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대흥천사 불교미술

대흥천사 불교미술

(600년 왕실원찰)

문명대, 고승희, 김경미, 김양균, 김정희, 문무왕, 배영일, 손신영, 신은미, 심주완, 유경희, 유근자, 이강근, 이용진, 이종수, 이혜원, 주수완, 최응천 (지은이)
한국미술사연구소
3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7,000원 -10% 0원
900원
26,1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대흥천사 불교미술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대흥천사 불교미술 (600년 왕실원찰)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미술 > 종교미술
· ISBN : 9791185912325
· 쪽수 : 672쪽
· 출판일 : 2023-10-11

책 소개

흥천사의 역사와 사상(4편), 흥천사의 불교조각(6편), 흥천사의 불교회화(8편), 흥천사의 불교공예(6편), 흥천사의 불교건축(4편) 등 5개 분야, 총 논문수 28편이나 되는 방대한 양에 이른다.

목차

간행사

Ⅰ. 흥천사의 역사와 사상
1. 흥천사의 역사, 이종수
2. 흥천사의 역사와 사상, 문무왕
3. 흥천사와 행호(行乎)에 관한 연구, 문무왕
4. 조선후기 흥천사의 연혁과 시주, 손신영

Ⅱ. 흥천사의 불교 조각
1. 흥천사 사십이수(四十二手) 천수천안 관음보살상(千手千眼觀音菩薩像)의 도상특징과
편년연구, 문명대
2. 흥천사 천수관음상(千手觀音像)의 제작기법에 대한 고찰, 주수완
3. 흥천사 불상의 성격과 1701년 법잠(法岑) 작 목조수월관음보살(木造水月觀音菩薩)
삼존상 및 복장품 연구, 문명대
4. 흥천사 극락보전 목조 아미타불상과 대세지보살상 연구, 심주완
5. 흥천사의 조선후기 불교조각, 유근자
6. 흥천사 명부전 석조 지장보살삼존상 및 시왕상 연구, 주수완

Ⅲ. 흥천사의 불교 회화
1. 흥천사 왕실 발원 불화의 성격과 화면분할식 극락구품도의 도상학적 연구, 문명대
2. 흥천사 비로자나삼신괘불도 도상 연구, 고승희
3. 조선 말기 흥천사와 왕실 발원 불화, 유경희
4. 흥천사 아미타불회도의 조성배경과 화승 연구, 유경희
5. 흥천사 약사신앙과 약사불회도의 도상연구, 김경미
6. 흥천사 극락보전 지장시왕도 연구- ‘善惡童子’도상의 연원과 전개양상을 중심으로-,
김정희
7. 흥천사 신중도의 도상 연구, 신은미
8. 흥천사 소장 귀진사간(歸眞寺刊) ��대방광불화엄경소(大方廣佛華嚴經疏)�� 변상도(變相
圖), 배영일

Ⅳ. 흥천사의 불교 공예
1. 흥천사 대종 명문으로 본 흥천사의 성격과 대종의 보존, 문명대
2. 조선전기 왕실 발원 범종과 흥천사종의 중요성, 최응천
3. 흥천사 대종의 특징과 역사적 의의, 이용진
4. 흥천사 불교 금속공예의 특징, 최응천
5. 흥천사 편액(扁額)·현판(懸板) 연구, 김양균
6. 흥천사 불교목공예의 공예사적 의의, 이용진

Ⅴ. 흥천사의 불교 건축
1. 흥천사 불교 건축의 성격, 문명대
2. 흥천사 극락보전의 재건역(再建役)과 장엄(莊嚴)에 관한 연구, 이강근
3. 흥천사 명부전의 특징과 의미, 손신영
4. 흥천사 대방(大房)의 건축적 특징, 이혜원

