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일간
|
주간
|
월간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 네이버책
  • 알라딘
  • 교보문고
"존 어리"(으)로 7개의 도서가 검색 되었습니다.
9791190901796

모빌리티

존 어리  | 앨피
20,700원  | 20220228  | 9791190901796
존 어리 ‘패러다임 전환’의 집성판 사회학자, 네트워크 조직자, 영국과 더 나아가 전 세계 사회과학의 얼굴을 변모시킨 공적 지식인 존 어리의 심오한 공적을 음미할 수 있는 저작의 국내 재출간본이다. 존 어리가 주창한 이른바 ‘새로운 모빌리티 패러다임’의 근원과 목표, 성과와 전망이 책 한 권에 담겼다. 어리는 중대한 사회현상은 패러다임을 ‘이동’시켜야만 분석할 수 있다고 말한다. 석유전쟁에서 SMS 문자메시지까지, 노예무역에서 글로벌 테러리즘까지, 지구온난화에서 재택근무까지 … 기존의 사회과학 문법으로는 이해하기 어려웠던 불투명한 사회현상을 이해하는 새로운 패러다임의 등장과 패러다임 전환을 알리는 모빌리티 선언문 같은 책이다.
9791190901161

석유 이후

존 어리  | 앨피
13,500원  | 20210129  | 9791190901161
우리는 석유의존성을 뒤집을 수 있을까? 짧지만 강력한 ‘석유 이후’ 선언서 모빌리티 연구를 사회학 분야로 끌어올려 개척한 고故 존 어리 교수의 2014년 소품이다. 이제는 새로운 선언이 아닌 현실적인 과제로 자리한 ‘석유 이후 시대’에 대한 개요가 짧지만 짜임새 있게 담겨 있다. 석유가 유발한 약탈경제와 혼돈, 불평등이 이미지 자료로 제시되고, 책 절반에 걸쳐 같은 내용이 프랑스어(번역서에서는 한글)와 영어로 반복 제시되는 독특한 실험적 책이다. 저자는 우리 사회현상의 배후로서 에너지(석유)의 역사와 역할로 시작하여, 화석연료 이후의 시스템을 어떻게 건설해야 하는가 하는 문제 제기로 책을 끝맺는다. 책에 담긴 한 문장 한 문장이 선언적인 것은 석유라는 ‘검은 금’의 미래가 얼마 남지 않았기 때문이다. 책의 첫 문장인 “도시는 폭발하여 약탈의 회오리바람이 불었다”는 석유를 둘러싼 패권국 및 자본가들의 약탈과 혼란상을 웅변한다. ‘석유 이후’를 예상하는 저자의 시나리오는 4가지다. 특효약이 듣는 미래/디지털의 삶/자동차 이후 사회/군벌주의가 그것이다. 이에 대한 저자의 결론은 “대안이 없다”이다. 그러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안 시스템을 찾아 발전 유지시켜야 한다”. 미래학자 벅민스터 풀러의 말대로, 있는 현실과 싸워서는 아무것도 바꿀 수 없으므로. 무언가를 “바꾸려면 새로운 모델을 만들어야 한다.” 화석연료 이후의 새로운 시스템, 새로운 사회관습을 만들어 가야 하는 21세기 지구인으로서 잊지 말아야 할 명제를 다시금 일깨우는 책이다.
9788958625735

사회를 넘어선 사회학 (이동과 하이브리드로 사유하는 사회학)

존 어리  | 휴머니스트
18,000원  | 20121217  | 9788958625735
『사회를 넘어선 사회학』은 21세기의 새로운 사회학의 가능성을 제시한 책이다. 시공간의 경계를 넘다드는 ‘이동’ 그 자체가 사회적인 동시에 지리적인 현상이라고 진단한다. 그동안 사회학이 등한시하거나 타 분야에 맡겨왔던 시간과 공간, 도시와 자연, 신체와 감각 등을 사회학으로 끌어와 탐구하고 있다.
9788957333297

모빌리티

존 어리  | 아카넷
0원  | 20140618  | 9788957333297
[모빌리티]는 사회를 보는 새로운 ‘렌즈’로서 모빌리티 패러다임을 제시하고 사회과학의 새로운 이론과 방법론을 전개시킨 책이다. 모빌리티의 증대와 가속화 그리고 사회공간적 네트워크의 확대에 따라 발생하는 사회 현상을 폭넓게 보여줌과 동시에 현상 뒤에 숨은 문제들을 비판적으로 드러내고 있다.
9791130424934

존 어리, 모빌리티

이희상  | 커뮤니케이션북스
11,400원  | 20160411  | 9791130424934
『존 어리, 모빌리티』는 사회과학의 새로운 방향인 이동성, 물질성, 수행성, 혼종성, 공간성 담론을 이끈 세계적 석학 존 어리와 그의 ‘모빌리티 패러다임’ 혹은 ‘모빌리티 전환’ 주장을 설명한다. 이 책은 어리의 대표 저서 『모빌리티』를 중심으로 그의 주요 개념과 사상을 담고 있다. 또한 모빌리티 사회와 공간을 이해하는 데 실마리를 제공한다.
9791159056215

