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교사 그리고 질적연구

교사 그리고 질적연구

(에피스테메와 프로네시스, 2판)

곽영순 (지은이)
교육과학사
16,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6,000원 -0% 0원
480원
15,52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교사 그리고 질적연구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교사 그리고 질적연구 (에피스테메와 프로네시스, 2판)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범계열 > 교육과정/교육평가
· ISBN : 9788925416915
· 쪽수 : 332쪽
· 출판일 : 2022-04-30

책 소개

<질적연구-철학과 예술 그리고 교육>의 보론(補論)이나 사례집 정도로 자리매김할 수 있는 책이다. 각 장이나 각 소주제를 따로 떼어내어 읽을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목차

◆2판 머리말 _ 3

제1장 왜 질적연구인가? 13
1. 왜 질적연구여야 하는가? _ 16
2. 질적연구의 기본 전제들 _ 19
3. 해체를 넘어서 참여적 패러다임으로 _ 23
3-1. 참여적 생태적 패러다임 / 23
3-2. 반성적 실천을 지향하는 참여적 패러다임 / 28
4. 질적연구 방법론: 언어와 표상 _ 31
5. 자연 언어인 스토리텔링 방법 _ 34
6. 독자에 의해 쓰여지는 질적연구 _ 37
7. 질적연구 글쓰기에서 수행적 전회 _ 39

제2장 교사교육 패러다임 45
1. 효과적 교사 _ 48
1-1. 가르치는 활동에 대한 실증주의 패러다임: 교사효과성 연구 / 49
1-2. 교사효과성에 대한 질적평가의 필요성 / 51
1-3. 교사의 탈전문화를 촉진한 교사효과성 연구 / 52
1-4. 이론적 지식과 실천적 지식의 괴리 / 54
2. 반성적 교사 _ 56
2-1. 해석주의와 구성주의 / 58
2-2. 선이해와 지평융합 / 59
2-3. 관찰하는 시선과 실존적인 시선 / 60
2-4. 반성적 실천: 프랙시스 / 62
2-5. 참여관찰자로서 교사 / 64
3. 탐구적 교사 _ 65
3-1. 비판적 패러다임과 탐구하는 교사 / 66
3-2. 참여적(+포스트모던) 패러다임: 실행연구 / 68
3-3. 연구자로서의 교사 / 70
3-4. 참여적 실행연구의 특징 / 72
4. 변혁적 교사 _ 78
4-1. 포스트모더니즘과 질적연구 / 79
4-2. 동일성 철학의 폭력 / 81
4-3. 해체를 넘어서 프랙시스로 / 84

제3장 교사교육에서 질적연구의 유형 87
1. 개인에 대한 연구: 자서전적 글쓰기 _ 90
1-1. 교사의 자문화기술지 / 90
1-2. 주체의 죽음 이후 자문화기술지 / 96
2. 집단에 대한 연구: 교육적 문화기술지의 발전 _ 99
3. 개념에 대한 연구: 현상학적 분석 _ 102
3-1. 현상학적 의미론: 의식의 지향성 / 104
3-2. 생활세계와 실존적 현상학 / 105
4. 이론 도출을 위한 연구: 근거이론 _ 107
5. 사건이나 활동에 대한 연구: 사례연구 _ 110
5-1. 사례의 의미 / 111
5-2. 사례의 일반화 가능성 / 112
6. 텍스트 분석: 해석학 _ 113
6-1. 해석학적 순환 / 114
6-2. 해석적 이해의 도구들 / 116

제4장 푸코의 지식-권력과 학교 교육과정 119
1. 교육과정 연구 패러다임 변화: 개발에서 이해로 _ 121
1-1. 실증주의의 교육과정 개발 패러다임 / 122
1-2. 탈(脫)실증주의 패러다임의 교육과정 연구 재개념화 / 125
2. 푸코의 지식-권력 _ 129
3. 지식-권력과 학교 교육과정 _ 131
4. 지식의 구조에 대한 해체주의적 분석 _ 133
5. 교육과정 읽어내기: 작품에서 텍스트로 _ 136
5-1. 의미작용과 의미생성 / 137
5-2. 독서란 쓰여지지 않은 것을 읽어내는 것 / 138
6. 상호텍스트성 _ 141
7. 쓰여지는(writerly) 텍스트로서의 교육과정 _ 143
8. 담론적 실천과 역량기반 교육과정 _ 144

제5장 교사의 실천적 지식기반: PCK 147
1. 이론과 실제의 거리좁히기 _ 150
2. 왜 내러티브인가? _ 157
3. 교사의 지식기반과 내용교수지식(PCK) _ 159
4. 참여적 패러다임에 따른 내용교수지식(PCK)에 대한 내러티브 _ 164
5. PCK 연구 방법론: 근거이론 _ 167
6. 교사들의 변혁적 역량: 한국형 학습공동체 _ 175
6-1. 왜 한국형 교사 학습공동체인가? / 178
6-2. 배움의공동체를 넘어서 지속가능한 공동체로 / 181
6-3. 실천공동체로서 한국형 교사 학습공동체 / 186

제6장 반성적 교사교육: 교사되기 189
1. 실천에서 이론으로 vs 이론에서 실천으로 _ 191
2. 이론에서 실천으로: 앎에서 삶으로 _ 192
3. 실천에서 이론으로: 삶에서 앎으로 _ 195
4. 앎과 삶의 일치를 지향하는 교사의 실천적 지식 _ 197
5. 반성적 실천으로서 교사의 학습이란? _ 203
6. 반성적 실천의 수준과 단계 _ 208
7. 반성적 실천을 통한 이론과 실천의 연계 _ 211
8. 멘토링을 통한 반성적 실천능력 제고 방안이란? _ 212
9. 인지적 도제주의, 지행합일을 꿈꾸며 _ 217

제7장 들뢰즈의 생성철학과 교육: 다양성 창조 223
1. 구성적 사유와 해체적 사유 _ 226
2. 동일성의 응결: 기계-접속-배치 _ 230
3. 들뢰즈의 차이생성의 메커니즘: 영토화-탈영토화-재영토화 _ 233
4. 차이생성의 효과로서의 동일성 _ 235
5. 수목형 사유와 리좀형 사유 _ 237
6. 욕망의 탈주: 무엇이든 되어보자 vs ‘나’ 아닌 ‘너’ 되기 _ 240
7. 포스트모더니즘: 다양성에 대한 찬사 _ 244
8. 동일성의 우울을 넘어 이질성 추구로 _ 246
9. 수행성: 담론적 실천을 통한 리얼리티 구성 _ 249
10. 좋은 수업: 차이생성 중에 반복하는 동일성 _ 256

제8장 구성에서 해체로: 행위주체성과 이야기 정체성 261
1. 후기구조주의의 해체: 교사 역할의 해체 _ 263
2. 타자를 사유하는 방법론으로서의 해체 _ 268
3. 해체의 단계 _ 271
4. 앎의 단계: 저자의 죽음과 해체적 읽기 _ 273
5. 가르침의 단계: 해석에서 해체로 _ 277
6. 해체적 읽기: 증거기반 실천과 반성적 실천 _ 280
7. 연구기반 교사교육과 연구자로서의 교사 _ 283
8. 비판적 교육학 vs 해체적 교육학 _ 288
9. 변혁적 역량과 공동존재의 이야기 정체성 _ 292
9-1. 변혁적 역량과 행위주체성 / 294
9-2. 차이생성을 통해 새로운 잠재성 발견하기 / 300
9-3. 잠재성의 정치학: 무위의 공동체 / 303

◆참고문헌 _ 311
◆찾아보기 _ 327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