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
제목
저자
외국
ISBN
목차
출판
x
BOOK
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베스트셀러
알라딘
교보문고
Yes24
신간도서
알라딘
교보문고
Yes24
국내도서
가정/요리/뷰티
건강/취미/레저
경제경영
고등학교참고서
고전
과학
달력/기타
대학교재/전문서적
만화
사회과학
소설/시/희곡
수험서/자격증
어린이
에세이
여행
역사
예술/대중문화
외국어
유아
인문학
자기계발
잡지
전집/중고전집
종교/역학
좋은부모
중학교참고서
청소년
초등학교참고서
컴퓨터/모바일
외국도서
가정/원예/인테리어
가족/관계
건강/스포츠
건축/디자인
게임/토이
경제경영
공예/취미/수집
교육/자료
기술공학
기타 언어권 도서
달력/다이어리/연감
대학교재
독일 도서
만화
법률
소설/시/희곡
수험서
스페인 도서
어린이
언어학
에세이
여행
역사
예술/대중문화
오디오북
요리
유머
의학
인문/사회
일본 도서
자기계발
자연과학
전기/자서전
종교/명상/점술
중국 도서
청소년
컴퓨터
한국관련도서
해외잡지
ELT/어학/사전
내책판매
인기 검색어
일간
|
주간
|
월간
1
( ,-) 단자
2
ecology
3
cosmos
4
김동식
5
3권 1
실시간 검색어
한국불교미술사
스크립차트걸스.co.kr
즐거운 일기
충청대vs아세아항공
전주금명여자중학교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알라딘,
영풍문고,
교보문고
"한국불교미술사"
(으)로 7개의 도서가 검색 되었습니다.
한국불교미술사
김리나 | 미진사
198,000원 | 20110225 | 9788940803974
『한국불교미술사』는 동아시아 불교 미술의 발달 과정에서 파생되어 새로운 전통을 세우면서 발전한 한국의 불교 미술에 대해 일목요연하게 정리한 개설서이다. 한국의 불교 미술이 어떻게 시작되었고 시대에 따라 어떠한 내용과 특징을 보이며 발달하였는지를 조각, 회화, 공예 부분으로 나누어 구체적으로 서술하고 있다. 더불어 다양한 종류의 불교 미술을 이해하기 위하여 기본적으로 알아두어야 하는 여러 종류의 도상들이 어떠한 종교적인 상징성과 의미를 지니는지도 부연 설명하였다.
가격비교
대흥천사 불교미술 (600년 왕실원찰)
문명대 | 한국미술사연구소
27,000원 | 20231011 | 9791185912325
흥천사의 역사와 사상(4편), 흥천사의 불교조각(6편), 흥천사의 불교회화(8편), 흥천사의 불교공예(6편), 흥천사의 불교건축(4편) 등 5개 분야, 총 논문수 28편이나 되는 방대한 양에 이른다. 한 사찰의 불교미술을 분야별로 나누어 5년간에 걸쳐 학술대회를 개최하고 이를 모두 집성하여 방대한 논문집을 출간한 예는 지금까지 한 번도 없었던 한국 초유의 일이다.
가격비교
한국 불교 장인 인명사전 (삼국시대 조선전기)
최선일 | 양사재
25,200원 | 20180705 | 9791185229058
필자가 불교미술품을 만든 작가들에 관심을 가진 것은 인간 중심의 미술사를 하겠다는 작은 소망에서 시작된 것이다. 1990년대 이전 불교미술사 연구에서 불상과 불화의 미적 아름다움을 이야기하면서 어떤 작가가 어떻게 작품을 만들었는지 관심이 없었다. 이는 영세한 문헌 기록 밖에 없는 현실에서 작가를 밝혀낼 수 없었기 때문일 것이다. 그러나 은사인 안귀숙 선생님의 불화승 의겸과 주종장 사인에 관한 논문을 읽으면서 불교조각에서도 작가를 찾을 수 있다는 판단 아래 관련 기록을 찾다보니 조각승 색난에 관한 논문을 발표하였다. 그러면서 문화재 지정 조사 등에 필요한 자료를 정리하다보니 많은 장인들의 단편적인 활동이지만 밝혀내게 되었고, 그것을 바탕으로 조선후기에 활동한 조각승, 불화승, 주종장, 도편수, 석수, 와장, 각수 등을 정리하여 『조선후기불교미술장인인명사전』(총 4권)을 8년 전에 발간했다. 그 후 7년 만에 삼국시대부터 조선전기까지 불교미술을 만든 장인을 정리하여 한 권을 책을 간행하는 바이다. 인명사전 작업은 작가들에 관한 단편적인 활동을 정리한 것이다. 이 작업 결과물을 가지고 후학들이 더 많은 문헌을 찾아 작가들의 삶과 작품을 밝혀낸다면 한국회화사와 같이 잊혀진 작가들을 밝혀내서 작가론 접근이 가능할 것으로 믿는다. 처음 작업이 시작된 2007년에 비하면 불교조각사에서 작가에 관한 관심이 많이 늘어났다. 앞선 사람의 발자국을 따라 많은 이들이 다니면 오솔길이 생기는 것 같이 하나의 분야를 개척하는 것은 쉽지 않지만 선학들의 노력이 있다면 후학들은 더 빠르고 깊이 있는 연구를 할 것이라 생각한다. 결국 이름조차 남아있지 않은 무수히 많은 이들의 공덕으로 만들어진 불교문화재가 제대로 된 평가를 받게 된다면 우리의 문화재가 더 많은 국민들에게 사랑을 받을 것이라 믿는다. 그렇지만 기초 자료의 조사와 수집이 개별적으로 이루어지다보니 선학들의 자료를 인용하면서 일일이 확인을 할 수 없는 경우가 많아 이따금 한계에 부딪칠 때도 있었다. 결국 의문이 생길 때 원문을 확인할 수 없는 현실에서 기존 연구자들의 연구 성과를 최대한 반영하여 놓았다. 남아있는 불교문화재에 비해 작가를 알 수 있는 불상 발원문, 불화 화기, 명문, 금석문 등이 턱없이 부족한 현실에서 오랜 시간 자료를 끌어안고 있었지만, 개인적인 역량으로 더 이상 가지고 있어도 해결이 될 것 같지 이번에 출판을 결심하였다. 이 인명사전을 출판을 계기로 어느 연구자라도 잊혀진 장인을 한 명이라도 밝혀낸다면 7년 동안의 노고가 풀릴 것이라 생각한다.
