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일간
|
주간
|
월간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 네이버책
  • 알라딘
  • 교보문고
"dokdo"(으)로 17개의 도서가 검색 되었습니다.
9791192055046

Dokdo (Talking about ‘Dokdo’ in the language of the world)

박덕은  | 서영
16,200원  | 20211203  | 9791192055046
한국어를 포함 88개국의 언어로 독도를 이야기하다 오늘 이 시간에도 독도와 그 역사, 그리고 독도를 사랑하는 한국인들에게 이 시를 헌정합니다
9781624121319

Dokdo (Its History and Facts)

김학준  | 서울셀렉션
30,600원  | 20200201  | 9781624121319
영어로 읽는, 독도 영유권에 관한 정통 연구서 독도는 역사적으로나 국제법적으로나 엄연히 한국의 영토이다. 그러나 일본의 정부와 학자들은 독도가 일본의 영토라고 주장한다. 일본 정부는 거기서 한 걸음 더 나아가 이 문제를 영토분쟁으로 확대시켜 국제사법재판소로 가져가려고 한다. 이러한 배경 아래서 이 책은 독도의 영유권이 한국에 있음을 재확인하고자 기획되었으며, 이에 대한 세계적인 관심을 불러일으키기 위해 영문으로 출간되었다. 이 책은 모두 7개의 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장은 독도의 역사와 지리 및 생태를 소개한다. 제2장은 삼국사기와 삼국유사로부터 시작해 성종실록에 이르기까지 한국의 사서들에 나타난 독도에 대한 인식을 소개한다. 제3장은 조선왕조의 숙종실록을 중심으로 안용복의 대일 담판을 고찰하면서 이 시점에 이미 독도가 조선의 영토로 인식됐음을 설명한다. 제4장은 일본의 메이지 정부가 독도를 울릉도와 더불어 조선의 영토로 인정한 사료들을 분석한다. 제5장은 대한제국이 독도를 울릉군에 편입시켰는데도 일제가 불법적으로 시마네현에 편입시킨 과정을 분석한다. 제6장은 일본의 2차 대전 패전과 동시에 독도가 한국으로 돌아온 과정을 설명한다. 제7장은 전후 일본이 독도를 분쟁 지역으로 만들려는 시도들을 분석한다. 독도를 둘러싼 한일 간의 논쟁이 심화되고 있는 오늘날, 이 책은 한국 측 주장과 일본 측 주장을 대비해 알아보고 일본 측 주장의 허점을 명확하게 드러내고자 한다. 특히 1995년 이후 격화된 한일 간 논쟁을 자세히 살피고 있으며, 한국과 일본의 자료뿐만 아니라 미국의 자료들도 충실히 반영하고 있다. This book was written to confirm Korea’s territorial right over Dokdo. Dokdo is clearly Korean land that rightfully belongs to the Korean people historically and by international law. However, the government and scholars of Japan claim the island as Japanese territory. The Japanese government has attempted to make Dokdo a subject of “legal dispute,” mounting a proposal to take the matter to the International Court of Justice. This book was written in this context to confirm Korea’s territorial right over Dokdo. The book comprises seven chapters. Chapter 1 introduces Dokdo’s history, geography, and ecosystem. Chapter 2 surveys Korea’s official records of Dokdo, from the History of the Three Kingdoms (K. Samguk sagi) and Memorabilia of the Three Kingdoms (K. Samguk yusa) to the Annals of King Seongjong (K. Seongjong sillok), to uncover perceptions of Dokdo found therein. Chapter 3 examines An Yong-bok’s confrontation with Japan as recorded in the Annals of King Sukjong (K. Sukjong sillok), explaining how Dokdo was already perceived as Korean territory at the time. Chapter 4 investigates the Meiji government records that acknowledged Korea’s territorial right over Dokdo and Ulleungdo. Chapter 5 retraces the Joseon government’s incorporation of Dokdo into Ulleung-gun County, which was followed by the Japanese government’s illegal incorporation of the island in Shimane Prefecture. Chapter 6 sheds light on the restoration of Dokdo to Korea following Japan’s defeat in WWII. Chapter 7 analyzes how, upon regaining its sovereignty, Japan has attempted to make Dokdo a subject of “legal dispute.”
9788961871723

