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법학계열 > 기타 법률/법규
· ISBN : 9788920933608
· 쪽수 : 492쪽
· 출판일 : 2023-05-01
책 소개
목차
발간사 • iv
제1편 성희롱의 의의와 특성
제1부 성희롱의 어원과 의의 및 유형
제2부 성희롱의 정체와 특성
제2편 성희롱의 문제와 피해
제1부 성희롱의 문제
제2부 성희롱의 피해
제3편 성희롱에 대한 법적 규제의 법리와 동향
제1부 성희롱에 대한 법적 규제의 쟁점과 법리
제2부 성희롱에 대한 법적 규제의 동향
제4편 우리나라 성희롱 관련 현행법과 분쟁처리제도
제1부 성희롱 관련 현행법의 개관
제2부 직장 내 성희롱 관련 현행법
제3부 대학 내 성희롱 관련 현행법
제4부 성희롱 관련 현행 분쟁처리제도
제5편 성희롱 관련 분쟁처리 사례와 쟁점
제1부 성희롱 관련 분쟁처리 사례
제2부 성희롱 관련 분쟁처리 사례의 쟁점과 평석
부록
저자소개
책속에서
법률용어로서 ‘성희롱’의 유래(由來)
‘성희롱’이라는 용어는 1970년대 중반 미국에서 먼저 사용되다가 1980년대 중반부터 국제적으로 널리 사용되었던 ‘sexual harassment’의 번역어이다. 이 용어는 미국의 여성주의자들이 처음으로 고안하였다. 페미니스트들은 지위가 우월한 남성 사용자가 여성 근로자들에게 불쾌한 성적인 말과 행동, 요구 등을 하여 여성에게 정신적 육체적 피해뿐만 아니라 인권을 침해하여, 노동 조건과 환경 및 근로 의욕과 실적에 악영향을 주는 현상에 주목하고, 이것을 특화하여 sexual harassment로 명명하였다.
우리나라에서 sexual harassment를 성적 희롱으로 번역한 최초의 문헌은 사화학자인 심영희 교수가 1989년에 발표한 성폭력에 관한 논문이다. 심 교수는 성적 희롱을 성폭력의 유형에 포함하였으나, 이 용어의 의미에 관해 구체적으로 밝히지는 않았다. 그 이후 성희롱이 법적 논의의 대상으로 사회적 주목을 크게 받은 것은 1993년 대학 조교가 제기한 최초의 성희롱 소송 때문이었다. 이를 계기로 국민들의 성 인식은 크게 각성되었고, 1995년 제정 공포된 「여성발전기본법」에 “국가 지방자치단체 또는 사업주는 성희롱의 예방 등 직장 내의 평등한 근무환경 조성을 위하여 필요한 조치를 취하여야 한다”고 규정한 조항을 마련하기에 이른다. 이 법에서 대한민국 역사상 처음으로 ‘성희롱’이 법률용어로 등장하였고 1998년에는 대법원 판결문(1998.2.10 선고 95다39533)에 처음으로 ‘성희롱’이 명시되게 된다.
(제1편 성희롱의 의의와 특성 p. 5~15 중 발췌 요약)
성희롱에 대한 법적 원리와 그 동향
성희롱을 법으로 규제한다는 것은 성희롱을 사회질서 위반행위로 간주하고, 성희롱을 방지하여 그것의 문제와 피해로부터 국민을 보호하겠다는 국가의 의지를 천명한 것이다. 이에 따라 모든 조직과 그 장은 성희롱 관련 법에 따라 성희롱의 방지, 규제, 행위자의 제재, 피해자 등의 보호를 규정한 자치 규범을 마련하고 시행해야 한다. 모든 개인은 성희롱을 해서는 안 되고 법이 규정한 행동기준을 준수해야 한다. 성희롱은 개인의 존엄과 양성의 평등에 반한다. 따라서 성평등의 법적 실현 방법으로 성희롱에 대한 법적 규제는 필수적으로 포함되며 성희롱에 대한 법적 규제는 ‘성평등의 실현’을 그 목적과 기본방향으로 해야 할 것이다.
많은 국가들이 21세기 국가발전전략을 수립할 때 ‘성평등의 실현’을 주요 과제로 설정한 이유도 성평등은 인권을 보장할 뿐 아니라 인구의 반수를 차지하는 여성의 능력 계발과 발휘, 사회참여, 인적자원화를 촉진시키고 모든 부문에 남녀가 대등하게 참여하고 협력하게 하여 국가의 정치적 경제적 사회적 문화적 발전을 이룰 수 있다고 보기 때문이다. 성평등을 법으로 실현한다는 것은 성평등이 사회의 기본질서임을 공고히 하며 국가가 강한 추진력을 가지고 실행할 수 있도록 하는 의미가 있다.
(제3편 성희롱에 대한 법적 규제의 법리와 동향 p. 86~90 중 발췌 요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