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미술사와 시각문화 제11호

미술사와 시각문화 제11호

(2012)

미술사와 시각문화학회 (엮은이)
사회평론
18,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1개 11,0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미술사와 시각문화 제11호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미술사와 시각문화 제11호 (2012)
· 분류 : 국내도서 > 잡지 > 대중문화/예술
· ISBN : 6000602806
· 쪽수 : 296쪽
· 출판일 : 2012-10-15

책 소개

미술사와 시각문화학회에서 펴내는 연간지. 이번 호에서는 고전기 그리스 미술, 중세·르네상스 이후 이탈리아와 북유럽 미술, 20세기 현대 추상미술을 거치며 신성은 무엇을 매개로 표현될 수 있는지를 조망한다.

목차

김혜진
고전기 아티카 예술에서의 신성의 시각화: 신과 신상, 인간의 이미지 8

정은진
성스러운 유방: 14세기 이탈리아의 ‘수유하는 마리아(Maria Lactans)’ 38

신준형
예수의 몸, 성모의 몸, 언약의 궤: 틸만 리멘쉬나이더의 성모승천 제단조각 56

윤희경
칸딘스키 미술에서 정신의 종교적 의미와 그 재현의 미학 80

김현화
하이퍼리얼리즘, 20세기의 눈속임(Trompe-l'oeil): “나는 너의 거울이 될 거야” 106

오다연
이암(李巖)의 가응도(架鷹圖): 해청도의 전통과 새로운 상징 136

조규희
명종의 친정체제(親政體制) 강화와 회화(繪畵) 170

이경화
정선(鄭?)의 《신묘년풍악도첩(辛卯年楓嶽圖帖)》: 1711년 금강산 여행과 진경산수화의 형성 192

구하원
또 다른 타자(他者) 읽기: 남아시아 근현대 미술의 이해 226

장진성
조선 중기 회화와 광태사학파 250

저자소개

미술사와 시각문화학회 (엮은이)    정보 더보기
김행지 2001년 서울대학교 소비자학과를 졸업하였으며 이후 2005년 독일 쾰른대학교에서 미술사학 학·석사 통합과정을 졸업하였고 2009년 뮌헨의 루드비히?막시밀리안 대학교에서 미술사학으로 철학박사학위를 받았다. 2010년 1월부터 서울대학교미술관(MoA)에서 선임학예연구사로 재직하고 있으며 서울대학교에서 강의도 하고 있다. 정은진 2006년 이화여자대학교 미술사학과에서 “12-15세기 <성모대관>에 관한 연구”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현재 서울대학교 고고미술사학과에서 박사 후 연구원으로 있으며, 서강대학교와 이화여자대학교에서 강의하고 있다. 역서로는 『베네치아 미술』, 『미켈란젤로』 등이 있으며, 최근 논문으로는 「14세기 시에나 시청사의 벽화들」, 「15세기 태피스트리의 새로움」 등이 있다. 유재빈 서울대학교 고고미술사학과 박사과정을 수료하였다. 조선시대 정조 연간의 궁중회화에 대한 논문을 준비 중이다. 논문으로는 「추모의 정치성과 재현: 정조의 단종 사적 정비와 《월중도(越中圖)》」(2008), 「정조대 어진과 신하초상의 제작: 초상화를 통한 군신관계의 고찰」(2011) 등이 있다. 정명희 국립중앙박물관 학예연구사. 2008년 홍익대학교 미술사학과 박사과정을 수료했다. 불교미술사 전공. 저서로 『불교미술, 상징과 염원의 세계』(공저), 논문으로는 「조선후기 괘불의 도상 연구」, 「의식집과 괘불의 도상적 변용」, 「17세기 후반 동화사 불화승 의균 연구」, 「봉안공간과 의례의 관점에서 본 조선시대 현왕도 연구」, 「의식, 관상, 환영: 기능적 측면에서 본 고려불화」 등이 있다. 강희정 서강대학교 동아연구소 HK교수. 