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전환기 무용문화의 시대적 의미

전환기 무용문화의 시대적 의미

김호연 (지은이)
민속원
36,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36,000원 -0% 0원
1,800원
34,200원 >
32,400원 -10% 0원
0원
32,4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전환기 무용문화의 시대적 의미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전환기 무용문화의 시대적 의미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무용 > 무용이론/비평/역사
· ISBN : 9788928518036
· 쪽수 : 472쪽
· 출판일 : 2022-12-30

책 소개

저자가 2019년부터 2021년까지 여러 지면에 쓴 리뷰와 서평 그리고 비평 형식의 글이 중심을 이룬다. 단순하게 3년여 기간이지만 코로나 펜데믹 이전과 코로나 펜데믹 시기 그리고 위드 코로나 등 사회적으로 변화무쌍한 기간에 이루어진 공연의 기록이다.

목차

머리말

제1장 리뷰 2019

01 초현실주의에 대한 주관적 인식의 표현-세컨드네이처댄스컴퍼니 <기억의 지속>-
02 혁신적 전통의 현재적 적용-국립현대무용단 <쓰리 스트라빈스키> 중 <봄의 제전>-
03 경기 천년 역사의 거시적 담론 표현-경기도립무용단 <하루>-
04 문화원형 수용을 통한 동시대 전통성의 표현-이경옥무용단 <댕기풀이>-
05 안무가의 주제 의식과 전형성의 표출-김남식 안무 <살로메>, 허성임 안무 <넛크러셔>-
06 MR을 통한 인식의 확대와 새로운 체험-이정연댄스프로젝트 <루시드 드림>-
07 일상을 바라보는 두 가지 시각-프로젝트 클라우드 나인 <개미>, 장은정무용단 <매스?게임!>-
08 창무극을 통한 예인의 삶-류장현 연출 <주름 많은 소녀>-
09 현대 경쟁 사회에 대한 상징적 표현 방식-유빈댄스프로젝트 <히든 디멘션>-
10 고전의 해체와 자기 의식화-류장현과 친구들 <변신>-
11 동시대 한국창작무용의 현실적 적용-윤미라무용단 <창작무보>-
12 몽상적 상념과 기억의 현재성-고블린파티 <소극적적극>-
13 레트로의 정조 속 긴장과 이완-김남용&좋은생각들 <하나되는 꿈>-
14 총체적 표현을 통한 안무의 새로운 방법론-링카트 <정류장>-
15 원형의 현재성과 그 경계에서-국립발레단 <댄스 인투 더 뮤직>, 장혜림 안무 <제祭>-
16 다양한 미시적 표현을 담아낸 무용극-서울시무용단 <놋 N.O.T>-
17 강원도립무용단의 고정 레퍼토리로 가능성-강원도립무용단 <강호>-
18 서양 고전의 현대적 인식의 표현법-메타 댄스 프로젝트 <안티고네>-
19 총체적 공연예술 속에서 바라본 무용-서울예술단 <나빌레라>, 퍼포먼스그룹153 <슈만 잠들다>-
20 무용수에서 안무가로 통과의례의 마당-<젊은 안무자 창작 공연>-
21 현대 사회의 구조화된 집단적 인식 행위-전혁진 안무 <우리는 다르게 진화했다>-
22 무용수로 여성으로 실존적 담론에 대한 고민-성남아트센터 마스터즈 <자아도취>-
23 전통과 현대의 공전과 공존-경기도립무용단 <공전>-
24 격정적이면서 마음을 움직이는 작품을 기대하며-2019 22Th 크리틱스 초이스 댄스 페스티벌-
25 자아와 관계성에 대한 두 가지 이야기-허용순 안무 <Imperfectly Perfect>, 배유리 안무 <캐리어>-
26 동시대 한국창작무용의 바로미터로 의미-Altimeets무용단 <1st ALTIMEETS>-
27 항구적 여름 레퍼토리로 가능성-댄스시어터사하르 <한여름 밤의 호두까기 인형>-
28 한국창작춤의 새로운 문법을 기대하며-댄스 앤 컬쳐 위즈덤 <만나다:encounter>-
29 무용수들의 안무에 대한 감각적 표현 방법론-국립발레단 <KNB Movement Series 5>-
30 춤의 본질과 사회적 의미의 보고서-권령은 안무 <당신은 어디를 가도 멋있어>-
31 시공간 함께 공유할 수 있는 미의 표현-발레블랑 <공존>-
32 흥미를 끄는 새로운 기획의 출발점-대전시립무용단 <감독전>-
33 실향민에 대한 헌사와 현존의 의미 표현-강원도립무용단 <아바이>-
34 점진적인 경기도립무용단의 변화를 기대하며-경기도립무용단 <토요상설무대>-
35 단원 김홍도에 대한 네 가지 해석-<댄싱키즈>-
36 표현주의적 기법을 통한 동시대성의 고찰-가야댄스컴퍼니 <두려움에 갇혀>-
37 문학을 모티브로 한 세 가지 무용창작 방법론-윤수미무용단 <춤의 조각보 Ⅳ_문학, 춤과 만나다>-
38 오롯한 전통춤의 맺음과 풀림-임수정 전통춤판 <춤푸리>-
39 동시대 삶의 진지한 고민들-서울무용제 <인술라이>, <곳>-
40 복고적 전형성을 띤 무용극-경기도립무용단 <련蓮, 다시 피는 꽃>-
41 순환적 구조에서 인간의 일상적 삶-국립현대무용단 <검은돌: 모래의 기억>, 댄스컴퍼니 명 <업사이클링 댄스>-

