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한국고대문학사상의 탐구 - 중

한국고대문학사상의 탐구 - 중

(새로운스토리텔링의 모색을 중심으로)

윤경수 (지은이)
한국학술정보
48,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43,200원 -10% 0원
2,400원
40,8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28,800원 -10% 1440원 24,480원 >

책 이미지

한국고대문학사상의 탐구 - 중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한국고대문학사상의 탐구 - 중 (새로운스토리텔링의 모색을 중심으로)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어문학계열 > 국어국문학 > 고전문학론
· ISBN : 9788926820889
· 쪽수 : 746쪽
· 출판일 : 2011-04-05

책 소개

366사(事)는 366¼일 동안 권선징악을 내용으로 일일일선(一日一善)을 행하면 인과응보에 의해서 물산이 풍부한 홍익인간(弘益人間) 이화세계(理化世界)를 세우게 된다는 것이다. 한국인의 의식 중 설화나 이야기는 거의 착하게 살아 부귀영화를 누리거나 승천하는 내용으로 되어 있는데 이는 단군신화의 수용이라 할 수 있다. 책은 366사(事) 각각을 내용별로 구분하여 수록하고 있다.

목차

상권

제1장 정성론(精誠論)

Ⅰ. 들어가며
Ⅱ. 성장(誠章)
제1사(事) 성(誠)-웅녀문화콘텐츠 개발과 숭고미-
제2사(事) 경신(敬神: 신을 공경함)-<심청전>의 심청문화콘텐츠개발-
제3사(事) 존봉(尊奉: 높이 받듦)-고려 이숙기 <묘지명>(墓誌銘)-
제4사(事) 숭덕(崇德: 덕을 숭상함) - <매월당문집>, '단군묘'(壇君廟)-
제5사(事) 도화(導化: 교화하여 인도함)-<춘향전>의 절개미(節槪美)-
제6사(事) 창도(彰道: 바른길을 밝힘)-단군문화콘텐츠 개발-
제7사(事) 극례(克禮: 지극한 예)-단군신화의 곰→웅녀환생-
제8사(事) 숙정(肅靜: 엄숙하고 고요함)-'관서악부'(關西樂府), 제17곡(曲)-
제9사(事) 정실(淨室: 정결한 곳)-현진건의 <단군성적순례기>(檀君聖跡巡禮記)-
제10사(事) 택재(擇齋: 가려서 재계)-참성단(塹城壇) 태종어제(太宗御製)-
제11사(事) 회향(懷香: 향을 품음)-이색(李穡)의 한시(漢詩)-
제12사(事) 정심(正心: 바른 마음)-원천석의 <운곡행록>(耘谷行錄)-
제13사(事) 의식(意植: 뜻을 심음)-<구운몽>의 성진의 생활상-
제14사(事) 입신(立身: 몸을 세움)-윤동주의 '서시'-
제15사(事) 불혹(不惑: 미혹하지 않음)-<춘향전>의 변 부사-
제16사(事) 일엄(溢嚴: 엄숙함이 넘침)-안중근의 <유시>(遺詩)-
제17사(事) 허령(虛靈: 비어 신령함)-<구운몽>의 육관대사-
제18사(事) 치지(致知: 앎에 이름)-'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
제19사(事) 폐물(閉物: 만물을 닫음)-한용운의 <님의 침묵>-
제20사(事) 척정(斥情: 정욕을 물리침)-정극인의 '상춘곡'(賞春曲)-
제21사(事) 묵안(?安: 잠잠하여 편안함)-'이상곡'(履霜曲)의 시적 화자-
제22사(事) 불망(不忘: 잊지 않음): (誠 3體)-<심청전>의 심청과 황후-
제23사(事) 자임(自任: 스스로 믿음)-심청의 효성미(孝誠美)-
제24사(事) 자기(自記: 저절로 기억함)-<금오신화> 중 '남염부주지'-
제25사(事) 첩응(貼膺: 가슴에 간직함)-심청의 출전지효(出天之孝)-
제26사(事) 재목(在目: 눈에 있음)-이육사(李陸史)의 '청포도'-
제27사(事) 뇌허(雷虛: 우레도 공허함)-안중근의 서예작품-
제28사(事) 신취(神聚: 정신을 모음)-춘향, 심청, 흥부의 입사식-
제29사(事) 불식(不息: 쉬지 않음)-흥부는 성실한 농부-
제30사(事) 면강(勉强: 힘써 강함)-<정수정전>의 주인공 수정-
제31사(事) 원전(圓轉: 둥글게 구름)-춘향의 일편단심-
제32사(事) 휴산(休算: 계산을 쉼)-<춘향전>의 기자정성(祈子精誠)-
제33사(事) 실시(失始: 시작을 잃음)-윤선도(尹善道)의 시조-
제34사(事) 진산(塵山: 티끌 산)-정성의 산(山)을 이룬 흥부-
제35사(事) 방운(放運: 본받아 운행함)-<제망매가>의 성력(誠力)-
제36(事) 만타(慢他: 다른 일에 게으름)-<춘향전>의 변 부사-
제37사(事) 지감(至感: 감응에 이름)-<동가선>(東歌選) 168의 정성-
제38사(事) 순천(順天): (誠 5體 32用)-신석정의 시-
제39사(事) 응천(應天): (誠 5體 33用)-<화서선생> 아언(雅言) 천지(天地)-
제40(事) 청천(聽天): (誠 5體 34用)-<숙향전>의 숙향-
제41사(事) 낙천(樂天: 하늘의 뜻을 즐거워함)-심청의 자락(自樂)-
제42사(事) 대천(待天: 하늘의 감응을 기다림)-금와왕(金蛙王)의 탄생설화-
제43사(事) 대천(戴天: 머리에 하늘을 이고 삶)-신석정의 '들길에 서서'-
제44사(事) 도천(禱天: 하늘의 기도함)-단군신화의 동굴모티프 수용-
제45사(事) 시천(恃天: 하늘을 믿음)-<어유야담>(於于野譚) 인륜 편-
제46사(事) 강천(講天: 천도를 강론함)-<장화홍련전>의 자매-
제47사(事) 대효(大孝: 큰 효도)- '계녀가'(戒女歌)의 효성-
제48사(事) 안충(安衷: 정성을 다하여 편안함)-<적성의전>의 효-
제49사(事) 쇄우(鎖憂: 근심을 막음)-<심청전>의 효행-
제50사(事) 순지(順志: 뜻을 따름)-박장원(朴長遠)의 '반포오'(反哺烏)-
제51사(事) 양체(養體: 몸을 봉양)-<계녀가>(戒女歌)의 시부모 봉양-
제52사(事) 양구(養口: 입맛에 맞게 봉양함)-<계녀가>의 물질봉양-
제53사(事) 신명(迅命: 명은 빠르게 행함)-<사씨남정기>의 사씨 부인-
제54사(事) 망형(忘形: 몸을 잊음)-사씨 부인의 대효(大孝)-
Ⅲ. 나오며 270