서울대학교 고고미술사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불교미술 전공. 『불교미술, 상징과 염원의 세계』(2007), 『동아시아 구법승과 인도의 불교유적』(2009), 『외부세계와 동남아』(2011), 『동남아시아의 박물관』(2011) 등의 공저와 「5-6세기 중국의 〈항마〉 서사와 성도의 이해」, 「6세기 푸난과 산동의 사르나트 양식불상」, 「푸난 불교조각의 연원과 전개」 등의 논문이 있다. 김연미 오하이오 주립대(The Ohio State University) 미술사학과 조교수. 서울대학교 고고미술사학과에서 학사 학위를 받고 미술사 석사과정을 수료한 뒤, 2010년에 하버드대학교(Harvard University)에서 미술사학으로 철학박사학위를 받았다. 졸업 후 일 년간 예일대학교(Yale University)에 포스트닥으로 소속되어 학부 세미나를 강의하고, 2011년 8월부터 오하이오 주립대에서 일하고 있다. 이주형 서울대학교 고고미술사학과 교수. 미국 버클리대학 미술사학과에서 인도미술과 불교미술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간다라미술〉(2003), 〈인도의 불교미술〉(2006), 〈동아시아 구법승과 인도의 불교유적〉(공저, 2009) 등의 저서가 있다. 주경미 서울대학교 고고미술사학과에서 동양미술사(공예사)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현재 서울대학교와 인제대학교에 강의를 나가며, 논저로는 「중국고대 불사리장엄 연구」, 「동양미술사 상 중국편」(공저) 등이 있다. 윤희경 서울대학교 생물교육학과를 졸업하였으며 이후 독일 마르부르크의 필립스대학교에서 미술사학 학·석사 통합과정을 졸업하였고 프랑크푸르트의 괴테대학교에서 미술사학으로 철학박사학위를 받았다. 2008년에는 뉴욕에 머물며 컬럼비아대학교에서 객원연구원으로 연구하였다. 이후 서울대학교, 연세대학교, 고려대학교 등 여러 학교에서 강의하고 있다. 김현화 프랑스 파리1대학에서 미술사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숙명여자대학교대학원 미술사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며, 서양미술사학회장으로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그리스적 사고에서 ‘보는 것’은 곧 ‘아는 것’이었다. 그리스인들에게 보이지 않는 존재를 명시적이고 구체적인 형상으로 시각화하는 것은 곧 그것의 실재를 확신하는 데 필수불가결한 사안이었다. 그리스인들에게 상(image)은 시공간적으로 부재한 존재를 대체하고, 그 부재한 존재와의 지속적인 교류의 창구로 기능했다.


마리아의 몸에서 나온 거룩한 우유를 먹는 그리스도는 잔이 된다. 모든 성모자상이 그러하듯 수유하는 마리아에서도 가장 중요한 것은 아기 예수이다. 아기 예수는 성부가 짠 젖을 먹는 주체이자, 거룩한 우유이기도 하다. 예수가 육화된 말씀이듯이 거룩한 우유는 신자들에게 영적 양분이 되는 말씀의 메타포이기도 하다.


오늘날과 달리 중세 르네상스 시대에는 몸에 대한 직접적인 비유가 당혹스럽거나 노골적인 것으로 생각되지 않았다. 성모의 처녀성을 칭송하는 성가에 얼마나 많은 “직접적”인 표현이 등장하는지를 보면 현대인들의 감성으로는 무척 놀라는 경우도 많다. 여기에 적용되는 논리는 다음과 같다. 예수의 몸은 구약 시대 언약의 석판에 대응하는 신약 시대의 표상이다. 그렇다면 예수의 몸을 열 달 동안 잉태했던 성모의 몸은, 구약 시대에 언약의 석판을 담았던 언약의 궤에 상응한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