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한국방송통신대학교 > 사회과학대학 > 행정학과 > 2학년
· ISBN : 9788920044892
· 쪽수 : 428쪽
· 출판일 : 2023-01-25
목차
제1장 행정통제의 의의
1.1 들어가며
1.2 행정통제의 개념
1.3 행정통제의 필요성
1.4 정보화 사회의 진전과 행정통제
제2장 공직윤리와 의미와 다양성
2.1 들어가며
2.2 공직윤리의 철학적 기초
2.3 공직윤리의 의미
2.4 공직윤리의 다양한 속성
제3장 행정윤리의 관리
3.1 들어가며
3.2 신뢰적자와 윤리적 정부
3.3 공직윤리관리의 필요성
3.4 윤리강령
3.5 윤리법
3.6 윤리관리와 이해충돌의 방지
제4장 행정통제의 기준: 행정이념
4.1 들어가며
4.2 행정이념의 주요 내용
제5장 행정책임과 보장방법
5.1 들어가며
5.2 행정책임의 의의
5.3 행정책임의 유형
5.4 행정책임의 유형 논쟁
5.5 행정책임의 기준
5.6 행정책임의 보장방법
제6장 외부적·직접적 행정통제
6.1 들어가며
6.2 입법부에 의한 행정통제
6.3 사법부에 의한 행정통제
6.4 헌법재판소에 의한 행정통제
6.5 옴부즈맨에 의한 행정통제
제7장 외부적·간접적 행정통제
7.1 들어가며
7.2 선거에 의한 행정통제
7.3 이익집단에 의한 행정통제
7.4 시민단체에 의한 행정통제
7.5 매스컴과 여론에 의한 행정통제
7.6 주민참여에 의한 행정통제
제8장 내부적·직접적 행정통제
8.1 들어가며
8.2 감사원에 의한 행정통제
8.3 검찰에 의한 행정통제
8.4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에 의한 행정통제
8.5 국민권익위원회에 의한 행정통제
8.6 공직자윤리위원회에 의한 행정통제
8.7 국무총리에 의한 행정통제
8.8 행정감사
제9장 내부적·간접적 행정통제
9.1 들어가며
9.2 공직윤리관리를 통한 행정통제
9.3 내부고발자 보호를 통한 행정통제
제10장 행정통제와 공직부패
10.1 들어가며
10.2 공직부패의 통제 필요성과 발생원인
10.3 공직부패의 접근방법과 유형
10.4 공직부패의 순기능과 역기능
10.5 공직부패의 측정
10.6 공직부패 대응방안
10.7 역대 정부의 공직부패 방지 노력
제11장 행정통제와 감사기구
11.1 들어가며
11.2 감사와 감사기구
11.3 감사기구의 형태: 독임제와 합의제
11.4 우리나라의 합의제 감사기구 활용 사례
11.5 외국의 감사기구
제12장 행정통제와 시민단체
12.1 들어가며
12.2 시민단체
12.3 행정통제와 시민단체의 역할
12.4 시민단체의 행정통제 활성화 방향
제13장 외국의 행정통제와 부패방지: 싱가포르
13.1 들어가며
13.2 싱가포르 부패방지제도의 역사
13.3 싱가포르의 부패방지제도
13.4 싱가포르 부패방지정책의 특징
13.5 우리나라에의 시사점
제14장 행정책임 확보와 행정개혁
14.1 들어가며
14.2 행정개혁의 개념
14.3 행정개혁의 과정
14.4 행정개혁의 촉진요인
14.5 행정개혁의 접근방법
14.6 행정개혁과 저항
제15장 행정책임성 확보를 위한 과제
15.1 들어가며
15.2 행정책임성 확보의 방향
15.3 행정책임성 확보와 통제의 원리 확립
15.4 행정통제와 공직윤리 확보 수단의 재정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