제2장 믿음론(信義論)

Ⅰ. 들어가며
Ⅱ. 신(信), 자연의 순리와 단군신화를 모법
제55사(事) 신(信: 믿음)-단군신화의 신표-
제56사(事) 의(義: 의로움)-변계량(卞季良)의 시조(時調)-
제57사(事) 정직(正直: 바르고 곧음)-이양연(李亮淵의 <야설>(野雪)-
제58사(事) 공렴(公廉: 공정하고 청렴함)-<사씨남정기>의 사씨 부인 덕행-
제59사(事) 석절(惜節: 절개를 아낌)-<이생규장전>의 최랑-
제60사(事) 불이(不貳: 둘이 아님)-경상도 현풍의 허녀(許女)-
제61사(事) 무친(無親: 친함이 없음)-<환단고기>의 천부인(天符印)-
제62사(事) 사기(捨己: 자기를 버림)-김택영(金澤榮)의 한시(漢詩)-
제63사(事) 허광(虛?: 빈말로 속임)-이 어사(李御使)의 춘향절개 시험-
제64사(事) 불우(不尤: 탓하지 않음)-<고산유고>, 견희요'(遣懷謠)-
제65사(事) 체담(替擔: 대신 떠맡음)-박문수에 대한 구비설화-
제66사(事) 약(約: 약속): (信 2團)-최익현(崔益鉉)의 <유시>(遺詩)-
제67사(事) 천실(踐實: 실제로 이행함)-주몽의 편검(片劍)-
제68사(事) 지중(知中: 중용의 도를 앎)-<장화홍련전>에 나타난 전동흘-
제69사(事) 속단(續斷: 끊어짐을 이음)-<구운몽>의 주인공 성진-
제70사(事) 배망(排忙: 바쁨을 물리침)-<동문선>, '신재기'(信齋記)-
제71사(事) 중시(重視: 중요하게 봄)-<고려사>, '제위보'(濟危寶)-
제72사(事) 천패(天敗: 하늘이 깨뜨림)-흥부의 매품 하늘이 파기함-
제73사(事) 재아(在我: 나에게 있음)-<춘향전>에 나타난 춘향-
제74사(事) 촌적(忖適: 마땅함을 헤아림)-<춘향전>에 나타난 신분격차
제75사(事) 하회(何悔: 어찌 뉘우칠 일을 하는가)-<신선비>의 설화-
제76사(事) 찰합(?合: 꼭 들어맞음)-주몽과 유리(類利)의 친자(親子)확인-
제77사(事) 충(忠: 충성): (信 3團)-<청구영언>(靑丘永言)의 보국안민-
제78사(事) 패정(佩政: 정사를 맡음)-<가곡원류>(歌曲源流) 59의 시조(時調)-
제79사(事) 담중(擔重: 중책을 맡음)-<임진록>에서의 이순신과 권율-
제80사(事) 영명(榮命: 명령을 빛냄)-<징비록>에 나타난 정곤수(鄭?壽)-
제81사(事) 안민(安民): (信 3團 23部)-'안민가'(安民歌)의 이상(理想)-
제82사(事) 망가(忘家: 집을 잊음)-이극로(李克魯)의 '윤세복 선생'-
제83사(事) 무신(無身: 몸이 없음)-<임진록>에 나타난 이순신-
제84사(事) 열(烈: 절개 굳음)-이숭인(李崇仁)의 <배열부전>(裵烈婦傳)-
제85사(事) 빈우(賓遇: 손님들처럼 예우함)-<금령전>에 나타난 금령-
제86사(事) 육친(育親: 부모를 봉양함)-<금령전>의 막씨-
제87사(事) 사고(嗣孤: 외롭게 이음)-<정경부인 해평 윤씨 행장>-
제88사(事) 고정(固貞: 정절을 굳게 함)-<박씨전>의 박씨
제89사(事) 일구(?仇: 원수와 가까이함)-이복휴(李福休)의 '온달전'-
제90사(事) 멸신(滅身: 육신을 버림)-'여강절부가'(驪江節婦歌)-
제91사(事) 순(循: 순환)-<두껍전>에 나타난 자연의 이치-
제92사(事) 사시(四時: 사계절)-박지원(朴趾源)의 <허생전>-
제93사(事) 일월(日月: 해와 달)-혁거세(赫居世)의 치세(治世)-
제94사(事)의 덕망(德望: 덕을 우러러봄)-춘향의 절개미(節槪美)-
제95사(事) 무극(無極: 끝이 없음)-이몽룡이 태평세계로 회복시킴-
Ⅲ. 나오며


