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 네이버책
  • 알라딘
  • 교보문고
"06-23="(으)로 12개의 도서가 검색 되었습니다.
9791126006984

제조업 엔지니어 연구-디지털 전환(DX)과 전망 (정책자료 23-06)

이상준, 조성재, 이요한, 박종식  | 한국노동연구원
6,300원  | 20231229  | 9791126006984
이 책은 한국노동연구원의 제조업 엔지니어 연구를 다룬 정부간행물입니다.
9791126006687

산업전환에 따른 노사갈등과 사회적 대화 촉진방안 (정책연구 23-06)

이장원, 정흥준, 김동배, 박준식, 이문호  | 한국노동연구원
7,200원  | 20231229  | 9791126006687
이 책은 한국노동연구원의 산업전환에 따른 노사갈등과 사회적 대화 촉진방안을 다룬 정부간행물입니다.
9791156543947

청소년의대안교육참여실태및지원방안 (연구보고 23-기본06)

오해섭, 최홍일, 송원일  |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9,000원  | 20231231  | 9791156543947
이 책은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청소년의대안교육참여실태및지원방안을 다룬 정부간행물입니다.
9791193557822

미래 모빌리티 환경에 대응하기 위한 도로교통법제 개선방안 연구 (연구보고 23-06)

박세훈  | 한국법제연구원
9,900원  | 20231031  | 9791193557822
Ⅰ. 연구 배경 및 목적 ▶ 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변화된 도로교통 환경에 대응하기 위해, 변화된 교통 환경 현황 및 도로교통법제를 종합 검토함으로써 적극적인 법제도적 대응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음 ○ 새로운 기술의 등장은 디지털운행기록계를 활용한 교통 정책 수립, 자율주행자동차 운행을 위한 도로 인프라 마련 등 교통 산업 구조를 변화시킴 ○ 또한 개인형 이동장치와 같은 전통적 교통수단과는 다른 새로운 유형의 교통수단이 등장함 ○ 이처럼 자율주행자동차와 개인형 이동장치 등 신 유형의 교통수단 등장 및 이와 관련된 교통 환경의 변화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도로교통법제 개선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음 ○ 특히, 본 연구에서는 미래 교통환경 변화 중 새로이 등장하는 교통수단인 자율주행자동차와 개인형 이동장치에 초점을 두고 이의 상용화 및 활성화에 따른 대응 방안을 모색하는 데 초점을 두었음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새로운 교통수단에 대한 실효성 있는 법제도적 대응을 위해 도로교통법제 관련 법령을 종합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이의 개선 방안을 모색함 ○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국내 도로교통법제 및 관련 정책 검토, 국외 주요국의 미래 모빌리티에 대응하기 위한 법적, 정책적 노력 등을 종합적으로 살펴보았음 ○ 이와 더불어 미래 모빌리티 관련 인식 조사 역시 실시하여, 전문가의 도로교통 환경 변화에 대한 의견을 종합하였음. 이를 통해 도로교통법제 개선을 위한 주요 논점을 살펴봄 ○ 이후 이러한 내용을 종합하여 우리나라 현실에 적합한 도로교통법제 개선 방안을 제안함으로써, 변화하는 미래 모빌리티 환경에 적극 대응함으로써 국민의 안전한 교통 이용 및 관련 산업 발전에 기여하기 위해 노력함 Ⅱ. 