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범계열 > 교과교육론 > 사회/역사교육 전공
· ISBN : 9788925407968
· 쪽수 : 336쪽
· 출판일 : 2014-03-10
책 소개
목차
머리말 3
1부 21세기 트렌드와 정치와 민주시민교육의 과제와 방향
1장| 21세기 트렌드와 다문화사회의 민주시민교육 13
1. 유행과 트렌드 13
2. 21세기 메가트렌드 13
3. 21세기 마이크로트렌드 개념의 등장과 이해의 필요성 16
4. 21세기 마이크로트렌드들 17
5. 마이크로트렌드가 21세기 민주주의와 정치에 주는 시사점 21
6. 21세기 트렌드와 다문화사회의 민주시민교육 24
7. 다문화사회의 민주시민교육의 관점에서 본 다문화교육에 대한 문제 제기 28
8. 21세기 트렌드와 다문화시대 민주시민교육의 과제: 인간지능과 존재의 새로운 발견 30
2장| 뜨겁고 평평하고 붐비는 세계:에너지-기후시대 정치와 민주시민교육의 책무 33
1. 문제 제기 33
2. 뜨겁고 평평하고 붐비는 세계: 개념, 요인, 영향 35
3. 에너지-기후시대(Energy-Climate Era)의 5가지 심각한 문제 40
4. 에너지-기후시대의 정치와 정치의 책무 42
5. 에너지-기후시대의 녹색혁명론과 시민교육의 책무 46
6. 결론 및 제언: 에너지-기후시대 시민교육의 발전적 대안의 모색 48
3장| 지구적 기후변화에 따른 3차 산업혁명시대 정치와민주시민교육의 과제와 방향 53
1. 문제 제기 54
2. 21세기 메가트렌드와 필연적이고 파괴적인 위기 56
3. 에너지-기후시대론과 3차 산업혁명론 57
4. 기후변화에 따른 3차 산업혁명시대 정치의 과제와 방향 63
5. 기후변화에 따른 3차 산업혁명시대 민주시민교육의 과제와 방향 65
6. 결론 및 제언: 기후변화에 따른 3차 산업혁명시대 민주시민교육의 발전적 대안의 탐색 69
4장| 정보사회와 민주주의: 정치·교육 민주화의 과제와 대안 73
1. 정보화의 물결과 권력이동 73
2. 정보사회의 개념 74
3. 정보사회의 특성 77
4. 정보사회의 밝은 면과 어두운 면 80
5. 정보사회와 민주주의 : 정치·교육 민주화의 과제와 대안 82
5장| 민주화·세계화 시대 민주시민교육의 과제와 방향:인권교육과 평화교육의 강화 93
1. 문제 제기 93
2. 민주화·세계화 시대 한국사회의 위상과 과제 94
3. 세계화와 민주주의의 관계 99
4. 민주화·세계화 시대 한국사회와 민주시민교육, 사회과교육의 과제 102
5. 인권교육의 강화 104
6. 평화교육의 강화 108
7. 결론 및 제언 : 민주시민교육을 통한 인권교육, 평화교육, 통일교육, 국제이해교육의 결합 114
6장| 21세기의 사회적 변화와 교육과정의 지역화:사회과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117
1. 문제 제기: 지식정보화, 세계화·지방화, 포스트모던화 117
2. 21세기의 사회적 변화와 교육과정의 지역화 118
3. 교육과정 지역화의 의의 124
4. 제7차 교육과정과 교육과정의 지역화 127
5. 교육과정 지역화의 수준과 절차 128
6. 사회과 교육과정의 지역화 132
7. 지역교과서의 성격과 활용 135
8. 교육과정 지역화의 현실과 당면과제 138
2부 정치와 교육
7장| 정치와 교육 143
1. 문제 제기 143
2. 정치의 개념 143
3. 정치관: 정치를 보는 눈 146
4. 마키아벨리 (N. Machiavelli) 군주론의 이해 148
5. 정치의 출발점과 지향점 150
6. 정치와 교육의 관계 150
7. 세계의 교육정책의 변화 152
8. 한국의 교육정책의 변화 155
9. 민주정치와 민주시민교육 161
8장| 권력과 리더십 165
1. 권력과 인간 165
2. 21세기와 권력이동(powershift) 167
3. 정치권력(political power)의 특성과 정치학·정치학도의 사명(존립 근거) 170
4. 정치권력의 견제와 순화 171
5. 리더십(political leadership) 172
6. 정치지도자(political leader)의 자질 175
7. 대통령 리더십, 역대 대통령 리더십 비교 176
9장| 국제정치와 국력 177
1. 국제정치와 관련 개념들 177
2. 국제정치체제(국제체제)의 변화 178
3. 국제정치관(국제정치를 보는 눈) 179
4. 국제정치에서의 현실주의 181
5. 국력(national power) 182
10장| 국제정치 권력(hard power, soft power)과 국제정치의 흐름 195
1. 문제제기 195
2. 소프트 파워 개념 창안: Joseph Nye J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