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군사학
· ISBN : 9788918031774
· 쪽수 : 484쪽
· 출판일 : 2011-08-31
책 소개
목차
제1부 총론:안보 개념과 연구동향
제1장 국가의 불안
제1절 안보 개념
제2절 위협과 안보
제3절 이익과 안보
제4절 취약성과 안보
제2장 안보연구 동향
제1절 국제관계 이론과 안보 대안
제2절 전략연구, 평화연구, 안보연구
제3절 안보연구의 확대 경향
제4절 안보연구 분석 수준과 저술 경향
제2부 국가와 부문별 안보
제3장 국가의 기원, 성격, 구성, 형태
제1절 근대 국가의 성립과 발전
제2절 국가의 성격
제3절 국가의 구성요소와 국가안보
제4절 국가의 형태와 국가안보
제4장 국 력
제1절 국력의 구성요소
제2절 국력의 분석
제3절 다양한 힘의 개념
제5장 부문별 안보
개 요
제1절 군사안보
제2절 사회안보
제3절 경제안보
제4절 정치안보
제3부 취약성 감소와 국가안보
제6장 자주국방
제1절 자주국방의 개념
제2절 군사력의 구성요소
제3절 군사력의 역할과 기능
제4절 군사력 평가
제5절 한국의 자주국방
제7장 동 맹
제1절 동맹의 개념
제2절 동맹의 흥망성쇠
제3절 동맹의 딜레마
제4절 한미동맹
제8장 세력균형
제1절 세력균형
제2절 세력균형과 관련된 정책
제3절 세력균형 이론과 관련 이론
제4절 세력균형 이론의 편견
제4부 위협 감소와 국가안보
제9장 집단안보
제1절 집단안보의 성장과 발전
제2절 집단안보, 집단방위, 세력균형
제3절 집단안보의 현실
제4절 유엔 안보리 개혁
제5절 한국과 유엔
제10장 군비통제
제1절 군비통제의 개념
제2절 군비통제 절차
제3절 군비통제의 기능과 한계
제4절 군비통제 사례
제5절 한반도 군비통제
제11장 통 합
제1절 통합의 개념
제2절 연합 사례
제3절 통일 사례: 베트남·예멘·독일
제4절 한반도 통합
제5부 위협 및 취약성 감소와 국가안보
제12장 다자안보협력
제1절 공동안보
제2절 협력안보
제3절 다자안보협력레짐
제4절 동아시아의 다자안보협력 노력
제13장 국제사회의 평화활동
제1절 평화활동의 개념
제2절 다자적 군사력 사용에 대한 논쟁
제3절 세계의 평화활동
제4절 한국의 평화활동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