저자소개

문명대 (지은이)    정보 더보기
주요 학력 · 1968.3~1972.2 동국대학교 대학원(미술사) 문학박사 · 1965.3~1967.2 경북대학교 대학원(미술사) 문학석사 · 1959.3~1965.2 경북대학교 사범대학 역사학과 문학사 주요 경력 · 2006.8~현재 동국대학교 명예교수 · 1988.9~1993.8 동국대학교 박물관 관장(26년 근속) · 1982.3~현재 서울시 종로구·노원구 문화유산위원. 1976년부터 국가유산청(구 문화재청) 문화유산전문위원과 문화유산위원, 서울특별시 문화유산위원, 경기도 문화유산위원 등 다수 역임 · 1980.3~현재 사단법인 한국미술사연구소 소장 · 1976.3~2006.8 동국대학교 미술학부 교수 주요 저서 및 공저 · 2003.9:한국불교조각사연구4권(예경) 외 100여권 주요 논문 · 1987: 石窟庵 佛像彫刻의 硏究(동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외 400여편
펼치기
최응천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59년 서울 출생으로, 동국대학교와 홍익대학교 대학원 미술사학과를 졸업하고 일본 규슈대학에서 ‘한국 범음구에 관한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1983년 국립중앙박물관에 입사하여 학예연구사, 학예연구관을 거쳐 국립춘천박물관 초대 관장과 국립중앙박물관 전시팀장, 아시아부장, 미술부장으로 국립박물관에서 25년간을 근무하였다. 2008년부터 지금까지 동국대학교 대학원 미술사학과 교수로 재직하면서 2009년부터 2017년까지 문화재청 문화재 위원(동산, 무형분과)과 일본 다이쇼대학 객원 교수(2015)를 역임하였고 현재는 동국대학교 박물관장과 한국미술사교육학회 회장, 국외소재문화재재단 이사장을 겸임하고 있다. 저서로는 『금속공예: 한국미의 재발견』(2004)과 『찬란하고 섬세한 아름다움: 금속공예』(공저, 2007), 『한눈에 보는 입사』(2016) 등이 있으며 주요 논문으로 「한국 범종의 특성과 변천」(1999), 「일본에 있는 한국 범종의 종합적 고찰」(2007), 「조선전기 왕실 발원 범종과 흥천사 종의 중요성」(2017), 「조선후기 범종의 부흥을 이끈 두 거장」(2018) 같은 범종 관련 논문과 「고려시대 금고의 특성과 명문 고찰」(2017), 「쇼소인[正倉院] 금속공예의 연구현황과 과제」(2018), 「《三國遺事》에 보이는 미술사 자료의 분석과 검토」(2021) 등 금속공예 관련 논문이 다수 있다. 「18세기 범종의 양상과 주종장 김성원의 작품」으로 제14회 동원학술논문상을 수상했다.
펼치기
주수완 (지은이)    정보 더보기
불교미술 사학자이자 우석대 교수, 문화재청 문화재전문위원. 인도와 실크로드에서 중국과 한국에 이르기까지 불교미술 도상의 발생과 진화를 연구하고 있다. 저서로는 『솔도파의 작은 거인들』, 『한국의 산사 세계의 유산』, 『불꽃 튀는 미술사』 등이 있다.
펼치기
유근자 (지은이)    정보 더보기
국립순천대학교 남도문화연구소 학술연구교수. 동국대에서 미술사로 석·박사 학위를 받았고 동 대학 초빙교수를 지냈으며, 인천광역시·강원특별자치도 문화재위원으로 활동 중이다. 현재 간다라 불전 미술과 조선시대 불상의 복장 기록 연구를 진행 중이다. 저서로 ��조선시대 불상의 복장 기록 연구』, ��조선시대 왕실발원 불상의 연구』가 있으며, 공저로는 ��간다라에서 만난 부처』가 있다.
펼치기
손신영 (지은이)    정보 더보기
동국대에서 미술사로 석사와 박사학위를 받았다. 석사학위논문은 「<동궐도>를 통해 본 창덕궁 연구」이며, 박사학위논문은 「19세기 불교건축의 연구-서울⋅경기지역을 중심으로」이다. 1994년~1996년에는 주간불교신문사 기자로, 2008년~2010년에는 전북대학교 쌀삶문명연구원 HK연구교수로 근무하였다. 1997년부터 2016년까지 동국대·고려대· 국민대 등에서 강의하였으며, 2012년에는 한국연구재단에서 지원하는 박사후연구자로 선정되어 원광대 인문학연구소에서 연구하였다. 한국전통건축을 통섭적으로 파악하기 위해 건축사와 미술사의 학제간 연구를 모색하고 있다. 주요논문으로 「연경당 건축년대 연구-사료를 중심으로」 (『미술사학연구』242·243합집, 2004), 「東國大學校正覺院 건물의 역사와 건축적 특징-경희궁 숭정전과의 관련을 중심으로」(『한국불교학』65호, 2013), 「기록을 통해 본 조선후기 골굴석굴의 양상」(『강좌미술사』50호, 2018) 등이 있고, 공저로는 『간다라에서 만난 부처』(한언, 2009) 등이 있다.
펼치기
고승희 (지은이)    정보 더보기
전 동국대학교 교수, 서울특별시 문화재 전문위원
펼치기
문무왕 (지은이)    정보 더보기
동국대학교 불교학과 학사, 석사, 박사과정과 대학 및 연구소에서 불교문화사와 불교사상사를 전공 및 연구하고 서역 실크로드 문화를 다년간 조사·연구하여 논문과 저서 등 많은 업적을 남기고 있는 중견 학자이다. 한국불교연구원 전임연구원, 동국대학교 불교사회문화연구원 전임연구원, 동명대학교 초빙교수를 거쳐 외래교수, 동국대학교 외래교수, ㈔한국미술사연구소 책임연구원을 맡고 있다. 『간다라·사막북로 지역의 불교 유적』, 『사막남로·투르판 지역의 불교 유적』, 『原州 佛敎와 遺蹟』, 『한중 불교교류사 연구』, 『동아시아 법화경 세계의 구축』, 『600년 왕실원찰 서울 흥천사 불상』, 『천년선찰 쌍계사의 불교회화』 등 다수의 공저와 논문이 있다.
펼치기
문무왕의 다른 책 >
김경미 (지은이)    정보 더보기
고려대 초빙교수
펼치기
김양균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역사박물관 학예연구관
펼치기
김정희 (지은이)    정보 더보기
원광대학교 명예교수
펼치기
배영일 (지은이)    정보 더보기
전 국립공주박물관 학예연구실장, 마곡사 성보박물관 관장
펼치기
신은미 (지은이)    정보 더보기
인천시립박물관 유물관리부장
펼치기
심주완 (지은이)    정보 더보기
대한불교조계종 총무원 문화부
펼치기
유경희 (지은이)    정보 더보기
국립중앙박물관 학예연구사
펼치기
이강근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시립대학교 교수
펼치기
이용진 (지은이)    정보 더보기
동국대학교 교수
펼치기
이혜원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전통건축과 겸임교수, ㈜이음건축사사무소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