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학 > 사회학 일반
· ISBN : 9791190901796
· 쪽수 : 568쪽
· 출판일 : 2022-02-28
책 소개
목차
■ 머리말
제1부 이동하는 세계
제1장 사회적 삶의 이동화
이동 중
다양한 ‘모빌리티’
시스템
제2장 ‘이동적’ 이론과 방법
모빌리티 패러다임
짐멜과 모빌리티
복잡성
그 밖의 이론 자원
이동적 방법
결론
제3장 모빌리티 패러다임
새로운 패러다임
거리 다루기
결론
제2부 이동과 통신
제4장 보도와 소로小路
걷기와 사회 세계
길거리 걷기
전원에서의 여가 보행
결론
제5장 ‘공공’ 기차
공적 이동
이동의 기계화
시간표
공간
사교
결론
제6장 자동차와 도로의 체류
간략한 역사
자동차 모빌리티의 자기확장
모빌리티와 시공간
거주
자동차의 정치학
결론
제7장 비행
간략한 시대 구분
위험과 시스템
공항 공간
지구화된 항공
결론
제8장 연결과 상상
가상 이동
상상 이동
결론
제3부 이동 중인 사회와 시스템
제9장 천당 문과 지옥 문
시민권과 불평등
‘접근’
네트워크 자본
결론: 모빌리티와 자유
제10장 네트워크
작은 세상
세상은 작다
알기
사회적 네트워크
결론
제11장 만남
왜 만나는가?
면대면 대화
업무상 만남
가족 모임 및 친구 모임
이동 중 만남
결론
제12장 장소
환자를 위한 정동의 장소
시각의 정동
장소와 국가
지구적 이동과 장소
결론
제13장 시스템과 어두운 미래
모빌리티
여러 미래
승용차, 기후, 재난
암울한 미래
부록 1 존 어리 인터뷰: 모빌리티, 만남, 미래
_ 피터 애디·데이비드 비셀
부록 2 존 어리 특집 서문
_ 미미 셸러
■ 참고문헌
책속에서
그리하여 이 책은 이동적 세계에 대한 다음과 같은 쟁점을 다룬다. 무엇이 개인이나 기호나 통신을 이동하게 만드는가? 다양한 사회의 모빌리티는 어떤 특징이 있으며, 이론과 연구의 관점에서 어떻게 탐구해야 하는가? 모빌리티 전환은 전 세계의 이해하기 힘든 사회현상을 어느 정도까지 이해하도록 만드는가? 이동적이라는 것은 좋은 것인가?
하이데거도 짐멜처럼 다리의 중요성을 논한다. 어떤 의미에서 양안이 이미 ‘거기’ 있고 그다음에 다리가 둘을 연결하는 것이 아니다. 다리가 강을 가로지를 때 비로소 양안이 출현한다. 다리는 양안을 마주 보게 한다. 이것은 강 양쪽 기슭의 땅을 더욱 가깝게 병치하는 효과를 낸다. 하이데거는 다리의 기능이 요즘 행위소素라고 부르는 것과 같다고 주장한다. 다리는 “강과 기슭과 땅을 이웃하게 한다. 다리는 경관으로서의 땅을 강 주변으로 모은다.”
어떻게 보면 모든 이동은 간헐적 걷기를 수반한다. 걷기는 어디에나 있으며, 심지어 다음 여러 장에서 기술할 저 거대한 모빌리티 기계를 이용할 때도 그렇다. 이동의 역사에서 걷기는 필시 가장 중요한 이동 형태이고, 여전히 대다수 다른 이동 방식을 구성하는 한 요소이다. 따라서 이 장에서는 대부분의 모빌리티를 뒷받침하는 이동 형태인 걷기에 관해 논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