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한국불교미술사

한국불교미술사

정은우, 안귀숙, 김리나, 이승희, 이용윤, 신숙, 이숙희, 문현순 (지은이)
  |  
미진사
2011-02-25
  |  
33,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인터파크 로딩중
11st 로딩중
G마켓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20,000원 -10% 1000원 17,000원 >

책 이미지

한국불교미술사

책 정보

· 제목 : 한국불교미술사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예체능계열 > 미술/디자인/사진
· ISBN : 9788940803974
· 쪽수 : 424쪽

책 소개

미진아트히스토리 시리즈 4권. 우리 불교 미술의 최신 연구 성과를 한눈에 살펴볼 수 있는 개설서. 우리나라 미술사의 전개에서 매우 큰 비중을 차지하는 불교 미술의 분야별, 시대별 흐름과 특징을 일목요연하게 정리하였다. 각 분야 불교 미술 전공자 8명이 참여하여 삼국시대부터 조선시대까지 시대별로 살펴본다.

목차

머리말
일러두기

불교 조각

1 불교 조각의 흐름
불교미술의 성립과 한국으로의 전파
삼국시대
통일신라시대
고려시대
조선시대

2 재료와 제작 기법
금은불
금동불
철불
석불
목불
건칠불
소조불
판불과 판틀

3 복장 유물과 납입의식
고려시대
조선시대

4 후원자
삼국시대
통일신라시대
고려시대
조선시대

불교 회화

1 불교 회화의 흐름
삼국 및 통일신라시대
고려시대
조선전기
조선 후기

2 불화의 재료와 제작 기법
바탕천
안료 및 기타 재료
채색법

3 불화와 불교 의식
일상 의식 속의 부화
야외 의식 속의 불화
불화의 복장

4 불화의 후원 활동과 후원자
왕실 관련 인물들의 후원 활동
귀족 계층의 후원
승려들의 후원

불교 공예

1 불교 공예의 흐름
삼국시대
통일신라시대
고려시대
조선시대

2 재료와 제작 기법
금속
목칠

3 후원자와 제작자
삼국시대
통일신라시대
고려시대
조선시대

용어해설
참고문헌
찾아보기

저자소개

정은우 (지은이)    정보 더보기
홍익대학교 대학원에서 미술사를 전공하여 불교조각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동아대학교 고고미술사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으며 석당박물관장을 맡고 있다. 문화재청 문화재위원을 역임하였으며 현재는 사)한국미술사학회 회장, 미술사연구회 회장 그리고 조계종 총무원 성보문화재위원, 충청남도 문화재위원, 부산광역시 문화재위원, 경상남도 문화재위원으로 활동 중이다. 저서에 <고려후기 불교조각연구>, <불상의 미소> 등이 있으며 <한국불교미술사>(공저) <서일본 지역 한국의 불상과 불화>(공저), <고려와 북방문화>(공저) 등 다수가 있다.
펼치기
안귀숙 (지은이)    정보 더보기
홍익대학교 대학원 미술사학과 졸업(文學博士) 문화재청 인천국제공항 문화재감정관실 감정위원 문화재청 문화재위원 등 주요논문은 박사학위논문 「중국 정병 연구」 외에 「朝鮮後期 鑄鐘匠 思印比丘에 관한 硏究」(『佛敎美術』,1988), 「조선후기 佛畵僧의 계보와 義謙比丘에 대한 연구」(『미술사연구』 8과 9, 1994-1995), 「고려 佛具의 의미와 제작방법」(『佛法으로 피어난 금속공예』, 2006) 등이 있다. 저서는 『유기장』(2002, 화산문화), 『朝鮮後期僧匠人名辭典-佛敎繪畵』(공저, 2008, 양사재) 등이 있다.
펼치기
김리나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사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하버드대학교 대학원에서 미술사를 전공하여 불교조각 논문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1976년부터 31년간 홍익대학교 교수로 재직하다가 2007년2월 말에 정년퇴직하여 현재는 명예교수이다. 미술사 연구회, 한국미술사학회회장을 역임하였으며, 또한 국제기념물유적협의회의한국위원회(ICOMOS-Korea)의 위원으로 활동하였고 위원장도 맡았다(2005~2006). 2001년부터 2013년까지 문화재청의 문화재위원으로 활동하였으며 문화재위원회 부위원장을 지냈다. 불교조각사, 공예사, 미술교섭사 분야를 중심으로 연구하여 영문, 일문, 중문으로도 다수의 논문을 냈다. 저서에는 Arts of Korea, 共著(Kodansha International, Tokyo, 1974), <韓國美術의 美意識>, 共著(정신문화연구원, 1984), <韓國古代佛敎彫刻史硏究>(일조각, 1989/신수판 2015), <韓國古代佛敎彫刻 比較硏究>(문예출판사, 2003) 등이 있다. 한국 불교조각에 대한 영문저서 Buddhist Sculpture of Korea(Hollym International Corp.,2007)를 썼고, 개설서로 <한국불교미술사>, 共著(미진사, 2011)와 <한국의 불교조각>(사회평론, 2020)을 출간하였다. 번역서로는 <미술품 분석과 서술의 기초>(시공사, 1995/ 개정증보판 2006)가 있다.