DOKDO (A KOREA ISLAND REDISCOVERED)

LI JIN MIEUNG  | 동북아역사재단
24,300원  | 20110308  | 9788961871723
9791191438895

Dokdo 1947 (The Postwar Dokdo Issue and Tripartite Relations between Korea, the US, and Japan)

정병준  | 돌베개
36,000원  | 20221111  | 9791191438895
2011년 문화체육관광부 우수학술도서 선정 제36회 월봉저작상 수상 『독도 1947』 영문판 출간! "한국 근현대사 역사학자 정병준 교수가 수년간 심혈을 기울여 집필한 독도문제 종합연구서. 제2차 세계대전 이후 한·미·일의 독도 인식과 정책이 언제 시작되었으며, 샌프란시스코평화조약을 거쳐 어떻게 귀결되었는지 다루고 있다. 독도문제를 한·미·일 3국 관계에 무게중심을 놓고 바라볼 것과 국제정치적 지역문제로 바라보아야 함을 설득력 있게 주장하고 있다. " _인문사회과학출판인협의회(인사회) 2010년 돌베개에서 출간되어 2011년 문화체육관광부 우수학술도서로 선정되고 제36회 월봉저작상을 수상한 『독도 1947: 전후 독도문제와 한ㆍ미ㆍ일 관계』의 영문판이다. 『독도 1947』은 전후 독도문제를 가장 체계적이고 종합적으로 다룬 연구서로, 그간의 독도연구를 총결산할 뿐 아니라 저자 정병준 교수가 새롭게 발굴한 영국 조약 초안 첨부 지도의 역사적·국제정치학적 의미까지 포괄적으로 다루고 있는 만큼 내용이나 분량 또한 방대하다. 새로이 출간된 영문판은 1천 쪽이 넘는 기존 도서를, 영어 독자들이 읽기 편하도록 9장에서 7장 600쪽가량으로 편집, 축약한 것이다.
9791130321226

독도(Dokdo) 다시 술하다

최홍배  | 박영사
17,000원  | 20240923  | 9791130321226
독도는 우리 민족의 역사와 문화, 그리고 주권의 상징으로서 그 중요성이 날로 부각되고 있다. 독도 문제는 단순한 영토 분쟁을 넘어 동북아시아의 국제 정세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최근의 국제 정세와 일본의 움직임, 그리고 이에 대한 한국의 대응을 심층적으로 분석하여 독도 문제가 현대 사회에서 가지는 시사성을 강조하였다. 독도가 왜 중요한지, 그리고 우리가 왜 독도를 지켜야 하는지를 명확하게 설명하고 있다.
9791171611416

Dokdo: Then and Now (Then and Now)

JUNG Hai-ung, YOO Mi-rim, HYUN Dae-song, KOO Heejin  | 동북아역사재단
13,500원  | 20241125  | 9791171611416
이 책은 외국인이 독도를 쉽게 종합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줄 수 있는 영문 책자로서, 책의 내용은 크게 독도의 현황, 역사 속에 나타난 독도, 영토 문제에 관한 국제법으로 구성되어 있다. 외국인을 주된 독자로 상정하여 집필한 책이기 때문에 충분히 분석되고 검증된 역사적 사건과 사료를 간추려서 객관적으로 소개하고, 국제법 부문에서도 독도 영유권과 관련될 수 있는 국제법 원칙을 국제 판례에 나타난 법리를 중심으로 소개하였다. 기존의 독도 관련 영문서적들은 지나치게 전문적이거나, 한국의 영유권 주장을 전면에 내세워 강조하는 내용 위주였다고 한다며, 『Dokdo - Then and Now』 는 ‘독도를 쉽게 종합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하는데 주안점을 두고 있어, 한국의 아름다운 섬, 독도를 국제사회에 차분하게 널리 알리는 좋은 길잡이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9791188154876