제3장 사랑론(愛論)

I. 들어가기
Ⅱ. 애장(愛章), 애미(愛美)로의 승화와 문학 작품
제96사(事) 애(愛: 사랑)-<채봉감별곡>에서의 사랑-
제97사(事) 서(恕: 용서): (愛 1範)-신채호(申采浩)의 <한나라 생각>-
제98사(事) 유아(幼我: 나와 같이 사랑함)-윤봉길 의사의 한시(漢詩)-
제99사(事) 사시(似是: 옳은 것 같음)-<옥루몽>의 주인공 양한림-
제100사(事) 기오(旣誤: 이미 그릇됨)-<구운몽>의 주인공 성진-
제101사(事) 장실(將失: 장차 잃음)-주세붕의 <매헌선생실기>-
제102사(事) 심적(心蹟: 마음의 자취): (愛 1範 5圍)-놀부의 이중성-
제103사(事) 유정(由情: 정에 말미암음)-<사씨남정기>의 교씨-
제104사(事) 용(容: 포용함)-흥부와 같은 금도(襟度)
제105사(事) 고연(固然: 도리에 떳떳함)-<옹고집전>의 실옹과 가옹-
제106사(事) 정외(情外: 뜻밖)-<삼국사기> 권41 '구토설화'-
제107사(事) 면고(免故: 고의를 벗어남)-<최고운전>의 최충-
제108사(事) 전매(全昧: 전적으로 우매함)-석북의 <관서악부>(關西樂府)-
제109사(事) 반정(半程: 절반 길)-청마 유치환의 '원수'(怨讐)-
제110사(事) 안념(安念: 안일한 생각)-<변강쇠전>의 강쇠-
제111사(事) 완급(緩急: 느림과 급함)-<채봉감별곡>의 위기극복 능력-
제112사(事) 시(施: 베풂): (愛 3範)-<도솔가>(兜率歌)의 구제-
제113사(事) 원희(原喜: 원래의 기쁨)-윤희순의 독립군 돕는 노래-
제114사(事) 인간(認艱: 어려움을 앎)―윤희순의 <신세타령>―
제115사(事) 긍발(矜發: 불쌍히 여김)-윤희순의 <안사람 의병가>-
제116사(事) 공반(公頒: 공평하게 나눔)-최돈상의 '최초의 애국가'-
제117사(事) 편허(偏許: 한쪽을 도와줌)-유인석의 <논의원>(論義員)-
제118사(事) 균련(均憐: 고르게 가여워함)-<오원집>, '만덕전'(萬德傳)-
제119사(事) 후박(厚薄: 후하고 박함)-흥부의 보은박(報恩瓢)-
제120사(事) 부혼(付混): (愛 3範 21圍)-흥부의 새끼 제비 치료-
제121사(事) 육(育: 가르쳐 기름)―오광운(吳光運)의 '백사가'(百死歌)―
제122사(事)의 도업(導業: 생업을 인도함)-박지원의 '허생전'(許生傳)-
제123사(事) 보산(保産: 산업을 보전함)-<농가월령가>의 12월령(月令)-
제124사(事) 장근(?勤: 부지런함을 권장함)―<가사집>(歌詞集) '농부가'―
제125사(事) 경타(警墮: 게으름을 경계함)-김천택의 <교주해동가요> 427-
제126사(事) 정로(定老: 노인을 안정하게 함)-한유신(韓維信)의 시조-
제127사(事) 배유(培幼: 어린이를 북돋음)-양주동의 '조선의 맥박'-
제128사(事) 권섬(勸贍: 너그러움을 권함)-길재(吉再)의 인재 양성-
제129사(事) 관학(灌?: 마른 데 물을 댐)-<퇴계집> 언행록, 교인(敎人)-
제130사(事) 교(敎: 가르침): (愛 5範)-춘향의 절개-
제131사(事) 고부(顧賦: 품성을 돌아봄)-김복한(金福漢)의 '獨坐'-
제132사(事) 양성(養性: 성품을 기름)-<흥부전>에서 흥부의 행함-
제133사(事) 수신(修身: 몸을 닦음)-춘향의 숭고미-
제134사(事) 주륜(湊倫: 윤리에 합함): (愛 5範 33圍)-<大東風雅> 70-
제135사(事) 불기(不棄: 버리지 않음)-흥부의 우애와 놀부의 감화-
제136사(事) 물택(勿擇: 가리지 않음)-야은(冶隱) 길재(吉再)의 교육관-
제137사(事) 달면(達勉: 달통에 힘씀)-야은의 <오산학원 청풍 루기>-
제138사(事) 역수(力收: 힘써 공을 거둠)-<옹고집전>의 학대사-
제139사(事) 대(待: 기다림): (愛 6範)-<구운몽>의 61년간의 환생기간-
제140사(事) 미형(未形: 형체를 갖추지 못함)-<유충렬전>의 기자정성-
제141사(事) 생아(生芽: 싹이 틈): (愛 6範 39圍)-춘향의 인간 형성-
제142사(事) 관수(寬遂: 너그럽게 이룸)-처용의 관용미-
제143사(事) 온양(穩養: 편안하게 길러 줌)-유리왕을 칭송한 <도솔가>-
제144사(事) 극종(克終: 끝맺음을 잘함)-<홍길동전>의 율도국-
제145사(事) 전탁(傳托: 전하여 맡김)-상해임시정부의 개천절 행사-
Ⅲ. 나오며
색인


