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 네이버책
  • 알라딘
  • 교보문고
"천득염"(으)로 19개의 도서가 검색 되었습니다.
9788968497148

미얀마의 역사문화와 불탑

천득염  | 전남대학교출판문화원
25,380원  | 20200228  | 9788968497148
옛 이름이 버마였던 오늘의 미얀마, 즉 미얀마연방공화국은 어떤 나라인가? 미얀마에서 가장 흔하게 그리고 가장 많이 보는 것은 불탑이다. 사원 안에 불탑이 있다 하기 보다는 불탑자체가 사원이 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미얀마에서 불탑은 단순히 예불을 드리는 곳이 아니라 마을의 랜드마크이다. 동네에서 가장 크고 불탑을 중심으로 동서남북을 가로 지른다. 불탑은 부처 그 자체다. 저자는 20년 전쯤 ‘불탑의 발생과 의미, 전래와 변모양상’이라는 큰 주제를 설정하고 열심히 달려 왔다. 그 첫 번째 성과로 ‘인도불탑의 의미와 형식’(2014년)을 출간하였고 이어서 ‘동양의 진주, 스리랑카의 역사와 문화’(2017년)를 내 놓았고, 이를 다시 정리하여 2018년에는 ‘인도불탑의 형식과 전래양상’을 출간하였다. 이 책 ‘미얀마의 역사문화와 불탑’에 이어 다시 간다라와 신장 위그르지역의 불교유적에 대한 연구를 이어가려 한다. 전반부인 〈제1편 미얀마의 역사와 문화〉에서는 웃음 가득한 미얀마인들의 일상적 삶과 미얀마의 역사, 문화를 좀 평이하게 소개하고 후반부인 〈제2편 미얀마의 불탑〉에는 독특한 불교문화를 배경으로 한 미얀마의 불교사원과 불탑에 대한 관심을 집중하고자 하였다. 이 책을 통해 미얀마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고 아시아 문화 공동체가 공유하는 연대를 희망하며, 행여 있을 수 있는 정서적 간극을 좁힐 수 있는 장이 되기 바란다.
9788963812656

소쇄원

천득염  | 심미안
9,000원  | 20181217  | 9788963812656
▶ 소쇄원에 관한 내용을 담은 전문서적입니다.
9788963812540

인도불탑의 형식과 전래양상

천득염  | 심미안
22,500원  | 20180830  | 9788963812540
인도불탑의 형식과 아시아 지역 전래 양상을 다룬 시리즈의 결정판 출간 - 인도, 스리랑카, 미안마, 태국 지역의 불교사원과 불탑 망라 불교는 인류의 종교 가운데 인간의 삶에 가장 큰 영향을 끼친 종교 가운데 하나다. 기원전 5세기 경 인도에서 발생하여 가까운 나라 스리랑카로 전래되어 소승불교의 맥이 이어졌고, 우리나라는 372년 처음으로 불교를 공인하였으며, 일본에 불교문화를 전래시키기도 했다. 불교는 지금까지도 사상적, 문화적, 종교적 측면에서 우리 민족에게 많은 영향을 끼치고 있다. 한민족의 우수성을 보여 주는 숱한 불교문화유산가운데 불탑은, 부처의 진신사리를 봉안한 묘이자 부처가 열반하고서 남긴 정신세계를 건조물로서 대신한 것이다. 즉 불탑이 바로 부처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에서 불탑에 대한 기술적 내용은 『삼국사기』나 『삼국유사』와 같은 『마하밤사』 등에서나 찾아볼 수 있는 단순한 이야기에 불과했다. 저자인 천득염 교수는 2002년 교토대학 건축학과에서 연구년을 지내면서 ‘불탑의 발생과 전래 그리고 변모 양상’이라는 큰 주제를 선정한 이래로 지금까지 불탑의 의미와 형상, 양식상의 조영원리, 국가 간의 변모와 차이를 통해 불교문화유산의 원리와 보편성 및 특수성에 대해 연구해 왔다. 우리나라에서는 불탑의 형식적 유래에 대한 내용을 거의 찾아볼 수 없었기에 부처의 흔적을 좇아 수년간 티베트, 미얀마, 스리랑카, 네발, 라오스, 인도 등지의 나라를 직접 찾아갔다. 그렇게 지난 세월 동안 발로 뛰고 눈으로 본 연구들을 모아 한데 엮은 ‘불탑의 아시아 지역 전이양상’ 시리즈는 2013년 『인도불탑의 의미와 형식』을 시작으로, 『동양의 진주, 스리랑카의 역사와 문화』(2017)에 이어 이번에 마지막 권인 『인도불탑의 형식과 전래양상』(심미안 刊)으로 이어졌다. 이 책은 지난 2013년에 출간한 『인도불탑의 의미와 형식』에 더해 파키스탄, 스리랑카, 미얀마, 태국 등지의 불탑에 대한 연구를 새롭게 보완한 것이다. 인도 대륙 안에서 초기불탑이 어떻게 변모되어 갔는지 중점을 두고 살피면서 올해 초에는 파키스탄 간다라 지역을 돌아보며 중북부 지방에서 발생한 초기불탑의 모습이 간다라 지역에서 어떻게 변화하였는지에 대한 의문을 풀고자 노력하였다. 산치 이전의 탑이라는 전제 아래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불탑의 모습이라 할 수 있는 바르후트불탑 유구를 조사하고, 인도의 남동부 안드라 지역의 나가르주나콘다와 아마라바티에 대해서도 정성들여 살펴 산치 탑과 비슷한 시기의 낭동부 불탑의 모습에 대한 내용을 추가했다. 또한 저자는 미얀마의 불교전래 시기와 다양한 불탑 모양이 형성되어 있는 이유와 그 뿌리를 찾고자 미얀마를 네 번이나 답사하고, 미얀마와 가까운 태국의 불탑 연구를 위해 아유타야, 수코타이 등의 중북부 지역 또한 세 차례 답사하였다. 이러한 노력의 결실이 ‘제8장 스리랑카의 불탑 형식’, ‘제9장 미얀마 불탑의 기원과 형식 고찰’, ‘제10장 태국 불탑의 종류’로 엮어 새롭게 추가되었다. 오지를 답사하여 이를 정리하고 책으로 함께 엮는 데에는 김준오, 최정미, 허지혜, 염승훈, 곽유진, 김소영 연구원의 도움이 있기에 가능했다고 저자는 서두에서 밝히고 있다.
9788963812038

