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 네이버책
  • 알라딘
  • 교보문고
"키워드 한국문화"(으)로 20개의 도서가 검색 되었습니다.
9788954609982

키워드 한국문화 세트

박철상, 안대회, 정병설, 김문식, 서신혜  | 문학동네
42,840원  | 20100201  | 9788954609982
'키워드 한국문화' 세트 2시간 분량의 인문학 강의를 책으로 실은 '키워드 한국문화' 시리즈의 세트이다. 총 5권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선조들이 남긴 작품을 통해 한국문화의 실체를 조망한다. 인문학 분야에서 뛰어난 연구 성과를 내보인 5명의 저자가 자신의 전공 분야에서 연구한 업적을 바탕으로 한국문화의 정체성을 파헤친다. 딱딱한 인문학이 아닌, 다양한 시각 자료를 이용하여 생생하고 재밌게 구성했다. 독자들은 '키워드 한국문화'를 읽음으로써 한국사와 한국문화에 대한 식견을 넓힐 수 있을 것이다.
9791162446942

키워드로 보는 한국 문화 15강

유필재, 김선주, 마소연, 진가리  | 역락
10,800원  | 20210225  | 9791162446942
다른 나라의 언어를 배우는 일은 쉽지 않은 일이다. 다른 나라의 문화까지 이해하는 일은 더더욱 어렵게 느껴진다. 그렇다고 해서 문화를 등한시하고 언어만 배울 수는 없는 일이다. 문화는 한 나라의 언어와 직접적으로 연결되었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서 한 나라의 언어를 배우는 일은 그 나라의 문화를 배우는 일이다. 이를 위해 이 책은 한국의 자연 환경에서부터 한국의 역사, 사회 등에 이르기까지 한국의 과거와 현대를 이해하기 위한 내용으로 구성했다. 이 책은 초급, 중급 수준의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는 교재로 개발되었다. 한국 문화를 통해 한국을 배우고 한국어를 익힐 수 있도록 구성했다. 또한 회화와 사진을 함께 배치함으로써 한국 문화에 대한 이해를 높이도록 배려하였다.
9791156861461

키워드로 보는 한국 문화 16강

유필재, 김선주, 마소연, 진가리  | 역락
7,100원  | 20150213  | 9791156861461
자연환경에서부터 한국의 역사, 사회 등에 이르기까지 한국의 과거와 현대 문화가 그 나라의 언어와 직접적으로 연결되었다는 점을 감안하면 한국 문화는 중요하게 다뤄져야 할 부분이다. 하지만 교과 과정이 문법이나 회화 위주로 진행되면서 문화 교육이 등한시되고 있는 측면도 없지 않다. 우리는 이 부분에 포착해서 문화를 통한 한국어 교육 교재를 만들어 보기로 했다. 중국 유학생들을 대상으로 회화, 강독, 쓰기 등 다양한 활동을 통해 능동적인 문화 교육을 지향하고자 한다. 이 책은 초급, 중급, 고급 수준의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는 교재로 개발되었다. 한국 문화를 통해 한국을 배우고 한국어를 익힐 수 있도록 구성되었다. 회화와 사진을 함께 배치함으로써 한국 문화에 대한 이해를 높이도록 배려하였다. 또한 퀴즈와 작문을 통해 한국어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9788965451334

일곱 개의 단어로 만든 비평 (7개의 키워드로 들여다본 한국 문학과 문화)

해석과 판단 비평공동체, 고은미, 김필남, 박정민, 박형준  | 산지니
18,000원  | 20101230  | 9788965451334
『일곱 개의 단어로 만든 비평』은 한국문학과 문화의 동시대성에 응답하는 주제로 구성되어 있다.. ‘디지털영화, 스포츠영화, 젠더, 지역, 놀이시, 칙릿, 현대시조’라는 ‘일곱 개의 키워드’는 현장의 ‘날 것 그대로’의 목소리를 듣기 위해 도출된 구심점이다. 이 7가지 키워드는 크게 문학과 문화로 나눌 수 있으나 좀 더 자유롭고 다양한 사유를 펼칠 수 있도록 문학과 문화라는 거대담론에서 벗어나 미시적 접근방법을 택하고 있다.
9788989420491

