두의 다양성 중 하나로 존중받을 수 있는, 특수교육이 특정 아동만을 위한 특별한 교육이 아닌 모든 아동의 보편적 교육 욕구를 충족시켜 줄 수 있는 교육을 제시하기 위한 정책적 제안서!! 이 책의 주요 결론은 능력이나 장애를 기준으로 젊은이들을 계속 분리하는 정책과 이로 인한 사회계층 및 인종별 분리에 관한 것이다. 특히 영국과 미국에서 정부 정책이 실제로 학습할 수 있는 ‘능력’이 무한대인 대다수의 청소년들의 무능력을 어떻게 만들어 내고 있는지를 다양한 방식으로 다루었다. 학교가 실패하고, 아이들이 결함이 있고, 사회 이동성이 정체되어 있으며, 저성취 청소년들은 파괴적이며, 의욕이 없고, 직업 능력이 부족하다는 미사여구는 개인의 결함보다는 정책과 관행의 결과이다. 긍정적인 정책은 ‘교육’에 대한 보다 문명화된 아이디어를 발전시킬 수 있는 경제와 사회를 개발하는 데 중점을 둘 수 있다. 이러한 것은 학력 수준에 상관없이 모든 젊은이들에게 일자리를 제공하고, 취업 능력은 부족할 수 있지만 여전히 가치 있는 시민으로서 가부장주의나 모욕이 필요하지않은 사람들을 돌볼 수 있도록 준비할 수 있다.
9788999728488

좌충우돌 미국의 통합교육 이야기 (ADHD, 자폐스펙트럼장애, 학습장애, 정서장애, 적대적 반항장애 학생들과의 학교생활 이야기)

신경아  | 학지사
14,400원  | 20230320  | 9788999728488
“아이들이 공부를 못 하는 것, 제멋대로 행동하는 것은 당신 탓이 아니에요.“ 한국에서의 장애인 교육 즉, 특수교육은 법적으로 명시되어 있다. 특수교육진흥법에 따라 장애인 교육권을 보장한다는 것이 목표다. 특수교육의 대상자라면 효율적인 교육을 위해 필요한 자원을 제공하고 상담지원, 가족지원, 치료비 지원, 학습 보조 기기 지원 등이 가능하다. 하지만 법률에 명시된 것과 현실에는 많은 차이가 있었다. 기이할 정도로 학구열에 높은 한국에서 입시 위주 교육 체제가 굳어져 장애인 교육은 소외당하기 십상이고 그들을 바라보는 사회적 인식 개선도 이루어지지 않는 등 기대에 못 미치는 정책이라는 평가가 있기도 하다. 그렇다면 미국에서의 특수교육은 어떨까? 늦은 나이에 미국에서 공립초등학교 통합학급 교사가 된 본 도서의 저자 신경아 교사의 글을 보면 많은 차이점이 있었다. 한국에서는 장애학생들을 가르치며 그 아이들을 자신의 틀에 맞추어 교육하고 변화시켜야 할 대상으로 생각했으며 그들을 이해하고 맞추어 스스로를 변화시킬 생각은 전혀 하지 못했다. 하지만 미국에서 직접 교사로 일하며 점차 생각이 바뀌었다. 특히 미국에서는 장애학생 교육이 부모나 한 가정의 범위를 넘어서서 학교, 지역 사회 그리고 국가가 책임져야 한다는 것을 처음 알게 됐고 놀라움을 금치 못했다는 말도 덧붙였다. 가령 모든 교육 기자재, 특수 유동식까지 장애학생들에게 무상으로 제공되는 미국 교육기관의 압도적인 시설 및 교육 기자재와 풍부한 인적자원은 까무러칠 정도로 놀라운 일이었다고 표현했다. 이처럼 본 저서는 미국의 공립 초등학교에서 실시하고 있는 일반적인 통합교육에 대해 소개하고 있다. ADHD, 학습장애, 정서장애, 적대적 반항장애, 자폐스펙트럼장애 학생들은 어떤 식으로 학교 시스템에서 진단을 받고, 어떻게 특수교육 대상자로 인정되며 특수교육을 받게 되는지에 대한 정보도 자세하게 기술하고 있다. 학교 선생님, 학부모와 특수교육에 관심 있는 일반인에게 미국 특수교육 체계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며 책에서의 방법과 내용이 국내 특수교육 종사자와 가족들에게 생각의 스펙트럼을 넓혀주는 계기가 되기를 소망한다.
9788925405766

장애학생 통합교육론

정동영, 김희규  | 교육과학사
15,300원  | 20120314  | 9788925405766
『장애학생 통합교육론』은 일반학생들과 다른 특별한 요구를 지닌 장애학생을 차별하지 않고 평등하게 지원하는 통합교육을 실시하는 데 필요한 내용을 소개한 책이다. 본문은 크게 3부로 구성되어 있으며, 제1부 통합 교육의 기초, 제2부 통합교육의 기원, 제3부 통합교육의 실제의 순으로 다루었다.
9788963307770

지체장애 학생교육 (통합학급 교사를 위한)

Mark Fox  | 학지사
12,600원  | 20120310  | 9788963307770
영국의 특수교육심리학자 Mark Fox가 저술한 [3~11세 지체장애 아동이 속한 주류학교를 위한 실용적 지침(Including Children 3-11 with Physical Disabilities: Practical Guidance for Mainstream Schools)]을 우리말로 옮긴 것이다. 이 책을 번역한 이유는 지체장애 학생에 한정하여 통합교육의 이모저모를 다룬 책이 드물기도 하지만, 책 전반에 반영된 저자의 통합교육에 대한 신념과 경험이 우리나라에도 고스란히 전해졌으면 하는 바람에서다.
1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