중권

제4장 구제론(救濟論)

Ⅰ. 들어가며
Ⅱ. 제(濟)의 만물(萬物) 구제미(救濟美)
제146사(事) 제(濟: 구제)-<덕진교 전설>-
제147사(事) 시(時: 때)-이어사(李御使)의 춘향 구제-
제148사(事) 농재(農災: 농사의 재앙)-<농가월령가>ㆍ삼월령(三月令)-
제149사(事) 양괴(凉怪: 서늘한 요기(妖氣))-춘향의 숙살의 한기(寒氣)-
제150사(事) 열염(熱染: 더위에 물들다)-<국포집> 권3 혜자(蕙子)-
제151사(事) 동표(凍莩: 얼어 굶어 죽음)-'금마별곡'에 나타낸 선정-
제152사(事) 무시(無時: 때가 없음(항상))-성수침(成守琛)의 시조(時調)-
제153사(事) 왕시(往時: 지나간 때)-김수장(金壽長)의 시조-
제154사(事) 장지(將至: 장차 이름)-연암(燕岩) 박지원의 <양반전>-
제155사(事) 지(地: 땅)-이창년의 시(詩)-
제156사(事) 무유(撫柔: 유약함을 어루만짐)-서견(徐甄)의 대나무 칭송-
제157사(事) 해강(解綱: 억셈을 풂)-신석정의 '향기(香氣) 있는 사람'-
제158사(事) 비감(肥甘: 비옥하고 감미로움)-학지촌의 <학지가>-
제159사(事) 조습(燥濕: 건조하고 습함)-<초부가>(樵夫歌)의 내용-
제160사(事) 이물(移物: 산물을 옮김)-<허생전>의 무역(貿易)-
제161사(事) 역종(易種: 농산물의 종자를 자리바꿈)-<고금가곡> 83-
제162사(事) 척벽(拓闢: 황무지를 개척하여 엶)-김수장(金壽長)의 시조-
제163사(事) 수산(水山: 물과 산)-<허생전>의 육지→해양문화-
제164사(事) 서(序: 차례)-박경리(朴景利, 1926∼2008)의 <토지>-
제165사(事) 선원(先遠: 먼 곳을 먼저 함)-<훈민정음> 서문-
제166사(事) 수빈(首濱: 임박함을 먼저 함)-<숙향전>의 숙향-
제167사(事) 경중(輕重: 가벼운 것과 무거움)-심청의 출천지효(出天之孝)-
제168사(事) 중과(衆寡: 많고 적음)-<허생전>의 주인공 허생의 훈시-
제169사(事) 합동(合同: 모여서 함께함)-흥부와 놀부의 생활-
제170사(事) 노약(老弱: 노인과 약함 사람)-김영진의 <심청가>-
제171사(事) 장건(壯健: 씩씩하고 튼튼함)-'양반전'의 양반생활-
제172사(事) 지(智: 지혜)-<大東風雅> 29-
제173사(事) 설비(設備: 갖추고 준비함)-'기전사가'(祈戰死歌)-
제174사(事) 금벽(禁癖: 나쁜 버릇 금함)-<변강쇠전>의 호색한-
제175사(事) 요검(要儉: 검소함을 하고자 함)-<산중신곡> 중 '만흥'(漫興)-
제176사(事) 정식(精食: 잡곡밥)-변 부사의 생일연의 한시-
제177사(事) 윤자(潤資: 재물을 불림)-고소설에서의 홍익인간 정신-
제178사(事) 개속(改俗: 속됨을 버리고 고침)-<완월회맹연>(玩月會盟宴)-
제179사(事) 입본(立本: 근본을 세움)-심훈의 <그 날이 오면>-
제180사(事) 수식(收殖: 거두고 늘림)-신광수(申光洙)의 '잠녀가'-
제181사(事) 조기(造器: 그릇을 만듦)-<숙향전>의 운명-
제182사(事) 예제(預劑: 미리 약을 지음)-<임진록>-
Ⅲ. 나오며