펼치기
이승희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96년부터 방송구성작가로 활동하고 있다. KBS의 ‘수요기획’?‘특별기획 한국전쟁’‘러브 인 아시아’와 EBS의 ‘세계테마기행’, SBS의 창사 20주년 특별기획 ‘최후의 툰드라’ 등을 집필했다.
펼치기
이용윤 (지은이)    정보 더보기
충북대학교를 졸업하고 홍익대학교에 진학하여 불교미술사를 전공으로 석사와 박사를 마무리하였다. 재단법인 불교문화재연구소에서 2007년~2016년까지 근무하였으며 현재 대한불교조계종 총무원 문화부에서 근무하고 있다. 그 외 경기도 문화재위원, 충청남도·충청북도·세종특별시·경상북도 문화재전문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박사 논문은 「조선 후기 영남의 승려문중과 불화 연구」이며, 공저인 『한국불교미술사』(미진사)를 비롯하여 조선 후기 불교 회화에 관한 다수의 논문이 있다.
펼치기
신숙 (지은이)    정보 더보기
홍익대학교 대학원 미술사학과 박사과정을 수료하였다. 문화재청 문화재감정위원을 역임하였으며 숙명여자대학교, 홍익대학교 등에 출강하고 있다. 주요 논문으로 고려와 중국의 금속공예 교류관계, 統一新羅와 唐의 銜鳥文 硏究 등이 있다.
펼치기
이숙희 (지은이)    정보 더보기
홍익대학교 대학원에서 미술사학 박사학위(2004)를 받은 이숙희는 현재 문화재청 문화재감정위원, 조계종 성보문화재위원, 인천시 및 대전시 문화재위원으로 활동하고 있으며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에서 강의를 하고 있다. 주요 저서로는 『통일신라시대 교계 불교조각』(학연문화사, 2009), 『잃어버린 불상을 찾아서』 (미진사, 2015), 공저로는 『한국미술문화의 이해』(예경, 1994), 『클릭 한국미술사』(예경, 2011), 『인천의 전통사찰과 불교미술』 제1권.3권(인천시 역사자료관, 2011~2015), 『인천의 중국 불 교문화유산』(인천시 역사자료관, 2016) 등이 있다. 역서로는 『불상의 탄생』(예경, 1994), 『인도미술』(한길아트, 1997) 등이 있다. 「고려시대 금강 령의 도상적 연구」(『고고미술』186호, 1990), 「통일신라시대 지권인 비로자나불상 연구의 쟁 점과 문제」(『미술사논단』7호, 1998), 「중국 사천성 천북지역 석굴의 초기교 조상」(『미술사 연구』13호, 1999), 「통일신라 오방불의 도상 연구」(『미술사연구』16호, 2002), 「통일신라시대 의 변화관음보살상」(『미술사의 정립과 확산』2권, 2006), 「통일신라시대 비로자나불상의 신라 적 변용과 특성」(『미술사학연구』250 251호, 2006), 「비로사 비로자나불상과 아미타불상에 관 한 연구」(『시각문화의 전통과 해석』, 2007), 「북한산 도선사의 조선후기 불교조각」(『인문과학』 20집, 2015) 외 다수의 논문을 발표했다.
펼치기
문현순 (지은이)    정보 더보기
홍익대학교 대학원 미술사학과 박사과정을 수료하였다. 상명대학교, 덕성여자대학교, 목원대학교, 한신대학교, 홍익대학교 강사를 지낸 바 있다. 현재 홍익대학교 미술교육원 강사로 있으며 문화재청 문화재감정관으로 활동 중이다. 주요 논문으로 명 초기 티베트식 불상의 특징과 영향, 조선전기의 새로운 불교도상-천은사 구장 금동불감의 동판부조와 불좌상을 중심으로- 등이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불교 조각은 부처님의 형상을 석조나 목조, 주조로 표현한 불상이 주류를 이루며 부도나 석탑 등에 제작된 상까지 포함한다. 우리나라 불교 조각은 4세기 말경 불교 미술이 전래된 이후 이미 7세기에 <금동반가사유상>과 같은 뛰어난 조각상을 제작할 만큼 발달하였다. 또한 통일신라시대에 <석굴암 본존불>과 같은 세계적인 문화유산을 만들어냄으로써 이제까지의 불교 조각 연구는 이 시기에 집중되어 있었다. 고려시대 의 불교 조각이 연구되기 시작한 것도 최근에 들어서이다. 더욱이 조선시대에는 불교 미술이 쇠퇴한다는 일반적인 시각과 달리, 통일신라 이후 토착적인 기반 위에 독자적인 불교 양식을 이룩하였다는 것이 새롭게 조명되고 있다. 따라서 이 책에서는 조선시대 불교 조각에 대한 지난 10여 년간의 연구 성과를 포함하여 삼국시대부터 조선시대에 이르는 우리나라 불교 조각의 시대별 변천을 온전히 정리하였다.
불교 조각은 종교 미술로서 불교 의식이 반영되고 발원자의 신앙과 목적이 담겨 있으며, 또한 표현을 위한 재료적 특징이 조화를 이루어 완성된 복합적인 종교적 산물이다. 따라서 이제까지 간과되었던 금동, 철불, 석조, 목조 등 재료별로 각기 다른 제작 기법과 불상 안에 들어 있는 복장물과 관련 의식 절차 등도 상세하게 수록하였다. 더불어 시대별 후원자의 성격과 그에 따른 불상 제작의 변화도 다루었다.
-‘불교 조각’에서


