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동과 서, 마주보다

동과 서, 마주보다

(동서양 문화를 읽는 열 가지 키워드)

한국서양문화교류연구회 (엮은이)
성균관대학교출판부
16,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5개 6,0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동과 서, 마주보다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동과 서, 마주보다 (동서양 문화를 읽는 열 가지 키워드)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인문계열 > 인문학 일반
· ISBN : 9788979868890
· 쪽수 : 296쪽
· 출판일 : 2011-11-30

책 소개

성균관대학교 동아시아학술원에서 꾸준히 기획하여 펴내고 있는 동아시아학술원총서의 열 번째 책. 문화교류의 의미를 탐구하는 열 명의 연구자들이 ‘동과 서’의 문화를 ‘객관적인’ 포즈로 마주보게 한 뒤 비교하고 대비시킨 결과의 보고서다. 각각 ‘교양’ ‘몸’ ‘양가성’ ‘환상성’ ‘소통’ ‘성상’ ‘연희’ ‘소유’ ‘활자’ ‘트렌드’라는 열 개의 관측점에서 그 흥미로운 대면의 얼개를 짠다.

목차

머리말_‘동과 서, 학문의 변신’_홍덕선
여는 글_‘학문, 우리 것만이 아닌, 우리 것부터_정수일

첫 번째 키워드 ‘교양culture’__한국의 교양과 서구화 | 김연순
두 번째 키워드 ‘몸body’__동서양, 몸의 사유 : 스토아와 동양의학 | 박규현
세 번째 키워드 ‘양가성ambivalence’__죽거나 죽지 않거나 : 불가사리 전설을 통해 본 괴물(성)의 양가적
의미와 한국적 정서 | 박정만
네 번째 키워드 ‘환상성fantasy’__판타지, 다양한 문화의 소통 공간 | 안상원
다섯 번째 키워드 ‘소통communication’__숨겨진 말들, 문화를 놓치다 : 동ㆍ서양 문화 간 커뮤니케이션 갈등
유형에 대한 구조적 탐색 | 이노미
여섯 번째 키워드 ‘성상icon’__이콘과 부적, 성스러움과 상징의 문법들 | 이규영
일곱 번째 키워드 ‘연희play’__동제洞祭와 카니발 속 ‘나’와 ‘집단’| 김화임
여덟 번째 키워드 ‘소유possession’__‘먹다’와 ‘소유하다’의 문화적 맥락 | 김기일
아홉 번째 키워드 ‘활자type’__금속활자의 발명, 문화의 전파 | 신종락
열 번째 키워드 ‘트렌드trend’__한류, 새로운 대중문화 | 정혜선