DOKDO 생태로 읽는 독도 이야기

국립생태원  | 국립생태원
10,800원  | 20180815  | 9791188154876
대한민국 ‘특정도서 제1호’ 독도 30년 역사의 전국자연환경조사 수행기관인 국립생태원 연구원들이 들려주는 생생한 독도 이야기 * 《NIE ECO SPECIAL》은 국립생태원이 생태 조사와 연구를 해온 지역이나 대상 중 특별한 의미를 지닌 주제를 선정해 독자들에게 알기 쉽게 소개하는 특별기획 시리즈입니다. * [생태로 읽는 독도 이야기]는 시리즈의 첫 번째 도서로 대한민국 특정도서 제1호로 지정된 국토 최동단 독도를 주제로 다뤘습니다. * [생태로 읽는 독도 이야기]는 국립생태원 연구원들과 외부 조사원들이 직접 독도를 조사하며 얻은 정보와 사진들을 책에 가득히 담아 독자들이 몰랐던 독도 생태의 비밀을 소개합니다. * 지형, 식물, 조류, 곤충, 무척추동물, 해조류, 어류 심지어 포유류까지 외로운 섬 인줄만 알았던 독도에는 많은 생물들이 살며 더 이상 독도가 외롭지 않다는 사실을 담았습니다. * 특히 독도 조사 현장에서 찍은 동식물 사진 약 100여장을 큰 이미지로 첨부하고, 다양한 일러스트와 카툰 등을 곳곳에 수록하여 독자들에게 잡지를 읽는 것 같은 기분을 선사하도록 구성했습니다. * 독도에 관한 생태적인 사실 외에도 개요, 독도 관련 역사적 사실, 관련된 인물·단체까지 대한민국과 연결 고리를 이어주는 다양한 독도 관련 내용들을 수록했습니다.
9791171611782

Korea’s Sovereignty over Dokdo

도시환  | 동북아역사재단
21,600원  | 20241231  | 9791171611782
한국의 독도 주권에 대한 일제식민주의 침탈의 국제법 법리 왜곡 규명 독도는 역사적·지리적·국제법적으로 명백한 한국의 영토이다. 아울러 독도는 일본의 한국 침탈의 첫 희생물이자, 광복과 함께 완전한 영토주권 회복의 상징이다. 그러나 한국 영토주권의 상징인 독도에 대한 1905년 일본제국주의의 침탈 도발은 120년이 지난 현시점까지도 여전히 현재진행형이다. 그것은 전후 청산의 기본원칙에 대한 위반임과 동시에 동북아평화공동체 구축에 역행한다는 점에서 문제의 심각성이 존재한다. 그러한 문제의식 하에 이 책은 일본 정부가 국제법을 동원하여 제기하는 독도 영유권 주장의 국제법 법리 왜곡의 본질적 문제점을 깊게 들여다보고 있다. 또한, 이를 통해 일본 정부 주장의 정책적 토대를 구축해 온 일본 국제법학회의 국제법 권원 연구에 내재된 일제 식민주의와, 1943년 한국의 독립을 최초 천명한 카이로선언 상의 ‘폭력과 탐욕’이 본질적 실체로서 일치할 뿐만 아니라, 국제법 법리 왜곡으로 귀결되는 문제점을 추적하여 규명하고 있다.
9788995841181

SYMPHONY DOKDO

박준상  | Shoot bud edition
32,400원  | 20100301  | 9788995841181
『SYMPHONY DOKDO』는 박준상 작곡 교향곡 '독도' 악보집으로, 독도교향악단이 비엔나에서의 창단연주회를 위하여 위촉한 작품이다. 총 4악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한국의 지도를 음악의 샘 여림 표인 'p'를 이용하여 그래픽으로 그렸다.
9791159829949

10 issues of Dokdo (독도가 대한민국 영토인 10가지 이유)