주요 연구 내용 및 방법 ▶ 우선 국내 도로교통 관련 법령 전반을 검토함으로써, 현재 우리나라 법령에서 교통과 관련된 여러 측면을 어떻게 정의하고 있는지를 살펴보았음 ○ 모빌리티는 인간이 이동을 하기 위한 수단으로, 이러한 인간의 이동에 대한 권리는 명시적으로 법령에 규정되어 있지 않으나, 인간은 행복을 추구하고(헌법 제10조), 인간다운 생활을 할 권리(헌법 제34조제1항)가 있다는 점에서 이동권은 국가 수준에서 보장해야 할 권리임을 알 수 있음 ○ 이에 정부에서는 변화하는 미래 모빌리티 환경에 대응하기 위한 「모빌리티혁신법」, 「자율주행자동차 상용화 촉진 및 지원에 관한 법률」, 「국가통합교통체계효율화법」 등을 제정하는 등의 노력을 수행 중임 ○ 또한 국민의 안전한 교통 생활을 위해 「도로교통법」 제2장 보행자의 통행방법, 제4장 운전자 및 고용주, 제7장 교통안전교육 등과 같이 도로에서 발생하는 모든 교통상의 위해를 방지하기 위해 필요한 사항을 규정하거나, 「도로법」, 「도시교통정비 촉진법」, 「스마트도시 조성 및 산업진흥 등에 관한 법률」 등을 통해 교통 인프라와 관련된 사항을 규정하고 있음 ○ 이뿐 아니라 「교통안전법」, 「자동차관리법」, 「교통사고처리 특례법」, 「자동차손해배상보장법」 등을 통해 교통사고의 피해보상 및 원인조사 관련 사항을 규정하고 있음. 이때 각 법령 내에 변화된 교통수단과 관련된 조항을 신설하는 등을 통해 미래 모빌리티 환경에 대응하기 위한 법적 노력을 수행 중임 ▶ 다음으로 국외 선진국에서의 자율주행자동차 및 개인형 이동장치 관련 법제를 살펴봄으로써, 우리나라 법령 개선 시 수용할 만한 부분이 있는지를 확인하였음 ○ 본 연구에서는 크게 독일, 일본, 미국을 대상으로 자율주행자동차 정의, 운행을 위한 안전시설물, 운전자 의무 등에 대해 살펴보았는데, 우선 독일에서는 도로교통법을 통해 도로교통과 관련된 기본적인 사항을 전반적으로 다루고 있으며, 자율주행과 관련해서는 2015년 「자동 및 연결된 주행을 위한 전략」을 발표함으로써 입법 프레임을 마련하였음. 이와 함께 지속적인 도로교통법 개정을 통해 세분화되고 고도화되는 자율주행 기술 발전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고 있음. 한편 독일의 개인형 이동장치와 관련된 사항은 2019년부터 시행되고 있는 「초소형 전기자동차의 도로교통 참여 규정」에서 살펴볼 수 있음 ○ 무엇보다 독일의 도로교통법은 자율주행자동차가 갖추어야 할 장치, 기술감독관의 역할, 사고 상황에서의 딜레마 해결 방안 등 세부적인 내용을 규정하고 있다는 점이 특징적임 ○ 다음으로 일본의 경우, ‘관민 ITS 구상 로드맵’을 주기적으로 발표하는 등 자율주행 정책에 대해 정부 부처 주도의 노력이 지속되었음. 또한 2021년부터는 ‘RoAD to the L4 프로젝트’를 추진하는 등 세분화된 자율주행 기술을 실현하기 위한 연구가 수행되고 있음 ○ 일본 또한 독일과 같이 자율주행 기술의 발전에 따라 관련 법(「도로교통법」, 「도로운송차량법」 등)의 세부적인 사항을 개정함으로써 자율주행자동차라는 새로운 기술 도입에 따른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노력하였음. 이와 함께 개인형 이동장치에 대한 규정 역시 정비함으로써 안전한 도로교통 환경 조성을 위한 제도적 개선이 이루어지고 있음 ○ 마지막으로 미국은 도로 및 차량관련 법률이 연방정부의 관할과 주정부의 관할로 구분되어 있는데, 연방정부는 도로 인프라와 자동차 안전기준에 대해, 주정부는 운전자의 도로교통과 자동차 등록 등을 관할하고 있음 ○ 이러한 미국의 자율주행자동차 관련 법령은 2011년 주정부 차원에서 시작되었으며, 현재 연방정부에서도 자율주행기술 안전 및 인프라 관련 문제 대응을 위한 정책 수립 등의 노력을 수행 중에 있음 ○ 일례로 2016년 연방정부는 자율주행자동차의 정책과 입법방향 제시를 위한 지침으로서 ‘Federal Automated Vehicles Policy’를 발표하고, 이를 자율주행기술 발전을 위한 방향으로 지속 보완 중에 있음. 