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가톨릭 > 가톨릭 인물
· ISBN : 9788925551791
· 쪽수 : 328쪽
· 출판일 : 2013-12-18
책 소개
목차
서문 | 진실한 ‘목자’의 사랑을 증언하나니
대담자의 글 | 가장 높은 곳을 바라보게 하는 교황이시여!
제1부 가족의 탄생
호르헤 베르고글리오, 그 가족의 탄생 | 언제까지나 노동 중심의 삶이어야 | 고통을 대하는 그리스도인의 자세
제2부 믿음의 봄
먼저 찾아오신 하느님 그리고 위대한 결단 | 가치 중심적인, 성장 지향적인 교육 | 성숙한 삶, 인내를 이룬다는 것
3부 살아있는 가톨릭
이데올로기 너머에서 살아있는 가톨릭 | 가톨릭 교리와 윤리, 이를 둘러싼 논쟁들 | 사제독신제의 미래와 ‘죄를 향한 사랑’
제4부 사랑 그리고 만남
아르헨티나의 전진을 위한 조언 | 우리는 모두 만나야 한다 | 높고 따뜻한 사랑의 출처, ‘교황의 사생활’
제5부 희망의 증거
형제의 나라로 향하는 험한 길 | 아르헨티나의 오랜 암흑을 마주하다 | 새로운 미래, 더욱 새로운 희망으로
부록 | 마르틴 피에로를 통한 성찰
리뷰
책속에서
프란치스코 교황은 부에노스아이레스에 위치한 여러 빈민가를 자주 방문했는데, 한번은 바라카스에 위치한 누에스트라 세뇨라 데 카아쿠페 교구에서 수백 명의 주민들과 대화를 나누던 중에 한 벽돌공이 일어나 감격에 겨운 목소리로 이렇게 말한 바 있다. “저는 추기경님이 자랑스럽습니다. 제가 제 동료들과 버스를 타고 이곳으로 오면서 보니 추기경님께서 마치 주민의 한 사람인 것처럼 마지막 줄에 앉아 계셔서 구분이 어려웠습니다. 제가 저분이 추기경님이라고 동료들에게 말했지만 그들은 믿지 않았습니다.” 그때부터 프란치스코 교황은 비천하고 고통스러운 삶을 사는 이들의 가슴 한켠에 늘 자리 잡고 있다. 그들은 “저희는 그분이 마치 우리와 같은 사람인 것처럼 느껴집니다”라고 설명했다.
소비사회의 경쟁구도가 점점 더 심화된 결과 많은 사람들이 주일에도 일을 하게 되었지요. 이런 경우 우리는 또 다른 극단으로 치닫게 됩니다. 노동이 인간성을 말살시키는 상황 말입니다. 일이 휴식을 취하게 해주는 건강한 여가와 연결되지 않으면 사실상 인간은 일의 노예가 됩니다. 이 경우는 더 이상 스스로의 존엄성을 위해 일하는 것이 아니라 경쟁에 밀려 일하는 것이지요. 내가 왜 일을 하는지 그 목적이 왜곡되어버리는 겁니다.
제가 주교직을 맡고 있는 동안 교훈처럼 새겼던 말이 바로 ‘자비로이 여기고 선택하라’는 것이었습니다. 그리고 이는 측은지심을 가지고 봉사하며 제안에 의거해 선택한다는 의미에서 제 종교적 구심점 역할을 하기도 했습니다. 제안이 무엇인가에 대해 구어체로 요약해서 말하자면 바로 이런 것이죠. “자 봐봐. 너라는 사람 그 자체를 사랑해. 너를 선택한 거야. 유일하게 바라는 건 바로 너를 사랑할 수 있게 그냥 놔두라는 거야.” 이 제안이 바로 제가 받은 제안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