최승아  | 좋은땅
0원  | 20170821  | 9791159829949
이 책의 저자들은 평소 우리나라가 처한 외교적, 역사적 문제에 관심을 두고 지속적으로 인상적인 탐구 활동을 해왔다. 특히 일본 외무성 홈페이지 자료에 독도가 일본 땅인 이유 10가지가 올라와 있다는 사실에 큰 충격을 받고, 문제의식을 일깨우고 경각심을 고취시키기 위해 《10 issues of Dokdo》의 집필을 결심했다. 저자들은 일본의 10가지 주장에 대해 반박하기 위한 사실적이고 정확한 근거를 모았다. 《10 issues of Dokdo》는 일본의 주장과 충분히 맞대결할 만한 책이다.
9791195819034

돌섬, 바다의 노래 (Dokdo, the Isle of Rocky Waves)

주민정  | 케플러49
34,200원  | 20221025  | 9791195819034
한국의 동쪽 가장 끝에 위치한 작은 돌섬 독도에는 수많은 생명이 숨쉬고 있습니다. 돌섬 독도는 투박해 보이지만 생명들이 서식할 수 있는 터전이 되어줍니다. 이 팝업책은 살아숨쉬는 독도의 모습을 따뜻한 그림과 글귀로 생동감있게 담았습니다.
9788970321776

A PURSUIT OF TRUTH (독도문제의 진실) (in the Dokdo Island Issue)

김영구  | 법영사
35,640원  | 20030901  | 9788970321776
9788962970081

Insight into Dokdo 독도, 살가운 한국땅 (독도, 살가운 한국땅)

Park Hyun-jin  | 지문당
26,100원  | 20090415  | 9788962970081
‘Insight into Dokdo,’ book analyzing the conflicting positions of Korea and Japan regarding Dokdo, a small island in the East Sea (Sea of Japan), from historical, political and international law perspectives. The authors all share the view that Korea's claims are much stronger than Japan's. They note that Korea's position will be further strengthened as the amount of historical and legal evidence in Korea's favor will only increase over time. ‘Insight into Dokdo’ is also motivated to push the Korean government toward a more proactive response to Japanese challenge. The official Seoul policy has been until recently what is called “keep-quiet diplomacy.” Seoul refrained from actively promoting Korea's sovereignty over Dokdo under the belief that active campaigns would only cause the issue to develop into an overt international conflict. The authors stress that Seoul should begin a determined campaign to rally support from the international community. Some of the authors are particularly critical of Seoul's stance on the fisheries accord between Korea and Japan. They note that Japan became more aggressive over the islets following the conclusion of the fisheries agreement in 1998. These scholars call for an outright abolition of this accord since it is fundamentally flawed. They point to the arrangement which puts Dokdo in an “intermediate fisheries zone,” giving room for Japan to challenge Korea's exclusive right to Dokdo. We believe this argument deserves a more serious examination. ‘Insight into Dokdo’ is also intended to make up for the dearth of foreign-language books which cover the complicated aspects of the Dokdo issue more extensively than available pamphlets.
9788996998440

Dokdo Guest House Desgin Competition 2012

고성도서유통 편집부  | 고성도서유통
0원  | 20130310  | 9788996998440
『Dokdo Guest House Desgin Competition 2012』는 독도를 소재로 한 책으로, 자연환경 및 생태환경을 보존하고 훼손치 않으며 생태환경과 함께 지속가능한 건축을 위한 공간 컨셉을 찾고자 구성한 책이다. 생태계 사이클과 인간의 라이프스타일, 행동방식, 사고방식 등에 대한 탐색을 통해 친환경적 지속가능한 건축이 가져야할 덕목을 유추하며, 이를 통해 건축이 나아가야 할 방향성을 제시한다.
9788961875639

Seeing Dokdo Through 30 Images and Historical Documents (Seeing Dokdo Throuth 30 Images and Historical Documents)

동북아역사재단  | 동북아역사재단
6,300원  | 20201205  | 9788961875639
이 책은 외국어로 쓰여져 있습니다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