특히 연방정부에서는 2021년 자율주행자동차 사고 시 제조사 및 기술 개발업체가 보고서를 제출하도록 행정명령을 내리거나 2022년 연방규정집 내 연방 차량안전기준의 제목을 개정하는 등 안전한 기준을 마련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노력하고 있음 ○ 한편 미국의 개인형 이동장치와 관련된 법령으로는 「연방소비자법」에서의 전동스쿠터 정의, 캘리포니아 주에서 전동킥보드를 다루는 규정을 통해 확인할 수 있음 ▶ 이러한 국내외 법령 검토와 함께 본 연구에서는 교통 전문가를 대상으로 인식조사를 실시하여 법제도 개선을 위해 중점을 두어야 할 사항이 무엇인지 살펴보았음. 구체적으로는 자율주행자동차와 개인형 이동장치 이용에 대한 주요 쟁점에 대한 현황을 파악하였음 ○ 이를 위해 인식조사에서는 주로 자율주행자동차와 개인형이동장치 도입 및 이용에 대한 찬반과 더불어 미래 모빌리티 관련 인식(교통안전교육 필요성, 자율주행자동차 도입의 교통안전에의 기여 정도, 미래 모빌리티 대응을 위해 필요한 법제 등) 전반에 대해 응답하도록 하였음 ○ 분석 결과, 전체 응답자 중 다수가 자율주행자동차 도입과 현행 개인형 이동장치 이용 방식 유지에 찬성하고 있었음. 또한 이들은 이러한 교통 변화에 따라 교통안전교육 확대, 법규 위반 시 처벌 강화 등이 필요있다고 응답하였음 ○ 특히 법제와 관련된 사항을 살펴보면, 우선 이들은 자율주행자동차 도입을 위해 ‘운전자 지위, 주요 의무 등에 대한 내용’, ‘사고 발생 시 조사, 책임 소재 등에 대한 내용’, ‘자율주행을 위한 교통 인프라에 대한 내용’ 등이 신설될 필요가 있다고 언급하였음 ○다음으로 이들은 개인형 이동장치의 안전한 이용을 위해 ‘전용 면허제도 신설’, ‘안전교육 강화’, ‘사업자 및 운전자의 사고에 대한 책임 강화 등에 대한 내용’이 필요하다고 응답하였음 ○ 이처럼 이들은 변화된 교통수단에 적절한 법제도가 필요하다고 언급하고 있으며, 특히 자율주행자동차의 경우 레벨별로 세분화한 제도 마련을 통해 적극적으로 변화에 대응해야 한다고 응답하였음 ▶ 마지막으로 앞서 논의한 내용을 종합하여 현행 도로교통법의 한계를 파악하고, 이를 보완하기 위한 법적 개선방안을 제안하였음 ○ 구체적으로 크게 「도로교통법」 개정 방향과 「자율주행법」 제정안을 제안하였는데, 우선 「도로교통법」의 개정 방향은 ‘각 모빌리티 유형의 안전을 위한 운행 관리 측면으로의 법 개정’, ‘이용자의 안전한 책임 강조하는 방향으로의 법 개정’, ‘교통안전교육을 강화하는 방향으로의 법 개정’, ‘미래 모빌리티 환경에 대한 이해, 숙련 정도 등 새로운 자격 기준 마련의 방향으로의 법 개정’ 등임 ○ 다음으로는 「자율주행법」이라는 새로운 법령을 제정하는 것을 제안하였는데, 여기에는 ‘자율주행자동차 운전자 지위 재정립’, ‘자율주행자동차 인식 교통안전시설물 도입’, ‘자율주행시스템 조작 교통안전교육제도 도입’, ‘Level4 이상 운전자 의무 및 의무위반제재의 완화’, ‘Level4 이상 인증 자율주행자동차 배상책임검토’ 등의 내용이 포함되어 있음 ○ 한편 이 외에도 개인형 이동장치 관련, 모빌리티 정보ㆍ사고통합서비스 구축, 모빌리티 인증제도 도입 측면에서의 세부적으로 도입되어야 할 제도를 제안하였음 Ⅲ. 기대효과 ▶ 본 연구의 논의를 토대로 도출된 미래 모빌리티 환경 대응을 위한 법제 개선 방향은 단기적으로는 ‘안전한 미래 모빌리티 운행을 위한 법령 개선안 제시’ 측면에서, 장기적으로는 ‘제안된 법령을 통한 미래 모빌리티 대응 환경 구축 및 관련 기술 확산 가능’ 측면에서 긍정적 기여가 가능할 것임 ▶ 이와 더불어 본 연구에서 수행한 연구 결과는 학술적 및 정책적인 기여를 할 것으로 판단됨 ○ 구체적으로 우선 학술적 측면에서 본 연구에서 종합적으로 살펴본 국내외 도로교통 관련 법령, 교통 전문가 인식조사 결과 등은 향후 도로교통 관련 법제의 학술적 연구의 기초자료로 활용 가능함 ○ 다음으로 정책적 측면에서는 본 연구에서 제안한 개정 「도로교통법」, 「자율주행법」뿐 아니라 여러 제도적 측면에서의 논의 사항은 향후 관련 제도 추진 및 입법 수립에 기여할 것임
9791193557211