제5장 재앙론(災殃論)

Ⅰ. 들어가며
Ⅱ. 화장(禍章) 제183사(事) 화(禍), 미추(美醜)의 양면성
제183사(事) 화(禍: 재앙)-<사씨남정기>의 교씨-
제184사(事) 기(欺: 속임)-'화왕계'(花王戒)의 교훈-
제185사(事) 익심(匿心)-최치원의 '고의'(故意)-
제186사(事) 만천(慢天: 하늘을 업신여김)-<유충렬전>의 정한담-
제187사(事) 신독(信獨: 홀로 믿음)-<흥부전>의 놀부-
제188사(事) 멸친(蔑親: 육친을 속임)-<흥부전>의 파렴치한 놀부-
제189사(事) 구운(驅殞: 몰아 떨어뜨림)-다산시(茶山詩) '애절양'(哀絶陽)-
제190사(事) 척경(?傾: 차서 넘어뜨림)-이항복(李恒福)의 시조(時調)-
제191사(事) 가장(假章)-도요토미 히데요시의 국서(國書)-
제192사(事) 무종(無終: 끝이 없음)-<사씨남정기>에 나타난 교씨-
제193사(事) 호은(?恩: 은혜를 믿음)-<삼국사기> 중 설씨녀 설화-
제194사(事) 시총(恃寵: 총애를 믿음) <사씨남정기>의 요부(妖婦) 교씨
제195사(事) 탈(奪: 빼앗음)-다산시(茶山詩) '장기농가'(長?農歌)-
제196사(事) 멸산(滅産: 산업을 망하게 함)-김산의 <아리랑> 고개-
제197사(事) 역사(易祀: 제사를 바꿈)-<창선감의록>의 심씨 (沈氏)-
제198사(事) 노금(擄金: 돈을 빼앗음)-이곡(李穀), <가정집>(稼亭集)-
제199사(事) 모권(謀權: 권리를 빼앗음)-'상률가'(橡栗歌)의 권리 남용-
제200사(事) 투권(偸券: 문건을 훔침)-<삼국유사> 탈해왕(脫解王)-
제201사(事) 취인(取人: 남의 물건을 빼앗음)-유성룡의 <징비록>-
제202사(事) 음(淫: 음란함)-규장각본(奎章閣本) <가곡원류> 634의 시조-
제203사(事) 황사(荒邪: 음란을 즐김)-<임진록>에서 본 선조(宣祖)-
제204사(事) 장주(?主: 남편을 해침)-<진본청구영언>의 음행-

제6장 행복론(幸福論)

