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범계열 > 교과교육론 > 교과교육론/기타 전공
· ISBN : 5000091086
· 쪽수 : 242쪽
· 출판일 : 1998-08-30
목차
제1장 실기교육의 성격 = 9
1. 실기교육의 개념 = 9
(1) 직업교육 = 10
(2) 실업교육 = 10
(3) 기술교육 = 10
(4) 실과교육 = 11
2. 실기교육의 중요성 및 개선 방향 = 11
3. 실기교사의 기능과 역할 = 13
(1) 전공 기술분야의 능력 = 14
(2) 교수 방법적 능력 = 14
(3) 사회 심리학적 능력 = 15
제2장 교수·학습의 개념과 원리 = 17
1. 교수·학습의 개념 = 17
(1) 교수 = 17
(2) 학습 = 18
(3) 교수와 학습의 관계 = 20
2. 교수·학습의 원리 = 21
(1) 자발성의 원리 = 21
(2) 개별화의 원리 = 22
(3) 사회화의 원리 = 23
(4) 통합화의 원리 = 24
(5) 목적의 원리 = 25
제3장 학습 이론 = 27
1. 행동주의 학습이론 = 28
(1) 고전적 조건 형성 = 29
(2) 작동적 조건 형성 = 33
(3) 시행착오설 = 37
(4) 관찰학습 = 38
2. 인지학습 이론 = 39
(1) 통찰설 = 39
(2) 장이론 = 41
(3) 정보처리 이론 = 42
제4장 교수이론 = 45
1. Bruner의 교수 이론 = 46
(1) 학습 의욕 = 46
(2) 지식의 구조 = 47
(3) 학습 계열 = 47
(4) 강화 = 48
2. Caroll의 학교 학습 모형 = 49
(1) 수업 변인 = 50
(2) 학습자 변인 = 50
3. Gagn 의 학습 모형 = 52
(1) 신호 학습 = 53
(2) 자극 반응 학습 = 53
(3) 연쇄 학습 = 54
(4) 언어연합 학습 = 54
(5) 중다변별 학습 = 55
(6) 개념 학습 = 55
(7) 원리 학습 = 55
(8) 문제 해결 학습 = 56
4. Glaser의 학습 모형 = 61
(1) 수업 목표 = 62
(2) 출발점 행동 = 62
(3) 수업 절차 = 63
(4) 성취도 평가 = 63
(5) 피드백 = 63
5. Bloom의 완전학습 모형 = 64
(1) 수업 전 단계 = 65
(2) 수업 활동 = 65
(3) 수업 후 단계 = 67
6. 한국교육개발원의 수업 모형 = 67
제5장 교수·학습 방법의 유형 = 71
1. 강의법 = 71
(1) 강의법의 장점 = 71
(2) 강의법의 단점 = 72
(3) 강의법이 갖추어야 할 요건 = 72
(4) 강의법의 필수기능 = 73
2. 문답법 = 74
(1) 문답법의 장점 = 74
(2) 문답법의 단점 = 74
(3) 질문의 유형 = 75
(4) 문답법이 갖추어야 할 요건 = 78
3. 토의법 = 79
(1) 토의법의 교육적 효과 = 79
(2) 토의법의 유형 = 79
(3) 토의법의 장점 = 81
(4) 토의법의 단점 = 81
(5) 토의법으로 수업 진행시 유의점 = 81
4. 문제해결법 = 82
5. 구안법 = 83
(1) 구안법의 장점 = 84
(2) 구안법의 단점 = 84
6. 협동학습 = 85
7. Buzz학습 = 86
(1) Buzz 학습의 장점 = 87
(2) Buzz 학습의 단점 = 87
8. 팀 티칭 = 87
(1) 팀 티칭의 장점 = 88
(2) 팀 티칭의 단점 = 88
9. 발견학습 = 89
(1) 발견 학습의 장점 = 90
(2) 발견 학습의 단점 = 90
10. 모의학습법 = 91
(1) 모의 학습법의 장점 = 91
(2) 모의 학습법의 형태 = 92
11. 브레인스토밍 = 94
12. 열린교육 = 95
(1) 열린교육의 필요성 = 95
(2) 열린교육의 방법 = 96
(3) 초등학교 열린교육의 사례 = 98
(4) 중학교 열린교육의 사례 = 100
(5) 고등학교 열린교육의 사례 = 102
제6장 교수·학습 지도의 계획과 실제 = 107
1. 교수·학습 지도 계획의 의의 = 107
2. 교수·학습 지도의 단계와 주요 활동 = 108
(1) 도입 단계의 성격과 주요 활동 = 109
(2) 전개 단계의 성격과 주요 활동 = 112
(3) 정리 단계의 성격과 주요 활동 = 116
3. 수업목표 설정 = 118
(1) 수업목표의 추출 = 118
(2) 수업목표의 진술 = 119
4. 학습내용의 선정과 조직 = 120
(1) 학습자의 출발점 행동의 진단 = 120
(2) 학습과제의 분석 = 121
(3) 적절한 수업 방법의 선정 = 121
(4) 수업 매체의 선정 = 122
5. 학습 지도안의 작성 = 123
(1) 학습 지도안 작성의 필요성 = 123
(2) 학습 지도안 작성 방법 = 125
제7장 실기지도의 교수매체 = 153
1. 교수매체의 선택 = 153
(1) 수업 상황 = 154
(2) 학습 과제의 유형 = 154
(3) 매체의 속성 = 154
(4) 학습자의 요인 = 155
(5) 교사 요인 = 155
(6) 수업 장소 = 155
2. 교수매체의 종류 = 156
(1) 실물 환등기 = 156
(2) OHP = 158
(3) 슬라이드 = 162
(4) 녹음 카세트 = 165
(5) 비디오와 TV = 167
(6) 컴퓨터와 멀티미디어 = 171
제8장 현장실습 교육과 산학협동 = 189
1. 실험·실습 = 189
(1) 실험·실습의 개념과 목적 = 189
(2) 실험·실습에서의 교육방법 = 190
2. 현장실습 교육 = 193
(1) 현장실습 교육의 개념과 의의 = 193
(2) 현장실습 교육의 유형과 특성 = 194
3. 산학협동 교육 = 199
(1) 산학협동 교육의 개념 = 199
(2) 산학협동 교육의 필요성 = 200
참고문헌 = 204
부록 = 207
1. 실기교사 자격 취득 관련 규정 = 209
2. 자격증 관리 = 216
3. 국가 기술 자격증의 종류 = 2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