불화는 부처님의 가르침을 형상화한 그림이다. 좁게는 법당의 벽에 걸리는 불화를 가리키지만 넓게는 전각 벽면을 장식하는 벽화와 단청, 경전의 표지화인 변상도를 포함한다. 불화는 불교가 전래된 초기부터 제작되었지만 현재 남아 있는 불화는 고려시대인 13세기 말부터 조선시대에 걸쳐 제작된 것이 대부분이다.
이 책에서는 불화 경전과 그에 따른 도상의 기초적인 이해에서 한 걸음 나아가 고려 후기부터 조선 말기에 이르는 불화 조성의 시대적 흐름은 물론 불교 의식과 후원자, 불화 제작의 과정들을 포함하였다.
불화의 주제는 아미타불, 석가모니불, 비로자나불과 같은 부처를 그린 여래도, 관음보살, 지장보살을 그린 보살도, 시왕도, 감로도, 삼장도와 같은 명부계 불화, 부처님의 제자를 그린 나한도와 독성도, 우리나라의 토속신앙과 결부된 산신도, 칠성도 등으로 분류된다. 이들 불화는 각각의 특징과 더불어 시대적인 변천을 보이며 조선의 독자적인 불화로 발전하였다.
불화의 제작과 관련한 기록인 화기를 통해 조성 시기와 봉안 장소, 발원의 목적과 발원자 및 수많은 시주자와 승려들의 이름 등 불화 조성의 배경을 이해할 수 있다. 이에 화기를 읽고 이해하는 방법, 후원자 계층에 따른 염원과 시대적인 요구가 어떻게 구현되었는가를 살펴보았다. 또한 불화 제작에 중요한 바탕천, 채색 안료, 안료의 운용 방법, 그리고 화승들의 분업 관계 등도 다루었다.
-‘불교 회화’에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