독과점 플랫폼 사업자에 대한 규율방안 연구 (현안분석 23-06)

김윤정  | 한국법제연구원
6,300원  | 20230831  | 9791193557211
Ⅰ. 배경 및 목적 ○ 전세계적으로 플랫폼 경제는 2022년 기준 16.6조 달러, 전세계 GDP의 16%를 차지할 정도로 큰 규모에 이르렀음 - 본 연구는 독과점 플랫폼의 폐해와 이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현행 경쟁법 집행의 한계를 분석하고 해외에서는 독과점 플랫폼 사업자에 대해 어떻게 입법적으로 대처하는지 검토하며 현재 국회에 발의되어 있는 온라인 플랫폼법(안)의 현황을 분석한 뒤 독과점 플랫폼을 효과적으로 규제하기 위한 적절한 규율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함
9791126006748

노동개혁 과제 쟁점분석과 추진방법 연구 (연구보고서 23-06)

이장원, 배규식, 김기선, 권혁, 남궁준  | 한국노동연구원
18,000원  | 20231229  | 9791126006748
이 책은 한국노동연구원의 노동개혁 과제 쟁점분석과 추진방법 연구를 다룬 정부간행물입니다.
9788932218687

에너지안보 강화와 탄소중립을 위한 한국의 대응방안 (연구보고서 23-06)

문진영, 나승권, 이성희, 김은미  | 대외경제정책연구원
6,930원  | 20231229  | 9788932218687
이 책은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의에너지안보 강화와 탄소중립을 위한 한국의 대응방안을 다룬 정부간행물입니다.
9791163844495

출퇴근 이동 편의 향상을 위한 광역 급행 철도 경합 광역버스 노선 개편 방향: GTX-A노선을 중심으로 (기본 RR 23-06)

김거중, 박준식, 윤상원, 김소형, 고승렬  | 한국교통연구원
8,500원  | 20231031  | 9791163844495
이 책은 한국교통연구원의 출퇴근 이동 편의 향상을 위한 광역 급행 철도 경합 광역버스 노선 개편 방향을 다룬 정부간행물입니다.
9791165891459

북한 비핵화를 위한 전략과 추진과제 (KINU 연구총서 23-06)

장철운, 이춘근, 김상범, 김차준, 진활민  | 통일연구원
12,500원  | 20231230  | 9791165891459
이 책은 통일연구원의 북한 비핵화를 위한 전략과 추진과제를 다룬 정부간행물입니다.
9791156544135

취약계층 청소년 지원 정책 진단 및 제도 보완 연구 2 (경제.인문사회연구회 협동연구총서 23-89-01, 연구보고 23-일반06)

김경준, 김영지, 윤철경, 이은주  |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12,000원  | 20231231  | 9791156544135
이 책은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취약계층 청소년 지원 정책 진단 및 제도 보완 연구를 다룬 정부간행물입니다.
9781015347366

Annual Report of the Civil Service Commissioners of Massachusetts; v.23 1905-06

 | Legare Street Press
34,110원  | 20210910  | 9781015347366
This work has been selected by scholars as being culturally important and is part of the knowledge base of civilization as we know it.This work is in the public domain in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nd possibly other nations. Within the United States, you may freely copy and distribute this work, as no entity (individual or corporate) has a copyright on the body of the work.
9780735404588

NNN06 : Next Generation Nucleon Decay and Neutrino and Detectors 2006 Seattle, Washington 21-23 Sept Paperback

Wilkes, Jeffrey R. (EDT)  | Springer
0원  | 20071119  | 9780735404588
NNN06 was the sixth in a series of workshops to discuss experiments that go beyond the reach of current projects, as well as the theoretical work that motivates and describes such advances. New detectors will explore proton decay, a process that lets us probe GUT energy scales. They will also advance our understanding of neutrino physics, including neutrino mass hierarchy, oscillation parameters, CP violation, supernova dynamics, and high energy cosmic neutrino sources. Papers in these Proceedings survey the status of results from current neutrino oscillations and nucleon decay searches, theoretical interpretations of the existing results and the goals for future nucleon decay and neutrino detector, ideas for new massive underground detectors, and very long baseline neutrino oscillation experiments, as well as physics education and outreach programs worldwide.
1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