동양의 진주, 스리랑카의 역사와 문화

천득염  | 심미안
18,000원  | 20170227  | 9788963812038
스리랑카의 역사와 문화, 그 불교문화와 불탑! 불탑의 아시아 지역 전이양상 두 번째 권, 30여 년 연구의 결실, 다양한 컬러 사진과 함께 엮었다. 스리랑카의 자연환경과 역사, 불교전래와 남방 상좌부 불교, 이민족의 침입과 민족적 갈등, 다양한 문화와 볼거리, 전통문화유산, 불탑의 형식, 그리고 스리랑카의 주요 도시까지 연구서이지만 딱딱하지 않고 재미있으며 깊이까지 갖추었다.
9788963812045

소쇄원: 은일과 사유의 공간 (꾸민 듯 꾸미지 않은 한국의 전통민간원림, 소쇄원)

천득염  | 심미안
16,200원  | 20170227  | 9788963812045
한국의 전통민간원림, 소쇄원 우리는 왜 500여 년이 지난 지금도 소쇄원을 사랑하는가 소쇄(瀟灑)란 이름은 중국 남조시대 제나라 사람 공덕장이 쓴 「북산이문」에 처음 나오는 말로 ‘깨끗하고 시원하다’라는 뜻을 지니고 있다. 소쇄원의 이름을 풀어쓴다면 ‘물 맑고, 시원하며 깨끗한 원림’이 된다. 전남대학교 건축학부 교수이자 문화재위원인 천득염 교수가 “한국의 명원 소쇄원”(1999)이라는 이름으로 책을 낸 이후 16년 만에 증보판 『은일과 사유의 공간 소쇄원』(심미안 刊)을 출간했다. 저자는 1999년에 초판본을 발간하며 쓴 머리말에서 “학자들의 전공분야에 따라 자기 영역 쪽으로 다소 한정되었음을 지적할 수 있겠다. 따라서 필자의 전공분야가 아닌 부분은 공부하는 자세로 읽고 정리하였다. 부족한 부분도 당연히 발견될 것이다. 이는 나의 연구가 더욱 진행되면서 차후에 하나씩 보완할 것을 약속”하였다. 지난 16년간 저자는 소쇄원을 알리기 위해 소쇄원의 홈페이지를 만들어 자료를 올리고, 소쇄원에 대해 알고자 하는 사람들이 있으면 현장에서 직접 설명도 하였으며, 담양군에서 진행하는 문화재지킴이강좌에 나가 강의도 나가는 등 소쇄원을 지키고 알리기 위한 노력을 게을리 하지 않았다. 그리고 그 사이에 나온 여러 논문과 몇 권의 책들을 살피고 새로운 정보들을 접한 후 첫 출판에서 부족했던 ‘소쇄원을 중심으로 활동했던 인물, 소쇄원 담장 밖 공간, 소쇄원에 있던 수목, 소쇄원 30영’ 등에 대한 자료와 연구를 보완하였다. 초판과는 달리 모든 지면의 사진과 그림을 컬러로 보완하여 독자들이 소쇄원의 정취를 더욱 흥미롭게 느낄 수 있도록 하였다. 저자는 “이 책이 소쇄원을 알고자 하는 분들에게 기본 자료가 되고 한국의 누정과 원림에 대한 원리적 연구의 토대가 되기를 소망한다”고 출간의 소회를 밝혔다.
9788968492006