29개의 키워드로 읽는 한국문화의 지형도

김기봉  | 한국출판마케팅연구소
14,400원  | 20070730  | 9788989420491
29개의 문화현상이 어우러진 '살아 숨쉬는 실시간 한국 문화'의 지도! 〈해리포터〉 한 권의 수익이나 한류붐의 대명사인 가수 비나 보아의 연수입이 대기업이나 중소기업의 한 해 매출을 능가하는 것을 알고 있는가? 최근 문화상품 하나가 창출하는 부가가치가 다른 산업에 부럽지 않을 정도가 되었다. 이제 문화도 국가경쟁력이다. 앞으로 한국 문화의 지형도를 살펴보는 것은 미래 경쟁력을 미리 점쳐보는 계기가 될 것이다. 『29개의 키워드로 읽는 한국문화의 지형도』는 우리 문화의 분야별 대표 키워드 29개를 중심으로 한국 문화의 오늘과 내일을 살피며, 10년 후 한국 문화의 지형도를 그려본다. '비언어 퍼포먼스, 미술품 쇼핑, 인터넷만화, 드라마, 저작권' 등 문화 각 영역의 변화와 생활상 변화에 초점을 맞추어 선정한 키워드를 통해 한국문화의 지도를 그린다. 여기에는 최근 우리 사회를 상징하는 새로운 키워드로 등장한 '익스트림 스포츠, 1인 미디어, UCC, 미디어 컨버전스' 등의 키워드가 포함되어 있으며, '양성평등문화, 행복산업, 외국어 권력' 등 사회적인 배경과 연결된 키워드들도 포함되어 있다. 분야별 전문가들은 키워드로 상징되는 문화적 흐름에 대해 독창적이면서도 깊이 있는 분석을 시도하였다.
9788992214759

대중문화 사전 (300개의 키워드로 읽는 한국 대중문화 20년)

김기란, 최기호  | 현실문화연구
13,500원  | 20090831  | 9788992214759
『대중문화 사전』. 오렌지족에서 88만원세대까지, 300개의 키워드를 통해 한국사회와 대중문화의 지형도를 읽는다. 다양한 생생한 자료를 수집하고 조사해 이루어진 책으로 우리나라 대중문화사전의 초적이 될 것이다.
9791167426345

한류 관광 (키워드 ’일본’을 통해 본)

