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미술이론과 현장 제2호 (2004)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미술 > 미술비평/이론
· ISBN : 6000134525
· 쪽수 : 220쪽
· 출판일 : 2004-12-29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미술 > 미술비평/이론
· ISBN : 6000134525
· 쪽수 : 220쪽
· 출판일 : 2004-12-29
책 소개
미술계의 현황 및 문제를 돌아보았다. 장동광은 현대미술에서 복제의 개념과 전시규범을 돌아보며 '복사물과 원작'의 경계를 살펴보고, 전시문화의 대안을 모색하며, 박영택은 영상 이미지 때문에 위기를 맞은 회화의 현실과 탈신체화 시대의 대안적 역할을 살핀다.
목차
회화의 위기, 회화의 대안 / 박영택
라우센버그와 게임하기 - <리버스> 다시 읽기 / 이지은
미술가와 역사 - 미술사 교육의 한계와 전망 / 조은정
국내 서양미술사, 서양미술이론 연구 장에 관한 연구 / 심상용
미술잡지 저널리즘의 형성과 기능 / 안인기
미술관의 해석과 소통의 모색 / 김은영
현대미술에 있어서 '복제'의 개념과 전시규범의 문제 / 장동광
- <살바도르 달리 탄생 100주년 특별전>의 전시물 <성경> 연작을 중심으로
전시론
미술관 블록버스터 전시의 상업주의적 경향 연구 / 황경자
원고 제출에 대한 안내문
학회소식
회원동정
입회원서
저자소개
책속에서
판화가 회화가 지닌 유일성의 신화에 도전하여 복수제작이라는 방식을 통해 예술의 대중화 내지는 소유욕망의 민주화를 추구했다면, 사진은 전통적 의미에서의 '재현(Representation)'의 문제를 카메라라고 하는 테그놀러지를 통해 새롭게 구현해냄으로써 현실의 모방에 관한 미술의 수공적 존재방식을 이전과는 다른 양상으로 전개시켜온 것이다.
이로 인해 미술작품에 있어서 원작성(진품성)에 관한 진위 여부는 물론 복수제작된 판화작품이나 사진의 오리지널리티 문제까지도 고려의 대상으로 삼지 않으면 안 되게 된 것이다. 특히 앙드레 말로 같은 이는 사진의 복제적 가치에 주목하면서 수 백 점의 예술복제품의 이미지로 채워진 '상상의 미술관', 즉 벽 없는 미술관 개념을 제시한 바 있다. - 본문 170쪽 중에서
추천도서
분야의 베스트셀러 >
분야의 신간도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