집필진 소개

저자소개

한국서양문화교류연구회 (엮은이)    정보 더보기
홍덕선__성균관대학교 문과대학장 정수일__(사)한국문명교류연구소장 01__김연순 독일 베를린자유대학에서 독문학 전공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성균관대학교 하이브리드미래문화연구소 수석연구원으로 재직 중이다. 주요 논문으로는 「혼성적 실재의 원리적 고찰로서 혼성화의 자기조직화」 「통섭의 인문학으로서 문화학」 등이 있고, 주요 저서로는 『기계인간에서 사이버휴먼으로』 『하이브리드컬처』(공저) 등이 있으며, 옮긴 책으로는 『문화학의 이해』가 있다. 02__박규현 프랑스 파리8대학에서 불문학 전공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경희대학교 아프리카연구소 책임연구원으로 재직 중이다. 주요 논문으로는 「모리스 블랑쇼에게 있어서 광기의 글쓰기」 「재난의 경험으로서의 글쓰기」 「비-현전으로서의 책의 문제」 등이 있고, 옮긴 책으로는 『모리스 블랑쇼에 대하여』 『연애, 그 유혹과 욕망의 사회사』 『노년의 역사』(공역) 등이 있다. 03__박정만 미국 일리노이대학에서 연극사·현대 미국드라마 전공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성균관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연구원으로 재직 중이다. 주요 논문으로는 「엘리자베스 시대의 세계관과 그 디오라마: 지구 극장의 ‘천국’ 12궁도」 「제임스 헌의 ‘진실을 위한 예술’론과 휴머니즘: Margaret Fleming에서의 사회적 혼혈 이슈와 여성 문제」 「Reconsidering ‘A New Mark’ in American Drama: William Vaughan Moody’s The Great Divide」 「Mule Bone Kills the Turkey: Hurston and Hughes’s Artistic Contention on Black Fold Comedy」 「Remapping the Korean Theatre Tradition: A Case Study of Gwolhui, a Theatre of the Confucian Students in the Chosun Dynasty」(A&HCI 등재지 수록) 등이 있다. 04__안상원 성균관대학교 대학원에서 독문학·독일시 전공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성균관대학교 하이브리드미래문화연구소 책임연구원으로 재직 중이다. 주요 논문으로는 「책 미디어의 발전과 독서문화의 변화」 「성스러운 밤의 표상」 「종교적 상징과 예술사물」 등이 있고, 주요 저서로는 『시티컬처노믹스』 (공저) 『하이브리드컬처』 (공저) 등이 있으며, 옮긴 책으로는 『어떻게 이해할까, 로코코』 『어떻게 이해할까? 로마네스크』 등이 있다. 05__이노미 성균관대학교 대학원에서 비교문화학 전공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성균관대학교 비교문화연구소 선임연구원으로 재직 중이다. 주요 논문으로는 「비교문화연구의 이론과 실제」 「한?일 가치관을 통해본 문화 간 커뮤니케이션 갈등양상」 「비교문화적 관점에서 본 조선과 서구의 문화 간 커뮤니케이션」 「외국인 텍스트에 나타난 서울의 도시표상에 관한 연구」 「손짓언어에 관한 문화 간 커뮤니케이션 인지능력 평가연구」 등이 있고, 주요 저서로는 『손짓, 그 상식을 뒤엎는 이야기』 『말하는 문화』 『시티 컬처노믹스』(공저) 『동아시아의 문화표상』(공저) 『헬로 호주』 『헬로 중국』 등이 있다. 06__이규영 러시아 인문과학대학에서 종교문화 전공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성균관대학교 인문학연구소 연구원으로 재직 중이다. 주요 논문으로는 「러시아 종교문화의 신비주의 양상 속에 나타난 합일에 대한 이상」 「기독교 수용에서 17세기까지 러시아 종교문화의 금욕주의 형상 연구」 「종교예술로서 이콘의 미학성 연구: 숭고미(I. Kant)를 중심으로」 등이 있다. 07__김화임 독일 베를린자유대학에서 독문학 전공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성균관대학교 하이브리드미래문화연구소 책임연구원으로 재직 중이다. 주요 논문으로는 「문화경영의 대상영역에 관한 소고」 「독일 공공극장 운영의 향방-경영과 마케팅의 도입」「베를린 민중극장에서의 예술적, 세계관적 논쟁」 「제2차 세계대전 이후 독일의 문화개념과 문화정책」「문화경영의 문화학적 전환」 등이 있고, 주요 저서로는 『독일문화와 예술(상)』(공저) 『하이브리드 컬처』(공저)가 있으며, 옮긴 책으로는 『컬처 매니지먼트』 『식인종들』 『서푼짜리 오페라』 등이 있다. 08__김기일 성균관대학교 대학원에서 프랑스 현대연극 전공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성균관대학교 발레리연구소 책임연구원으로 재직 중이다. 주요 논문으로는 「몰리에르의 ‘거짓 신앙가’에 나타난 극중극을 통해본 인물 연구」 「연극과 이미지의 소통」 등이 있고, 주요 저서로는 『알자스 문화예술』(공저) 등이 있다. 09__신종락 독일 카셀대학에서 문학과 미디어 전공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출판유통진흥원 연구원을 지냈으며, 성균관대·중앙대·경원대 등에서 문학·문화·미디어·영화·출판·저작권·콘텐츠 기획론 등을 강의하고 있다. 주요 논문으로는 「독일나치 망명시기의 출판상황과 망명출판사」 「독일 출판산업의 동향과 전망」 「Das Drama Sauspiel von Martin Walser und die Gesellschaft der 60er und 70er Jahre」 「지식인의 문학적인 삶과 출판가로서의 작가」 등 다수의 글들이 있고, 주요 저서로는 『Selbstverlag im literarischen Leben des Exils in den Jahren 1933-1945』 『해외서점과 출판』 『한국과 독일의 출판문화산업』 『독일의 문학과 출판』 등이 있다. 10__정혜선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에서 역사학 전공으로 박사학위를 받고, 도쿄대학교 문학부에서 박사후과정을 밟았다. 현재 성균관대 인문과학연구소 수석연구원으로 재직 중이며, 성균관대·연세대 등에서 일본사·동아시아 역사와 문화·세계사 등을 강의하고 있다. 주요 논문으로는 「전쟁시기 일본 사법관료의 전향인식과 천황제신앙」 「한일사상과 문화, 그리고 21세기 한국 문화도시-신명, 평화, 자연스러움」 등이 있고, 주요 저서로는 『한국인의 일본사』 『일본공산주의운동과 천황제』 『일본사 다이제스트100』 『시티컬처노믹스』(공저) 등이 있으며, 옮긴 책으로는 『세계지도로 역사를 읽는다』 등이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이제 우리는 의무감에 휩싸여 서양 인문학을 연구하는 대신, 우리 것에 눈을 돌려 이를 새롭게 조망해야할 시점에 도달했다. 지금껏 의무적으로 연구했던 서양 인문학, 그리고 그와 더불어 썼던 원고들은 소중한 참고자료 또는 비교자료로서의 가치를 여전히 발휘하고 있다. 이제 우리의 인문학, 그와 더불어 내 흥미와 자유 속에서 써내는 원고들이 참 빛을 발휘할 때이다.
|머리말_홍덕선(성균관대학교 문과대학장), ‘동과 서, 학문의 변신’ 중에서 ■