하야시 요코  | 역락
10,800원  | 20240425  | 9791167426345
일본 영화, 음악, 만화, 애니메이션 등 일본의 대중문화가 1998년부터 2004년에 걸쳐 4단계로 해금이 되어 한국에서는 ‘일류日流’ 붐이 일어났다. 한편 김대중 정권에서 영화, 드라마, 음악 등의 문화산업 육성, 수출 등을 추진하는 문화산업 진흥 전략에 따라 일본에서도 한국의 대중문화가 유입되었고, 양국 간의 왕래가 활발해짐에 따라 자연스럽게 ‘한류 韓流’ 붐이 시작되었다. 한국과 일본은 2002년 축구 월드컵을 공동으로 개최하였고, 2002년을 〈한일 국민 교류의 해〉로 정하여 다양한 분야에서의 문화사업을 함께 기획하고 진행하였다. 더불어 ‘일류’, ‘한류’ 붐과 같은 국민 차원에서의 쌍방향 문화교류가 일어났고 이는 나아가 한일 관광 교류가 급속하게 확대되는 계기가 되었다. 일본은 세계대전과 미소냉전을 지나며 이념적 시각보다는 문화적 감성을 가진 신세대가 등장하게 되었고 이러한 세대적 감각을 반영한 것이 드라마 〈질투〉의 인기이다. 한국 드라마 〈질투〉와 〈느낌〉이 일본에 수출된 배경에는 일본의 버블붕괴가 있다. 일본의 버블붕괴로 인한 경제적 악화는 일본 내 콘텐츠 투자를 축소하였고, 한국 콘텐츠를 수급하며 1차 한류 붐인 한국 드라마가 들어오게 되었다. 이러한 역사적, 경제적 배경이 맞물려 일본에서의 한류 붐이 발생하였다. 일본의 제2차 한류 붐은 드라마에서 대중가요로 관심이 자연스럽게 넘어오며 시작되었다. 김연자와 조용필 같은 한국의 유명 가수들이 80년대부터 일본시장에서 인기를 얻으며 방송과 콘서트를 섭렵하며 한국 가요에 명성을 쌓았다. 한국보다 일본 음반 시장이 훨씬 활발하고 국제사회에 영향력이 컸던 탓에 윤하처럼 일본시장에서 데뷔를 하거나 일본 타켓 음반을 따로 발매하여 활동을 하던 보아와 같은 한국 가수들도 있었다. 한류 2차 붐은 드라마의 인기도 대단하지만 K-POP의 인기가 주류를 이룬다. 카라, 소녀시대, 동방신기 빅뱅 등이 인기가 높았다. 중장년층 여성 팬이 제1차 한류붐의 중심이었다면, 2차 붐은 젊은 여성을 중심으로 시작하여 성별과 연령을 불문하고 팬덤을 넓혀갔다. 2010년경에는 5인조 여성 아이돌 그룹 KARA와 9인조 여성 아이돌 그룹 소녀시대를 응원하는 젊은 여성들을 기반으로 한 K-POP 팬 중심의 제2차 한류 붐이 일본에서 일어났다. 1998년 10월 8일 당시 김대중 대통령과 게이조 총리가 도쿄에서 ‘21세기 새로운 한일 파트너십 공동선언’을 하였다. 그로부터 20년이 지난 2018년 10월 9일 아베 신조 전 총리는 도쿄에서 열린 ‘21세기 새로운 한일 파트너십 공동선언 20주년 기념 심포지엄 축사에서 ’지난해 한일 간 왕래는 900만 명을 넘었고 올해는 1000만 명을 내다보고 있다. 일본에서 치즈 닭갈비가 유행하고 케이팝 인기가 높아지는 등 제3의 한류 붐이 일고 있다‘고 언급했다. 일본에서 한국을 방문하는 관광객 수는 평창 올림픽 이후에 증가 경향을 보였는데 그 요인 중 하나가 10대~20대 여성을 중심으로 한 제3차 한류 붐에 있다. 3차 한류 붐의 가장 큰 특징으로는 연령층이 굉장히 낮아졌다는 점을 들 수 있다. 그 중심에 있었던 것이 TWICE와 BTS다. 제1차, 2차 한류 붐과의 차이점은 1, 2차 한류 붐은 텔레비전이나 드라마, 잡지 등을 통해 한류가 전파되었다면 제3차 한류 붐은 화장품이나 음식 등이 SNS를 타고 화제가 되었다는 점이다. 일본의 한류 흐름은 겨울연가를 기점으로 1차 한류, 동방신기, 카라, 소녀시대를 중심으로 한 아이돌 문화로 2차 한류 붐, 트와이스, BTS, 엑소를 선두로 한 3차 한류 붐, 그리고 사랑의 불시착과 이태원 클라쓰로 4차 한류 붐의 시대가 열렸다. 넷플릭스라는 OTT 서비스를 통해 전 세계에서 한국 드라마를 접하기 용이해지면서 JTBC 이태원 클라쓰, tvN 사랑의 불시착과 같이 종합편성채널의 드라마가 일본 팬들에게 인기를 얻었다. 이 책을 쓰면서 한류 관광에 대해 일본인의 시각으로 쓰는 일이 필자가 할 수 있는 최선이라 생각하여 ‘일본인의 눈’을 통해 한국사람들과 조금 다른 시선으로 집필하기로 마음을 먹었다. 사실 정치적이거나 사상적인, 어떤 의도가 숨어 있는 주장은 한일관계 발전을 방해하고, 이와 관련된 사람들의 마음에 상처를 주는 경우가 많다. 그래서 이 책에서는 어떤 사고의 흐름을 따라 집필하기 보다는 가능한 실제 현상이나 사례 묘사를 중심으로 하였고, 대학 강단에서 학생들을 가르치며 경험한 내용이나 개인적인 경험담을 섞어 독자들이 함께 생각의 폭을 넓힐 수 있는 기초 교재와 같은 책이 되기를 바랐다.
9788959062522