관광의 시선

존 어리, 요나스 라슨  | 소명출판
29,700원  | 20210620  | 9791159056215
이 책은 근대 사회를 특징짓는 주요한 행동 양식 중 하나인 관광에 대해 종합적으로 다루고 있는 사회학 분야의 연구서이다. 현대 사회를 살아가고 있는 사람들 대부분은 일상생활을 영위하는 노동과 주거의 공간에 머물러 있으면서도 한편으로는 사회적으로 용인되고 심지어 장려되기까지 하는 일탈을 계획하고 상상하고 기대한다. 상당한 체력과 노력, 비용과 시간을 들여야 하는 그 일에 대해 사람들은 귀찮음이나 아까움을 느끼기는커녕, 기회만 된다면 더 많은 곳에서 더 다양한 체험을 즐길 수 있기를 바란다. 그리고 그 체험의 중심에는 여러 대상에 대한 단순한 ‘보기’를 넘어선 ‘시선 보내기’의 행위가 존재한다. 오로지 개인의 휴식과 여가, 새로운 체험에 대한 욕망과 기대의 범주에 속해 있는 문제로 여겨지는 관광이 실은 사회적으로 조직되고 구성된 것이라는 점이 논의된다. 엘리트 계층의 전유물로서가 아니라, 대부분의 사람들이 노동이나 사업과는 관련이 없는 어떤 대상을 보기 위해 여행을 떠나는 근대적 관광은 대중적인 이동을 위한 사회기반시설이 갖춰지고 다른 장소에 방문하고자 하는 사회적 욕구가 형성되고 사진이나 영상 등의 시각적 기술을 통한 이미지의 생산과 유통이 가능해진 사회적 변화와 기술의 발전에 힘입어 형성된 것이다. 여기서 개인의 관찰 활동이 아닌 사회적 행위로서의 ‘시선’이 또한 주목된다. 일상생활에서 보통 마주치게 되는 것들과는 다른 즐거워할 만한 체험이 있을 것이라고 하는 학습되고 만들어진 기대와 예상 속에서 사람들은 이색적인 경치, 풍경, 도시 경관 등에 시선을 보낸다. 즉, 시선을 보내는 것은 있는 그대로의 외부 세계를 객관적으로 관찰하는 것이 아니라, 어떤 규범과 양식, 장소에 관한 이미지와 텍스트의 유포에 의해 만들어진 일종의 문화적인 렌즈를 통하는 행위이다. 달리 말하면, 모종의 방식으로 세계를 배열하고 형상화하고 분류한 결과를 보는 것이다. ‘재미있고, 좋고, 아름다운’ 것은 실제로 정말로 그렇게 존재하는 것이기보다는 시선 보내기의 방식을 통해 그렇다고 믿어지는 것이다. 이 책에서는, 근대의 사회적 관행으로서의 ‘관광’, 개인 심리의 문제가 아니라 사회적으로 패턴화되고 학습된 보기의 방법인 ‘시선’, 이 두 가지가 어우러진 ‘관광의 시선’이 어떤 역사적 배경 속에서 성립되고 발전해 왔으며 여러 공간 및 대상과 얼마나 복잡한 관계를 맺고 있는지를 다루고 있다. 특히 시각성이 어떤 경과를 통해 지배적인 감각이 되었는지를 다루는 7장, 사회적 상호작용을 주체들이 사회화된 관행을 연기하는 하나의 연극으로 간주하는 관점에서 관광을 분석하는 8장, 테러ㆍ석유 고갈ㆍ기후 변화 등의 리스크와 관광의 미래를 예상해 보는 9장의 내용은 관광 담론의 범위를 더 넓히고 심화한 성과이다. 휴가를 통해서 일상의 노동에 지쳐 있는 신체 피로를 회복하고 심리 안정을 도모할 수 있다고 하는 발상이 근대적인 담론의 일부라는 지적은 자못 흥미롭다. 지금 이 순간에도 현실 세계와 가상 세계를 뒤덮은 기상천외하고 휘황찬란한 이미지들이 사람들의 주목을 끌고 있고, 이뿐만 아니라 음악을 즐기는 청각 풍경, 숲속의 청량한 공기를 마시는 후각 풍경, 맛집에서 음식을 탐미하는 미각 풍경, 트레킹을 하면서 느끼는 자연의 촉각 풍경 등이 다양한 방식으로 사람들을 유혹하고 있다. “열심히 일한 당신, 떠나라!”라는 오래전 한 광고 문구의 메시지가 당연하게 여겨지는 오늘날, 그 일탈은 당신이 알게 모르게 학습한 것이다.
9791130471815

[큰글씨책] 존 어리, 모빌리티 (큰글씨책)

이희상  | 커뮤니케이션북스
25,000원  | 20160411  | 9791130471815
커뮤니케이션 이론총서 시리즈. 존 어리의 대표 저서 <모빌리티>를 중심으로 그의 주요 개념과 사상을 담고 있다. 오늘날 사회와 공간은 고정적 고체에서 유동적 액체로 변하고 있으며, 최근에 우리나라와 세계에서 발생한 사건들 대부분은 그러한 변화와 관련된다. 이 책은 모빌리티 사회와 공간을 이해하는 데 실마리를 제공한다.
1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