Ⅰ. 들어가기
Ⅱ. 복(福): 승화의식
제232사(事) 복(福: 행복)-고산(孤山)의 '초연곡'(初筵曲)-
제233사(事) 인(仁: 어짊)-<명주보월빙>(明珠寶月聘)의 성난화-
제234사(事) 애인(愛人: 사람을 사랑함)-<흥부전>의 인류애적인 사랑-
제235사(事) 호물(護物: 만물을 보호함)-김광욱의 '율리유곡'(栗里遺曲)-
제236사(事) 체측(替惻: 남의 근심을 대신해 줌)-신광수의 <관산융마>-
제237사(事) 희구(喜救: 기쁘게 구함)-매헌 윤봉길 의사의 시-
제238사(事) 불교(不驕: 교만하지 않음)-<금화사몽유록>의 교만-
제239사(事) 자겸(自謙: 스스로 겸손)-규장각본<가곡원류> 520-
제240사(事) 양렬(讓劣: 용렬한 이에게 양보함)-<교주해동가요> 379-
제241사(事) 선(善: 착함)-<손 없는 색시>-
제242사(事) 강개(慷慨: 착함의 의로운 분개)-<봉기가>(蜂起歌)-
제243사(事) 불구(不苟: 구차하지 않음)-이육사(李陸史)의 '편복'(??)-
제244사(事) 원혐(遠嫌: 꺼림을 멀리함)-<근화악부>(槿花樂府) 52-
제245사(事) 명백(明白: 분명함)-삼학사 충절 <교주해동가요> 389-
제246사(事) 계물(繼物: 물자를 이어 줌)-연암의 <허생전>-
제247사(事) 존물(存物: 만물을 보존함)-<동국악부> '왕무거'(王毋去)-
제248사(事) 공아(空我: 나를 비움)-‘○’과 나-
제249사(事) 양능(揚能: 능력을 칭찬함)-석북의 '관서악부' (關西樂府)-
제250사(事) 은건(隱愆: 허물을 숨김)-<백범 김구>-
제251사(事) 순(順: 법도에 따름)-<교주해동가요>(校注海東 歌謠) 426-
제252사(事) 안정(安定: 마음을 편안히 함)-<용재집>(容齋集) 안정기(安亭記
제253사(事) 침묵(靜?: 고요하고 잠잠함)-<구운몽>의 육관대사-
제254사(事) 예모(禮貌: 예절에 맞는 모습)-연암의 <열하일기>(熱河日記)-
제255사(事) 주공(主恭: 공손함을 위주로)-'맹아득안가'의 청원(請願)-
제256사(事) 지념(持念: 마음을 가짐)-<구운몽>에서 성진의 길표-
제257사(事) 지분(知分: 분수를 앎)-김천택의 <진본청구영언> 263-
제258사(事) 화(和: 조화)-성수침(成守琛)의 <화원악보> 65-
제259사(事) 수교(修敎: 가르쳐 닦음)-고산의 '오우가'(五友歌)-
제260사(事) 준계(遵戒: 계율을 지킴)-<유충렬전>의 주인공 충렬-
제261사(事) 온지(溫至: 온화함에 이름)-이복휴의 '형제투금'(兄弟投金)-
제262사(事) 물의(勿疑: 의심하지 않음)-<신단실기>(神壇實記)의 단군어진-
제263사(事) 생사(省事: 일을 간략히 함)-융천사의 '혜성가'(彗星歌)-
제264사(事) 진노(鎭怒: 노여움을 진정함)-'정과정곡'의 억울함 호소-
제265사(事) 자취(自就: 저절로 이루어짐)-김인후(金麟厚)의 '절로'-
제266사(事) 불모(不謀: 꾀하지 않음)-다산(茶山)의 '술지(述志)'-
제267사(事) 관(寬: 너그러움)-<여유당전서>(與猶堂全書) 권1, 시(詩)-
제268사(事) 홍량(弘量: 도량이 큼)-<찬기파랑사뇌가>의 기파랑(耆婆郞)-
제269사(事) 불린(不吝: 인색하지 않음)-<삼국유사>의 빈녀양모(貧女養母)-
제270사(事) 위비(慰悲: 슬픔을 위로함)-석북(石北)의 '한벽당십이곡'-
제271사(事) 보궁(保窮: 궁함을 도움)-<시용향악보>의 <상저가>(相杵歌)-
제272사(事) 용부(勇赴: 용감하게 나아감)-고려 '처용가'-
제273사(事) 정선(正旋: 바르게 돌아감)-심산(心山)의 <심산유고>-
제274사(事) 능인(能忍: 잘 참음)-이행(李荇)의 <속삼강행실도>-
제275사(事) 장가(藏呵: 꾸짖음을 감춤)-우남(雩南)의 조사(弔詞)-
제276사(事) 엄(嚴: 엄함)-<화원악보>(花源樂譜) 650의 삶-
제277사(事) 병사(屛邪: 간사함을 물리침)-신석정의 <대바람 소리>
제278사(事) 특절(特節: 특별한 절개)-<석북문집> '관서악부'(關西樂府)-
제279사(事) 명찰(明察: 밝게 살핌)-<진본청구영언> 249-
제280사(事) 강유(剛柔: 강함과 부드러움)-<서포집> 권2의 윤씨-
제281사(事) 색장(色莊: 기색(氣色)이 씩씩함)-<진본청구영언> 14-
제282사(事) 능훈(能訓: 스스로 배움)-<진본청구영언> 513-
제283사(事) 급거(急?: 급히 물리침)-'무오독립선언서'(戊午獨立宣言書)-
Ⅲ. 나오며

색인


하권

제7장 갚음론(報答論)