우리도 몰랐던 우리 문화 (우리와 우리 문화를 이해하는 키워드)

강준만  | 인물과사상사
12,600원  | 20140307  | 9788959062522
이 책은 2013년 3월 출간된 『우리가 몰랐던 세계 문화: 세계와 한국을 이해하는 24가지 물음』과 마찬가지로 강준만의 수업을 들은 학생들과의 공동 작업이다. 『우리가 몰랐던 세계 문화』에서 문화에 대한 감수성이 가장 발달한 20대와 함께 문화 간 커뮤니케이션 연구의 생활화를 시도했다면, 이 책은 한국학 연구의 생활화를 시도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행여 20대의 학부생들과의 공동 작업이라고 해서 낮춰보아서는 안 된다. 사실, 미시사 연구는 자료와의 싸움이자 적잖은 끈기와 인내력이 필요하다. 적잖은 시간과 공을 들여야 한다는 것이다.
9791186578872

식기는 요리의 기모노 (키워드로 읽는 일본 문화 3)

한국일어일문학회  | 글로세움
12,600원  | 20210331  | 9791186578872
『식기는 요리의 기모노』는 〈계획이 다 있던 쓰라유키 가나 혁명의 시작〉, 〈에도시대에 태어난 로봇 ‘가라쿠리’〉, 〈에도시대 전염병과 요괴〉, 〈세쓰분의 에호마키 이야기-편의점 상품에서 국민적 문화로〉등을 수록하고 있는 책이다.
9788991010017

게다도 짝이 있다 (키워드로 읽는 일본문화 1 전통문화)

한국일어일문학회  | 글로세움
12,600원  | 20210325  | 9788991010017
한국일어일문학회 회원 238명이 일본을 이해하는 데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474개의 테마에 대해 일반 독자를 대상으로 알기 쉽게 집필한 〈일본문화총서〉시리즈 9권 중 문화1 전통문화편. 이 총서 시리즈는 단순한 흥미위주나 단편적 지식을 넘어, 일본에 대한 깊이 있고 균형 잡힌 시각을 바탕으로 핵심적인 내용을 담는다는 목적에서 집필되었다. 고도지식사회에 걸맞게 새로운 각도에서 일본을 재조명하고 올바른 일본문화를 이해하기 위한 체계적이고 포괄적인 기술이 필요하다는 요청에 의해 이 책을 기획하게 되었다. 일본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고, 일본문화를 올바르게 소개함으로써 제대로 일본을 알리자는 시도에서 의미 깊은 작업이라 하겠다. 전체의 구성은 문화 3권, 문학 3권, 어학 3권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분야에 대해 고대와 현대역사라는 시간 축에 의해 내용을 분류하였다.
9788979868890

동과 서 마주보다 (동서양 문화를 읽는 열 가지 키워드)

한국서양문화교류연구회  | 성균관대학교출판부
0원  | 20111130  | 9788979868890
성균관대학교 동아시아학술원의 「동아시아학술원총서」 제10권 『동과 서 마주보다』. 1년간 '한국서양문화교류연구회'의 연구자들이 함께 논의하며 토론한 열정을 엮은 것이다. 교양부터 트렌드까지 열 가지 키워드를 통해 동서양 문화를 읽어나가고 있다. '세계 속의 한국'이 아닌 '한국 속의 세계'를 적극적으로 연구해나가야 할 시각의 전환기의 기초가 되어준다.
9791190340304

디자인 코리아 (50가지 키워드로 본 한국 디자인 진흥 50년사)

