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어문학계열 > 국어국문학 > 국문학사/국문학개론
· ISBN : 9791173962097
· 쪽수 : 588쪽
· 출판일 : 2025-10-27
책 소개
작문 능력 신장에서 전문가가 관여하는 학습 과정과 연습 과정이 필요한 이유는 작문 능력이 고차원적인 사고 기능, 복합적인 사고 기능과 관련되어 있기 때문이다. 고차원의 사고 기능, 복합적인 사고 기능을 학생들의 학습이 가능한 수준으로 적절하게 분해하고 조직한 교육과정을 올바로 이해하고 다룰 줄 아는 국어 교사의 교육 활동을 따를 때 학생들은 체계적이면서도 효과적으로 작문 능력을 기를 수 있다. 작문 기능이나 전략을 지도하기 위해 마련된 현시적 지도에서는 이러한 전문가로서의 국어 교사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작문의 이러한 특성은 듣기나 말하기와 같은 음성언어와 가장 큰 차이를 보이는 지점이기도 하다. 앞에서도 언급한 것처럼, 듣기나 말하기는 가정에서 학습이나 연습의 고통 없이 자연스럽게 통달할 수 있지만, 글쓰기는 학습 과정을 거쳐야 할 줄 알게 되고 연습 과정을 거쳐야 능숙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는 독서 능력도 마찬가지이다. 책이 많은 집에서 산다고 해서, 종이와 연필이 여기저기 놓여 있는 곳에 머문다고 해서 자연스럽게 읽기 능력이나 쓰기 능력을 터득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만약 그럴 수 있다면, 읽고 쓰는 것을 배우기 힘들어 하는 사람은 아마도 없었을 것이다. 글을 읽을 줄도 쓸 줄도 모른 채로 평생을 답답하게 살아가는 성인 비문해자가 있다는 사실은 독서 능력이나 작문 능력을 그렇게 얻을 수는 없다는 점을 잘 보여준다.
목차
제1부 작문 교육의 이론적 근거
제1장 작문 교육의 필요성과 방향
1. 작문 교육이 필요한 이유
2. 글을 잘 쓰기 위한 원리
3. 작문의 기능 및 특성
제2장 작문 이론의 전개
1. 형식주의 작문 이론의 전개 과정
2. 인지주의 작문 이론의 전개 과정
3. 사회구성주의 작문 이론의 전개 과정
4. 표현주의 작문 이론의 전개 과정
5. 대화주의 작문 이론의 전개 과정
제3장 작문 능력의 인지적 요인
1. 작문 지식
2. 작문 기능 및 전략
3. 상위인지 전략
제4장 작문의 정의적 요인
1. 정의적 요인이 중요한 이유
2. 정의적 요인에 관심이 적었던 이유
3. 쓰기 동기
4. 쓰기 효능감
5. 쓰기 불안
6. 쓰기 윤리
제5장 작문 능력의 발달
1. 기초 문해력으로서의 작문 발달
2. 고등 사고력으로서의 작문 발달
제2부 작문 교육의 실천적 방법
제6장 작문 과정과 전략
1. 작문의 과정과 특성
2. 작문의 인지 과정 모형
3. 작문 과정에 따른 전략
제7장 작문 교육과정
1. 교수요목기
2. 제1차~제3차 국어과 교육과정
3. 제4차 국어과 교육과정
4. 제5차~제7차 국어과 교육과정
5. 2007~2015 국어과 교육과정
6. 2022 국어과 교육과정
제8장 작문 교과서
1. 단원 조직 방식
2. 대단원 구성 방식
3. 소단원 구성 방식
4. 쓰기 이론?전략의 교과서 적용 실제
5. 작문 교과서 재구성 방안
제9장 작문 교수?학습
1. 작문 교수?학습의 개념
2. 다양한 작문 교수?학습 방법
제10장 작문 평가의 이해와 실제
1. 작문 평가의 이론
2. 작문 평가의 타당도와 신뢰도
3. 작문 평가의 방법
4. 작문 과제의 개발
5. 작문 평가의 채점과 피드백
제3부 작문 교육의 실제와 전망
제11장 정보를 전달하는 글 쓰기
1. 정보를 전달하는 글 쓰기의 본질
2. 정보를 전달하는 글 쓰기의 방법
3. 정보를 전달하는 글 쓰기의 실제
제12장 설득하는 글 쓰기
1. 설득하는 글 쓰기의 본질
2. 설득하는 글 쓰기와 논증 구성
3. 설득하는 글 쓰기의 실제
제13장 정서 표현 및 자기 성찰 글 쓰기
1. 정서 표현 및 자기 성찰 글 쓰기의 본질
2. 정서 표현 및 자기 성찰 글 쓰기의 방법
3. 정서 표현 및 자기 성찰 글 쓰기의 실제
제14장 작문 교육의 확장: 디지털 글쓰기
1. 작문 환경의 변화와 디지털 글쓰기
2. 디지털 글쓰기의 과정과 지도 방안
3. 생성형 인공지능과 글쓰기의 변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