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일간
|
주간
|
월간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 네이버책
  • 알라딘
  • 교보문고
"지능정보사회의 이해"(으)로 14개의 도서가 검색 되었습니다.
9791197127977

지능정보사회의 이해 (한국정보사회학회 기획)

배영, 최항섭, 오주현, 최샛별  | 나남출판
23,400원  | 20210305  | 9791197127977
지능정보사회에서 인간과 사회는 어떻게 변화하는가? 정보사회 분야 최고의 전문가들이 쓴 지능정보사회 필독서 지능정보기술의 발전으로 인한 지능정보사회의 도래는 삶의 패러다임과 사회의 성격을 바꿔버릴 만큼 엄청난 변화를 가져왔다. 정보사회 관련 분야의 전문가로 구성된 한국정보사회학회가 펴낸《지능정보사회의 이해》는 지능정보사회에서 이전과는 완전히 달라진 인간과 사회를 총체적으로 분석한 책이다. 저자들은 인공지능, 알고리즘 등 주요 개념을 충실히 소개할 뿐만 아니라 지능정보사회가 가져온 인간관계 및 권력관계, 경제활동의 변화에 대해 사회학을 중심으로 철학, 법학, 미디어콘텐츠학, 커뮤니케이션학, 경영학 등 다양한 측면에서 이뤄지는 논의를 풍부하게 담았다. 지능정보사회에 대한 기대와 우려가 교차하는 지금 이 책은 지능정보사회를 바라보는 균형 잡힌 시각과 예리한 통찰을 제공한다.
9788925420257

미래 지능정보사회의 학교교육 체제 (분석과 전망)

정영근, 곽영순, 김사훈, 민용성, 박창언  | 교육과학사
26,100원  | 20250325  | 9788925420257
이 책은 2021년과 2022년 한국교육과정평가원에서 수행한 연구보고서인 『미래 사회 메가트렌드에 따른 학교지식의 구상과 교육과정 재구조화 IㆍII』(정영근 외, 2021; 2022)에 기반을 두고 있으며, 미래 지능정보사회에서의 학교교육 체제 분석과 그 전망이라는 내용을 중심으로 보완, 재구성하였다. 미래 지능정보사회를 살아갈 우리에겐 현재의 익숙한 틀을 벗어나 보다 근본적인 개조와 혁신이 필요하다. 이 책이 초연결의 네트워크 사회를 기반으로 한 미래 학교교육과 교육과정의 방향과 과제, 문제해결 방안을 모색하는 데 하나의 단초가 되기를 바란다.
9788983946522

정보사회의 이해 (전면개정판)

이항우, 이창호, 김종철, 임현경  | 미래인
18,000원  | 20110224  | 9788983946522
정보사회 분야에서 최신 담론을 형성하며 활발히 연구활동을 펼치고 있는 이항우, 이창호, 이기홍, 김종철 등 사회학자 15인이 의기투합하여 야심차게 펴낸 본격 교양서. 2005년 출간된 <정보사회의 이해> 전면개정판으로 급격히 변모한 정보사회의 현실을 반영하여 완전히 새로운 내용과 구성을 담았다. 이번 전면개정판에는 트위터와 페이스북 등 소셜 미디어에 대한 장이 새롭게 구성됐고 악성댓글이나 사이버범죄, 인터넷중독과 같은 정보사회의 역기능과 문제점들을 조명하는 장도 새로 추가되었다.
9788970183138

정보사회의 이해

최진석  | 기한재
0원  | 20050125  | 9788970183138
9788975811043

정보사회의 이해

강길호  | 영남대학교출판부
13,000원  | 19990420  | 9788975811043
산업화 시대와는 전혀 다른 패러다임을 가질 것으로 예상되는 미래사회에서의 성공을 위하여 학생과 일반인들이 정보사회에 대하여 가져야 할 보다 정확한 이해와 이에 대한 폭넓은 지식을 제공하는 책이다. 컴퓨터와 인터넷 등 단순히 정보기술에 대한 지식뿐만 아니라 정치, 경제, 경영, 문화, 교육, 행정, 법제도 등 사회 각 분야에 걸쳐 정보화가 가지는 의미와 이의 영향, 그리고 이들 분야의 향후 변천과정에 대한 광범위한 지식을 제공하고 있다.
9788930036030