한국디자인진흥원  | 디자인하우스
17,100원  | 20200619  | 9791190340304
‘포장’에서 ‘포용’까지 한국 디자인산업의 흐름을 한 눈에 볼 수 있는 한국 디자인 진흥사, 지금까지 이런 디자인 책은 없었다! ‘디자인 코리아’는 정부정책과 디자인산업이 서로 연관되어 변화, 발전되어 온 여정을 총정리한 책이다. 국가주도의 계획적 산업발전으로 극적 성장을 성취해 낸 우리나라는 디자인산업의 지형을 이해함에 있어서도 디자인 관련 정부정책의 변화상을 파악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그런 점에서 한국디자인진흥원이 정부 주도의 디자인산업 육성 정책을 추진한 지 50년이 된 2020년을 기념해 제작된 이 책은 큰 의미를 갖는다. 1970년 1인당 국민소득은 250달러에 불과했지만 50년이 지난 지금은 GDP 세계 10위를 기록하며 원조를 받던 나라에서 이제는 다른 나라를 원조하는 경제 국가가 되었다. 한국 디자인 역시 이러한 경제, 사회변화의 흐름과 함께 지난 반세기 동안 포장 및 외관 등 심미성이 중심이던 디자인은 이제 포용국가를 실현하는 전략이자 기술과 융합하여 신산업을 창출하고 사회문제를 해결하는 등 국가산업의 성장동력으로서 혁신을 주도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디자인 코리아는 지난 50년의 디자인 진흥사를 포함하여 한국디자인진흥원 창립 이전부터 오늘날까지의 파란만장한 한국 디자인사를 담고 있다.
9788974562779

종교는 없다 (50가지 키워드로 본 한국 종교)

권오문  | 문이당
11,700원  | 20050625  | 9788974562779
『종교는 없다』는 오랫동안 종교 전문기자로 활동해온 저자가 분쟁과 전쟁으로 치달은 종교계의 분열과 종교 지도자들의 잘못된 신앙 행태 등 오늘날 종교가 안고 있는 문제점들을 50가지 키워드로 정리한 것이다. 먼저, 저자는 종교가 오늘날 자기의 역할을 제대로 하지 못하고 있다는 진단에서 출발한다. 교권주의와 성직 세습, 고질적인 파벌 싸움, 성장 만능주의와 물신주의 팽배, 일부 목회자의 자질 논란 등 교회가 앓고 있는 성장통은 종교 지도자들이 구도자의 역할을 제대로 못하고 있는 현실을 보여준다. 게다가 자신의 종...
9788991010024

스모 남편과 벤토 부인 (키워드로 읽는 일본문화 2 현대문화)

한국일어일문학회  | 글로세움
12,600원  | 20031212  | 9788991010024
한국일어일문학회 회원 238명이 일본을 이해하는 데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474개의 테마에 대해 일반 독자를 대상으로 알기 쉽게 집필한 <일본문화총서> 9권 중 문화2 현대문화편. 이 총서 시리즈는 단순한 흥미위주나 단편적 지식을 넘어, 일본에 대한 깊이 있고 균형 잡힌 시각을 바탕으로 핵심적인 내용을 담는다는 목적에서 집필되었다. 고도지식사회에 걸맞게 새로운 각도에서 일본을 재조명하고 올바른 일본문화를 이해하기 위한 체계적이고 포괄적인 기술이 필요하다는 요청에 의해 이 책을 기획하게 되었다. 일본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고, 일본문화를 올바르게 소개함으로써 제대로 일본을 알리자는 시도에서 의미 깊은 작업이라 하겠다. 전체의 구성은 문화 3권, 문학 3권, 어학 3권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분야에 대해 고대와 현대역사라는 시간 축에 의해 내용을 분류하였다.
9791168019959

한국사회의 다문화현상 이해 (7가지 키워드, 시기별로 이해하는)

권오경, 황미혜, 김승홍, 김남희, 김혜빈  | 한국학술정보
17,100원  | 20230217  | 9791168019959
한국 다문화현상의 총체적 이해: 구성원, 역사, 가족, 정책, 밀집지역, 교육, 법제 - 2022년 기준 현재 한국사회 외국인 체류 인구는 약 220만 명으로 전체 인구의 4% 정도에 달하며,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외국인 주민들의 증가에 따른 다양한 사회현상 역시 더 이상 낯선 현실이 아니다. 결혼이민자의 사회 적응 문제, 자녀들의 학교생활 문제, 외국인근로자들의 사회 문제 등 예전에 볼 수 없었던 많은 사회 현상을 쉽게 찾을 수 있다. 하지만 이런 변화는 언제, 어떻게, 어떤 형태로 일어났고, 또 일어나고 있는가?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