Ⅰ. 들어가기
Ⅱ. 보(報): 선악의 미적(美的) 대상
제284사(事) 보(報: 갚음)-규장각본, <가곡원류> 87-
제285사(事) 적(積: 쌓음)-<나무꾼과 선녀>-
제286사(事) 세구(世久: 대를 이어 오래됨)-<춘향전>의 농부가-
제287사(事) 무단(無斷: 끊어짐이 없음)-향가(鄕歌) '풍요' (風謠)-
제288사(事) 익증(益增: 더하여 증가함)-<여유당전서> 권 14 김만덕-
제289사(事) 정수(庭授: 가정에서 이어 나감)-문묘에 배향(配享)된 부자(父子)-
제290사(事) 천심(天心: 하늘마음)-이천보의 <진암집>(晋庵集)-
제291사(事) 자연(自然: 저절로 그러함)-<보한집>의 최충 부자(父子)-
제292사(事) 중(重: 큼)-조수삼(趙秀三)의 <추재집>(秋齋集)-
제293사(事) 유조(有早: 일찍 있음)-최치원의 <계원필경(桂苑筆耕)>-
제294사(事) 공실(恐失: 잃을까 두려워함)-<경주 최부잣집 300년>-
제295사(事) 면려(勉勵: 힘쓰고 권장함)-<여유당전서> '두 아들에게 알림'-
제296사(事) 주수(株守: 뿌리지킴)-유치환(柳致環)의 '바위'-
제297사(事) 척방(斥謗: 비방을 물리침)-<진본청구영언> 420주랴-
제298사(事) 광포(廣佈: 널리 폄)-영조의 '금오서원문'(金烏書院文)-
제299사(事) 창(?: 시작함)-윤동주의 <새벽이 올 때까지>-
제300사(事) 유구(有久: 오래됨)-단군신화의 동굴모티프-
제301사(事) 유린(有隣: 이웃이 있음)-<진본청구영언> 380-
제302사(事) 기연(其然: 그러함)-<삼국유사> 선율환생(善律還生)-
제303사(事) 자수(自修: 스스로 닦음)-'덕진교(德津橋) 설화'-
제304사(事) 불권(不倦: 게으르지 않음)-균여의 '예경제불가'-
제305사 욕급(欲及: 이르고자 함)-‘노힐부득 달달박박’의 설화-
제306사(事) 영(盈: 가득 참)-'참회업장가'(懺悔業障歌)의 죄업-
제307사(事) 습범(襲犯: 범죄를 물려받음)-<콩쥐팥쥐전>의 팥쥐-
제308사(事) 연속(連續: 연이어 계속함)-우화시(寓話詩) '이로행'(?奴行)-
제309사(事) 유가(有加: 더함이 있음)-<금화사몽유록>(金華寺夢遊錄)-
제310사(事) 전악(轉惡: 악함을 전함)-<사씨남정기>의 교씨와 동청-
제311사(事) 대(大: 큼)-<진본청구영언>(珍本靑丘永言) 487-
제312사(事) 감상(勘尙: 죄를 더함)-<사씨남정기>의 교씨 죄상-
제313사(事) 무탄(無憚: 두려워함이 없음)-<김인향전>의 계모 정씨-
제314사(事) 취준(驟峻: 갑자기 험악해짐)-<춘향전>의 수청 강요-
제315사(事) 외선(外善: 겉으로만 착함)-<명주보월빙>의 성난화-
제316사(事) 소(小: 작음)-<심청전>의 뺑덕어미-
제317사(事) 배성(背性: 본성을 버림)-<매일신문>의 '창씨(創氏)와 나'-
제318사(事) 단련(斷連: 끊고 이음)-<사씨남정기>의 요악(妖惡)-
제319사(事) 불개(不改: 고치지 못함)-<대한매일신보> 중 '권고현내각'-
제320사(事) 권린(勸隣)-<심산유고>ㆍ'양가비수'(梁家匕首)-
Ⅲ. 나오며

제8장 응함론(反應論)