정보사회의 이해

김경동  | 나남
15,000원  | 19980301  | 9788930036030
9788986598353

현실 정보사회의 이해

홍성태  | 문화과학사
9,000원  | 20021120  | 9788986598353
9788988450345

디지털 정보사회의 이해

유양근  | 한국디지틀도서관포럼
16,150원  | 20150217  | 9788988450345
디지털 정보사회는 단순히 모든 종류의 정보가 디지털 컴퓨터로 처리되고 저장할 수 있게 된 것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데이터베이스화 된 모든 종류의 정보를 시공간에 관계없이 지구촌 어디서나 실시간으로 필요한 정보를 교류하고 활용함으로서 사회가 엄청난 변화를 가져왔다는데 의미가 있으며 이러한 관점에서 인터넷과 디지털 정보의 사회적 가치는 대단히 크다고 할 수 있다. 디지털 정보의 원활한 유통은 정치, 경제, 사회, 문화, 교육 등 사회 및 국가 전반에 걸쳐 모든 부분에 절대적 영향을 주고 있으며 혁신적인 변화를 유도하고 있다. 디지털 정보는 어느 특정인의 소유물이 아니고 일반적이고 대중화된 지 오래이다.
9788960392885

정보사회의 이해와 컴퓨터 활용

엄준영  | 고요아침
16,200원  | 20100227  | 9788960392885
『정보사회의 이해와 컴퓨터 활용』은 인터넷 시대이 중요한 부분으로 자리잡은 정보와 정보시스템의 기본적인 이론을 체계적으로 정리하였으며 대학과 사회에서 모두 활용될 수 있도록 도운 교재이다.
9788953411296

지식정보사회의 이해와 정보활용 방법

유양근  | 한국학술정보
22,500원  | 20090227  | 9788953411296
[머리말] 우리는 자원생산적인 측면보다 지식과 정보 등 비물질적 생산이 중요시되는 지식정보사회에서 살고 있다. 지식정보사회에서는 지식과 정보가 중요한 자원이 되고, 이를 통한 가치 생산 및 정보의 재창출을 중요시한다. 지식과 정보가 사회변화와 발전에 원동력이 되는 사회이기 때문이다. 지식정보사회에서는 경쟁이 심화되는 사회이기 때문에 개인적으로나 국가적으로 볼 때 경쟁력 강화는 필수 요건이다. 따라서 학교는 물론, 회사, 관공서, 정부기구 등 모든 영역에서 변화에 대응하는 대응력과 경쟁력을 필요로 하고 있다.
9791129001238

지능정보사회의 규범체계 정립을 위한 법 제도 연구

이원태  | 진한엠앤비
23,400원  | 20170714  | 9791129001238
인공지능이 ICT혁신의 새로운 원동력으로 급부상하고 있다. 사물인터넷(IoT), 클라우드 컴퓨팅(Cloud Computing), 빅 데이터(Big Data), 모바일(Mobile) 등 고도화된 정보통신기술(ICT)에 인공지능(AI) 기술이 빠르게 접목되면서 ICT산업에 혁신적 변화를 일으키는 등 이른바 ‘지능정보사회’가 가까운 미래에 도래할 것이라는 전망이 제시되고 있다. 그런데 우리나라를 비롯해서 많은 나라들이 지능정보 기술 및 관련 산업을 서둘러 진흥, 육성시키려는 정책적 노력에 비해 그것이 사회에 미치는 파급효과 전반에 대한 규범적 대응은 여전히 미흡한 것으로 보인다. 왜냐하면 인공지능 알고리즘의 영향력 증대는 전통적 노동의 대체(지식노동의 위기 등), 경제적 거래질서의 변화 등 새로운 사회경제적 현상을 초래함과 동시에 개인법익 침해, 공정성 및 책무성 문제 등 다양한 규범적 이슈들을 언제든지 발생시킬 수 있는 상황이기 때문이다. 그만큼 인공지능이 현실공간에 전면화함에 따라 단순한 서비스 확장을 넘어 보이지 않는 현실공간의 규제 및 위험요인으로 부각될 수도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다는 것이다. 그런 점에서 본 연구는 인공지능이 초래하는 모든 윤리적, 철학적, 법제도적 이슈를 망라해서 지능정보사회 규범의 틀을 체계적으로 종합한 국내 최초의 연구라고 볼 수 있다. 특히 이 연구에서 제기하고 있는 인공지능의 윤리적, 법철학적 논의는 새로운 신기술 관련 규범 형성의 중요한 근거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왜냐하면 인공지능에 대한 윤리학적·철학적 개입은 인공지능, 로봇 등의 잠재적 위험성을 통제하기 위한 최소한의 평가체계 및 사회적 책임성을 적절히 반영하는데 매우 유용한 논의의 기초가 되기 때문이다. 또한 본 연구는 지능정보사회라는 새로운 기술 및 정책 환경의 변화가 현행 규범 체계 패러다임의 전환을 요구한다고 보고 새로운 기술혁신을 수용하는 과정에서 보완이 불가피한 입법의 필요성을 제기하고 있다. 예컨대, 현행 규범은 인간(자연인, 법인포함)과 물건의 이분법적 접근에 의한 권리와 의무관계를 설정하고 있지만, 인공지능, 로봇 등 비인간 행위자들을 인간으로 볼 것인지, 단순히 물건으로 볼 것인지, 아니면 인간의 연장이지만 제3의 인격체로 볼 것인지, 더 나아가 이러한 포스트휴먼(post-human)이 가지는 권리의 범위는 어디까지인지 등의 다양한 문제들을 면밀히 검토하고 있다. 알파고 충격 이후 인공지능을 둘러싼 규범적 논의가 여전히 경제적·산업적 논의에 비해 상대적으로 뒤쳐져 있는 것이 현실이지만, 새로운 규범 논의를 위한 기초연구로서의 의미와 가치는 크다고 하겠다. 이 보고서를 바탕으로 지능정보사회의 규범체계를 정립하기 위한 학술적 연구가 좀더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더 나아가 지능정보사회를 살아가는 국민들의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정책 개발도 활발하게 이루어지길 바란다.
9791170001331