외국학문을 연구하는 사람들이라도 우리 것에서부터 출발하는 일과 우리 것과 연구를 병행하는 일이 불가피하다고 봅니다. 왜냐하면 외국학문을 연마하신 분들도 학문의 기본 이론을 이해하거나 파악하는 데 있어서 적어도 우리 것에서부터 시작했을 것이라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그러한 분들이 우리 학생들에게 외국학문을 전달할 때, 과연 우리 것들에서 떠날 수 있겠는가 생각해 봅시다. 그들은 우리 언어로 사고하고, 우리 언어로 발표하죠. 지식이라는 것은 수평적으로 그리고 공시적으로 확대됩니다. 어느 학문도 고립되지 않으며, 결국에는 세계적 측면으로 확대됩니다.
|여는 글_정수일 (사)한국문명교류연구소장, ‘학문, 우리 것만이 아닌, 우리 것부터’ 중에서 ■


문제는 서양 문화의 수용 자체에 있는 것이 아니라 그 중심에 수용자의 주체성과 주체적인 문화 내용이 결여되어 있다는 것이다. 근대화 과정에서 식민지적 시대 상황과 서양 문화의 유입으로 중심을 잃고 흔들렸던 한국 교양은 오늘날 세계화라는 급물살에 휩쓸리면서 다시 위기를 맞고 있다. 한국의 교양은 한국의 전통문화보다 서양의 시민전통에 더 친화력을 갖고 있다는 착각을 일으킬 정도다. 1세기 전 이육사가 언급했듯이 “서양과 동양사상을 애써 구별하려고 해보아도 지금의 우리 머릿속에 순수한 동양적이란 것이 있을 수 없다는 것을 여기서 별 말할 필요조차” 없게 된 것이다.
|본문 38쪽 ‘한국의 교양과 서구화’ 중에서 ■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