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 식품산업 시장동향과 유망식품 기술개발 및 기업 현황
한국산업마케팅연구소 | 한국산업마케팅연구소
360,000원 | 20190627 | 9791185055206
한국의 식품산업은 2017년 기준 GDP의 2.82%, 제조업 GDP의 10.24%를 점유하고 있으며, 생산 업체수는 약 3만 91개, 종업원수도 31만 9,920명에 달하는 전통적인 기반산업이다.
최근에는 고령화와 안전 및 웰빙 식품 소비 트렌드 등으로 인해 건강기능식품과 고령친화제품, 웰빙전통식품, 친환경 편의제품 등 고부가가치식품이 신성장동력 분야로 주목받고 있다.
이에 따라 세계 각국도 개발 로드맵 수립과 식품 클러스터 조성 등을 통한 글로벌 경쟁력 강화에 주력하고 있으며, 글로벌 기업들도 R&D 투자 확대를 통해 시장 선점에 나서고 있다.
한국 식품산업 생산액은 2014년 50조 310억 7,477만원에서 2017년 49조 7,500억 2,436만원으로 연평균 0.19% 감소(2,810억 5,041만원 감소)했으나,
국내 판매액은 2014년 50조 656억 9,300만원에서 2017년 56조 3,578억 6,244만원으로 연평균 5.03%(6조 2,921억 6,944만원 증가) 증가했다.
특히 수출액은 2014년 40억 4,237만 8,654달러에서 2017년 52억 7,364만 2,181달러로 연평균 9.27%(12억 3,126만 3,527달러 증가) 증가했다.
한편 식품 등 수입액도 2014년 231억 1,168만달러에서 연평균 2.61% 증가하며 2017년 249억 7,215만달러로 확대됐다.
향후 식품산업 생산액과 국내 판매액은 각각 2017년 이후 연평균 1.61%와 1.97% 증가하며 2022년 53조 8,765억원과 62조 1,299억원으로 확대될 것으로 전망되며,
수출액도 연평균 18.16% 성장률을 보이며 121억 4,657만달러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기타 식품류와 주류, 규격외 일반가공식품, 빵 또는 떡류, 조미식품, 과자류, 면류, 식용유지류 등이 시장 확대를 주도할 것으로 전망된다.
또한 가정간편식품과 특수의료용도 및 체중조절용조제 등 특수용도식품, 웰빙전통식품, 식품위해인자 신속간편 검출 시스템, 스마트 패키징 등이 유망 식품 시장 및기술로 주목받고 있다.
이에 본 연구소는 식품산업의 세부 35개 시장에 대해 종합 분석했다.
또한 유망 식품 시장 및 기술개발 동향과 주요 참여 기업의 일반 현황 및 영업실적을 정리했으며, 부록으로 유망 식품기술 개발현황을 수록했다.
본 보고서가 식품산업과 유망 식품 시장 참여 및 신규사업을 계획하는 업계와 연구 및 정책기관의 시장이해와 마케팅, 경영전략 수립 등에 미력이나마 도움이 되길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