가격비교
한국불교전통사찰의 보존을 위한 대책
편집부 | 위즈덤
89,550원 | 20170730 | 9791157152360
한국 불교 전통사찰의 보존을 위한 대책에 대해 다룬 도서입니다.
가격비교
한국고대 불교조각사 연구 (신수판)
김리나 | 일조각
40,850원 | 20150225 | 9788933706923
『한국고대 불교조각사 연구』는 10편의 논문을 모아서 엮은 논문집으로, 주로 삼국시대와 통일신라의 불상조각을 다루었으며, 논문에 따라서 불상이라는 예배대상의 이상적인 형상, 불상 제작과 관련되는 역사기록, 불상의 도상과 양식적 특징 등을 주변국인 중국과 일본의 불상과 연관시키거나 멀리는 인도에서 원류를 찾는 데 중점을 두어 고찰하였다. 저자는 이를 통해 한국의 불상에 보이는 국제적인 성격과 한국적인 독자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가격비교
한국 불교미술 연구
장충식 | 시공사
27,720원 | 20040125 | 9788952730336
이 책은 한국 불교미술계의 거두였던 고 장축식 전 동국대학교 교수의 생전 연구논문 중 20편을 선정하여 엮은 전문 학술서로서, 삼국시대부터 조선 후기까지 한국 불교미술의 각 분야 논문을 주제와 내용에 따라 총 6장으로 구성했다. 한국 불교미술 전반에 대한 필자의 고른 학문적 관심과 연구 성과를 담은 이 책은 한국 불교미술을 하나로 융합해서 이해할 수 있도록 해줄 것이다.
가격비교
유홍준의 한국미술사 강의 4 4 (조선 : 건축·불교미술·능묘조각·민속미술)
유홍준 | 눌와
23,760원 | 20220429 | 9791189074487
유홍준의 한국미술사 강의 한국미술사를 교양과 상식으로서 이해하려는 일반인과 미술사를 공부하는 학생을 위한 한국미술사 입문서이다. 영어로 말하면 ‘History’ of Korean Art가 아니라 ‘Story’ of Korean Art이다. 미술사적 편년체가 아니라 독서로서 한국미술의 흐름과 특질을 이해할 수 있도록 서술한 것이다. 즉, 이 책은 책상에 앉아 밑줄 치면서 공부하면서가 아닌 ‘소파에 기대어 편히 독서’할 수 있도록 썼다. 조선시대 미술사의 사각지대를 밝히며 《유홍준의 한국미술사 강의》 네 번째 권은 조선시대 건축, 불교미술, 능묘조각, 민속미술을 다룬다. 이번 권의 가장 큰 특징은 그동안 미술사의 체계에서 소외되었던 분야들을 대거 부각하여 정식으로 서술하였다는 점이다. 건축 파트에서는 서울의 종묘를 시작으로 조선의 다섯 궁궐과 한양도성 등 조선왕조의 핵심적인 건축물들을 고루 다루는 것은 물론, 그동안 주목받지 못했던 조선시대 관아도 집중 조명한다. 조선시대 불교미술은 그 양이 방대하고 수준도 높음에도 불구하고 고려시대의 불교미술과 비교되어, 혹은 여전히 신앙의 대상이기도 하여 미술사에서는 상대적으로 소외되어 왔다. 이 책에서는 조선시대 불교미술을 건축, 회화, 조각, 공예로 나누고 각각 별개의 장으로 다루어 독자들에게 심도 있게 소개한다. 조선시대 석물조각을 대표하는 장르로서 왕릉에 세워진 석인과 석수(石獸), 그 외 사대부 묘에 세워진 동자석 등 능묘조각을 다루었으며 마지막으로 민속학의 영역에서만 주로 연구되었던 장승을 미술사적 관점에서 분석하여 실었다.
가격비교
1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