지능정보사회의 규범체계 정립을 위한 법 제도 연구 (2016. 12)

이원태  | 정보통신정책연구원
10,000원  | 20161201  | 9791170001331
▶ 이 책은 지능정보사회의 규범체계 정립을 위한 법 제도 연구를 다룬 정부간행물입니다.
9791129008190

지능정보사회의 공공정보화 패러다임 변화와 미래정책 연구

이원태  | 진한엠앤비
22,500원  | 20180919  | 9791129008190
최근 4차 산업혁명의 물결은 산업, 사회 모든 영역에 지능정보기술을 확산시키면서 우리 사회를 지능정보사회로 이끌고 있다. 이러한 지능정보사회는 기계와 기계, 기계와 인간 등 모든 사물과 객체를 연결함으로써 정보교류 및 데이터 수집이 가능해지고 빅데이터와 인공지능의 분석 능력에 힘입어 사회 전체의 지능화로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사회이다. 패러다임과 사회생활 전반에 걸쳐 커다란 변화가 예상되는 제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이하여, 지능정보기술 및 관련 산업들이 크게 주목받으면서 매체환경이 급변하고 지능정보기술의 근간이 되는 공공정보화 이슈도 이에 따라 급격히 변화하고 있다. 따라서 지능정보사회가 유발하는 정치·경제·사회·문화의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새로운 환경에서의 공공정보화 이슈를 도출하고, 이를 해결할 수 있는 정책과제를 발굴할 필요가 있다. 사회 전반에 IoT·클라우드·빅데이터·AI 등 지능정보기술 활용이 가속화되면서 이를 뒷받침하는 새로운 공공정보화 전략이 필요한 시점이다. 즉, 지능정보기술이 사회 전반에 확산되면서 제4차 산업혁명 등 새로운 산업구조 변화 외에도 정부 운영이나 의사결정 방식의 변화에도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한다. 그럼에도 인공지능과 로봇 등을 비롯한 고도화된 지능 ICT의 산업적/경제적 파급효과와 전략에 관한 논의에 비해 거버넌스, 정부의 공공서비스 등 공적 영역에 미치는 영향과 현안에 대한 논의는 상대적으로 미흡한 것이 사실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고민을 바탕으로 지능정보기술이 공공영역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그에 적절히 준비하고 대응할 수 있는 정책 방향을 도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최근 국내외에서 지능정보기술을 활용한 공공서비스나 거버넌스 개선 사례들을 분석하고, 이러한 지능정보기술이 향후 미래의 공공영역에 미치는 영향, 특히 정부 운영 전반의 변화와 영향을 예측·전망하면서 그에 따른 주요 미래 정책 이슈들을 검토하였다. 특히, 국내외 정치(P), 경제(E), 사회(S), 기술(T), 법(L), 환경(E) 등 6개 영역(PESTLE)의 미래 환경 변화를 논의하고, 이러한 미래 환경 변화 예측에 따른 행정환경 변화와 공공수요를 전망하고, 미래 정부 패러다임과 정부혁신 방향성, 정책 어젠다를 도출하였다. 영역별 미래 공공정보화 어젠다를 도출하는 과정에서 도메인별 특수성이 적절하게 반영되고 또한 연구공유의 질을 높일 수 있도록 영역별 전문가들이 참여한 워크숍, 세미나, 중간발표회, 연구협력회의, 연구심의회, 전문가 AHP 조사 등을 실시하여 연구결과를 평가받고 연구의 질을 높였다.
9791170001638

지능정보사회의 공공정보화 패러다임 변화와 미래정책 연구 (기본연구 17-01)

이원태  | 정보통신정책연구원
10,000원  | 20171001  | 9791170001638
▶ 이 책은 정보통신정책연구원의 지능정보사회의 공공정보화 패러다임 변화와 미래정책 연구를 다룬 정부간행물입니다.
1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