Ⅰ. 들어가기
Ⅱ. 응(應)ㆍ진선미(眞善美) 의식
제321사(事) 응(應: 응보)-<춘향전>의 변 부사와 춘향의 응보-
제322사(事) 적(積: 쌓음)-<구운몽>(九雲夢)의 몽유공간의 삶-
제323사(事) 극존(極尊: 지극히 존귀함)-<어천가>(御天歌)의 덕화(德化)-
제324사(事) 거유(巨有: 크게 소유함)-<古今歌曲> 259의 덕치(德治)-
제325사(事) 상수(上壽: 오래 삶)-<槿花樂府> 28의 요순(堯舜) 장수(長壽)-
제326사(事) 제손(諸孫: 여러 자손)-<보한집> 상권의 적선가(積善家)-
제327사(事) 강녕(康寧: 건강하고 편안함)-<춘향전>의 이몽룡(李夢龍)-
제328사(事) 선안(仙安: 신선의 안락함)-<전우치전>의 도술-
제329사(事) 세습(世襲: 대대로 물려받음)-<백학선전>의 가문전통-
제330사(事) 혈사(血祀: 피로 제사 지냄)-정몽주(鄭夢周)의 만세 스승상(像)-
제331사(事) 중(重: 무거움)-<전우치전>의 대종신리(大倧神理)-
제332사(事) 복중(福重: 복이 거듭 쌓임)-<보한집>(補閑集) 상권의 시-
제333사(事) 옥백(玉帛: 옥과 비단)-<흥부전>의 흥부-
제334사(事) 절화(節化: 절개로 화함)-<야은선생언행언행습유속집>의 절의-
제335사(事) 현예(賢裔: 어진 후손)-'서동요'(薯童謠)의 서동-
제336사(事) 건왕(健旺: 굳건하고 왕성함)-권근의 '하탄일전'(賀誕日箋)-
제337사(事) 길경(吉慶: 길하고 경사스러움)-<춘향전> 춘향의 절개-
제338사(事) 세장(世章: 대대로 문장)-삼주(三洲) 이정보(李鼎輔)의 시조-
제339사(事) 담(淡: 맑음)-송순(宋純)의 '금오산'(金烏山)-
제340사(事) 응복(應福: 복에 응함)-채제공(蔡濟恭)의 '한거'(閑居)-
제341사(事) 유고(裕庫: 넉넉한 창고)-'영종대왕전교'의 은전(恩典)-
제342사(事) 무액(無厄: 액이 없음)-퇴계의 '과선생려'(過先生閭)-
제343사(事) 이수(利隨: 이익이 따름)-김종직의 '이존녹어'(彛尊錄語)-
제344사(事) 천권(天捲: 하늘의 걷힘)-야은의 생활을 반영한 한시(漢詩)-
제345사(事) 영(盈: 가득 참)-16세기 어무적(魚無迹)의 '금오산'-
제346사(事) 뇌진(雷震: 우레와 벼락)-<숙향전>의 벼락 응징(膺懲)-
제347사(事) 귀갈(鬼喝: 귀신의 부름)-<숙향전>의 전생 죄 업보-
제348사(事) 멸가(滅家: 집안이 멸함)-<삼국유사> 의 '조신조'(調信條)-
제349사(事) 절사(絶祀: 제사가 끊어짐)-<춘향전>의 기자정성(祈子精誠)-
제350사(事) 실시(失屍: 시신을 잃음)-<금방울전>의 김삼랑-
제351사(事) 대(大: 큼)-<변강쇠전>의 변강쇠-
제352사(事) 인병(刃兵: 병사들의 칼날)-<유충렬전>의 정한담-
제353사(事) 수화(水火: 물과 불)-<유충렬전>의 충렬-
제354사(事) 도적(盜賊: 해로운 도둑)-<사씨남정기>의 동청 업보(業報)-
제355사(事) 수해(獸害: 짐승의 피해)-<장화홍련전>의 장쇠-
제356사(事) 형역(形役: 형벌의 노역)-고소설상 주인공의 죄업(罪業)-
제357사(事) 천라(天羅: 하늘의 그물)-<춘향전>의 천상의 죄과(罪科)-
제358사(事) 지망(地網: 땅의 그물)-신석정의 '슬픈 구도'(構圖)-
제359사(事) 급신(及身: 몸에 미침)-<숙향전>의 숙향 사기(邪氣)-
제360사(事) 소(小: 작음)-<古今歌曲> 12의 선악-
제361사(事) 빈궁(貧窮: 가난하여 궁색함)-<흥부전>의 놀부 인과관계-
제362사(事) 질병(疾病: 모든 병)-<개벽>(開闢) 65호의 '조선병'-
제363사(事) 패망(敗亡: 실패하여 망함)-이상화의 '통곡'(慟哭)-
제364사(事) 미실(靡室: 가족이 없음)-송만재(宋晩載)의 <관우희>(觀優戱)-
제365사(事) 도개(道?: 길에서 구걸함)-한용운의 '당신을 보았습니다'-
제366사(事) 급자(及子: 자손에게 미침)-<삼국유사> 권3 '조신'의 삶-
Ⅲ. 나오며

부록 홍익오경(弘益五經)

Ⅰ. <천부경>(天符經)
Ⅱ. <지부경>(地符經)
Ⅲ. <인부경>(人符經)
Ⅳ. <삼일신고>(三一神誥)
Ⅴ. <참전계경>(參佺戒經)

색인

저자소개

윤경수 (지은이)    정보 더보기
단기 4267(1934)년 경기 화성시 출생 문학박사, 문학평론가, 수필가 성균관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졸업 건국대학교 석사과정 수료 성균관학교 박사과정 국어국문학과 수료 성균관대학교·한성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강사 부산외국어대학교 대학원 일어일문학과 강사 한성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강사 성균관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류교수 부산외국어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 *2011 現在: 世宗大王紀念事業會朝鮮王朝實錄人名事典編輯委員·古朝鮮檀君學會 우리文學會·東邦文學顧問·龍仁市民新聞 市民記者·中國北京自修大學校名譽敎授. 石北詩 硏究(1984) 鄕歌·麗謠의 現代性硏究(1993) 韓國文學思想의 現代性硏究(1994) 圖解·韓國神話와 古典文學의 原型象徵性(1997) 圖解·朝鮮朝小說의 神話的 分析(1998) 圖解·韓國古小說의 洞窟모티프 硏究(1999) 圖解·弘益人間과 敍事文學(上·下)(2003~2004) 檀君禮節敎訓366事와 弘益人間思想(上·下)(2007) '關山戎馬'의 美學的 考察(2007) 朝鮮王朝實錄 人名事典(共著)(2011) 詩人大會 및 外國學術大會發表 1990. 5. 13~17. Malaysia, KualaLumpur, ASIAN POETS CONFERENCE, 招請‘Korean Armistice Line’發表 1992. 10. 3~4. 日本 天理大學 主催 學術大會 招請 ‘茶山詩 哀絶陽ついて’發表 1993. 8. 20~23. SEOUL ASIAN POTS CONFERENCE 招請 ‘WIND’發表 1994. 10. 1~2. 日本 天理大學 主催 學術大會 招請(第145回 朝鮮學大會) 招請 ‘鄕歌文學 · 歷史 意識包容の宇宙科學的 考察’ 發表 1996. 7. 21~22. 中國民間文藝家協會 延邊分會 主催 韓國과 中國朝鮮族 口碑文學 比較硏究 學術大會招請 ‘說話에 나타난 龍의 韓中 比較’ 發表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889268208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