전남의 석탑

천득염  | 전남대학교출판부
22,500원  | 20150225  | 9788968492006
『전남의 석탑』은 전남ㆍ광주지역의 석탑을 총 망라하여 조사ㆍ연구한 개론서이다. 전남대학교 천득염 교수가 30여 년 간 수집한 자료와 현장답사를 통하여 전남ㆍ광주지역 석탑의 특성을 규명하고 현존하는 100여 기의 전남ㆍ광주지역의 석탑을 상세히 소개하였다. 아울러 석탑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서 사찰의 연혁뿐만 아니라 장엄조식이나 부장품에 관한 내용도 고찰하였다. 그간 한국의 탑에 대한 개론서가 여럿 발간되어 탑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도와줬지만, 전남지역에 있는 탑이 어떤 탑이고 무슨 의미를 가졌는가에 대해 설명해준 책은 없다. 이 책은 이런 궁금증을 해소시켜 주는 데에 일조하는 책으로, 석탑에 대해 한 발짝 더 알기 원하는 일반 대중과 좀 더 상세한 내용을 원하는 연구자들에게 충분한 도움을 줄 수 있는 책이라 할 수 있다.
9788963810935

인도 불탑의 의미와 형식

천득염  | 심미안
19,800원  | 20130220  | 9788963810935
『인도 불탑의 의미와 형식』은 불탑의 의미와 실체 및 형태를 유기적으로 이해하며, 종교적이고 인문적인 상황을 종합적으로 고찰한다. 불탑을 단순한 조형물이 아닌 정신적 가치와 종교적 열망을 내재하고 있는 이데아로 이해하고 접근한다. 또한 불탑에 관한 지역 간의 비교를 한정된 지역과 전공의 경계를 벗어나 학제적인 틀로 수행한다.
9788975989483

광주 건축사

천득염  | 전남대학교출판부
13,500원  | 20111028  | 9788975989483
『광주 건축사』는 2005년 이라는 책을 새롭게 꾸민 책으로, 광주지방에서 사람이 살기 시작한 고대사회에서부터 시작하여 목포항의 개항과 일제강점기를 거쳐 해방과 산업화, 그리고 현대화되어 가는 과정에 나타나는 광주지방의 건축에 대하여 그 출발과 발전으로 이어지는 과정을 살핀 책이다.
9788970869681

생태마을(CRYSTAL WATERS) (crystal waters)

천득염  | 기문당
9,500원  | 20090131  | 9788970869681
인간다운 생태지향적인 삶을 추구해온 일부 서구인들은 이미 생태마을, permaculture의 원리를 적용하는 공동체를 이루며 살고 있다. 본서에서 소개하는 Crystal Waters는 이러한 원리를 사용하여 계획된 세계최초의 생태마을이다.
9788949902722

남도 전통 주거론

천득염  | 경인문화사
10,800원  | 20040520  | 9788949902722
9788936902209

전탑

천득염  | 대원사
11,700원  | 20020530  | 9788936902209
벽돌을 한 장 한 장 쌓아 축조한 전탑은 사람들의 불심을 표현하기에 적당하다. 안동을 중심으로 삼국통일을 전후한 시기에 잠시 축조된 것으로 알려진 전탑은 당시의 벽돌 제조 기술이나 건축술의 발달 정도, 석탑과의 관련성 등을 유추해 볼 수 있어 불탑 연구에 중요한 자료가 된다. 현존하는 6기의 전탑과 전탑의 형식을 본뜬 모전석탑 15기의 상세한 소개가 ...
9788970864655

한국의 건축문화재 9(전남편) (전남편)

천득염  | 기문당
0원  | 20020531  | 9788970864655
9788975982095

백제계석탑 연구

천득염  | 전남대학교출판부
0원  | 20000310  | 9788975982095
9791193707289

간다라지역의 불교문화와 불탑

천득염, 자라와르 칸, 김인수  | 전남대학교출판문화원
28,500원  | 20250228  | 9791193707289
이 책에서는 약 100여년 전 서구 열강의 탐험가와 발굴자, 학자들에 의하여 이루어진 초기자료와 국내학자들의 연구성과, 그리고 필자가 수년간 3회에 걸쳐서 답사한 내용을 중심으로 고찰하고자 하였다. 먼저 이 책의 전반부에서 간다라 역사와 불교문화에 대하여 기본적인 내용을 이해 정리하고, 중반부에서 간다라지역에 현존하는 도시유적과 불교사원 그리고 불탑유적에 대하여 소개하였다. 마지막으로 후반부에서는 간다라지역 불탑에 대하여 중점적으로 지역적, 조형적 특성과 전래양상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9788936902360

선암사

이계표, 천득염  | 대원사
7,650원  | 20070830  | 9788936902360
선암사에 대한 지면유람집. 빛깔있는 책들 시리즈답게 풍부한 화보와 그에 대한 설명이 가득하다. 선암사 가는 길이 더 가깝게 느껴지게 만드는 책. 둘러보기 전에 미리 둘러보아야 할 것 같다.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