제2장 리뷰 2020

01 자아의 드러냄과 사회적 담론의 반영-김영미댄스프로젝트 <페르소나Ⅱ>-
02 새로운 표현 전달의 아쉬움-프로젝트 클라우드 나인 <독립>, 서울발레단 <La Boca(라 보까)>-
03 닫힌 구조에 대한 새로운 변용과 인식-음악그룹 나무 <8음>-
04 역사적 모티브의 후일담을 통한 언술-M발레단 <오월바람>-
05 인류 미래에 대한 동시대의 고민-언플러그드 바디즈 <호모 파베르>-
06 인간 존재에 대한 본질적 표현의 탐구-미나유 안무 <바디 락>-
07 억압 속 움직임과 확장적 표현의 교차성-정수동 안무 <군림>-
08 억압 속 움직임과 확장적 표현의 교차성-고블린파티 <여우와 돌고래>-
09 고전에 대한 자율적 사회의식의 표현-정형일 Ballet Creative <Swan Lake:The Wall>-
10 코기토의 미래에 대한 질문-세컨드네이처댄스컴퍼니 <비트 사피엔스>-
11 반복적 행위를 통한 상징성-시나브로 가슴에 <Hit&Run>-
12 짙은 페이소스에 묻어난 실존의 문제-금배섭 <포옹>-
13 코로나 시국 속 공연의 한 양태-앰비규어스 댄스컴퍼니 <피버FEVER>-
14 코로나 일상 속 실존에 대한 여러 생각들-2020 모다페 ‘모다페 초이스 #1’-
15 고전에 대한 또 다른 시선-더파크댄스 <처용-불안과 불신속에서>, 양승관 안무 <칭클챙클>-
16 현실, 상상 그 경계의 일상적 놀이판-리케이댄스 <판>-
17 담담한 균정미의 동시대 표현 방법-유미크댄스 <트라이앵글>-
18 동시대 젊은 발레 안무가의 창작방법론-이루다블랙토 <W>, 유회웅 리버티홀 <변화가 변화를 변화한다>-
19 이미지텍스트에 대한 정제적 해석-김영미 댄스프로젝트 <2020 앙리마티스를 춤추다>-
20 현대무용의 친절한 길라잡이-앰비규어스 댄스컴퍼니 <바디콘서트>-
21 사회를 바라보는 다양한 젊은 시선들-2020 23TH 크리틱스 초이스 댄스페스티벌-
22 전형성의 변용을 통한 동시대 발레창작의 방법론-정형일 안무 <The Line of Scene>, 김세연 안무 <레퀴엠: Archangel>-
23 삶을 바라보는 세 가지 관점-김주빈 안무 <고개 고개로>, 권미정 안무 <좋은 날>, 최재혁 안무 <人 in 人>-
24 고정적 레퍼토리 속 정체성의 확립-유니버설발레단 <오네긴>-
25 과거와 현재 미래의 현재적 대화-김주빈ㆍ이정섭 <공존할 수 없는 시간의 만남>-
26 현대사회에 대한 구도적 인식-댄스컴퍼니 명 <사물과 인간 사이>-
27 전통에 바탕을 둔 동시대 담론의 미학적 가치-국립무용단 <다섯 오>-
28 코로나 팬데믹에 대한 또 다른 기록-현대무용단 탐 40주년기념 작품시리즈 Ⅱ 젊은무용수 젊은안무가-
29 현실을 딛고 일어서려는 긍정적 의식-대전시립무용단 <사계, 잊혀진 이야기>-
30 동시대적 전통의 새로운 표현 방법론-리을무용단 <+_영원Ⅱ>-
31 보이지 않는 차별에 대한 현실적 인식-국립현대무용단 <이것은 유희가 아니다>-
32 전통성과 일상적 담론의 현실적 모습-서울시무용단 <웨딩보감>-
33 융복합 공연의 본질적 방향성 추구-콜렉티브에이collective A <원형하는 몸:round1>-
34 구전심수를 통한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의 대화-대전시립무용단 기획공연Ⅱ <감독전-거장을 만나다>-
35 서울무용제에 대한 단상-제41회 서울무용제 본선작-
36 제주 문화원형의 동시대적 감각 표현-제주도립무용단 <이여도사나-생명편>-

제3장 리뷰 2021

01 보편적 진리의 절제된 표현 방식-울산시립무용단 <2020 몸아리랑 아제아제>-
02 판타지 무용극을 통한 새로운 역사의식-경기도립무용단 <률律>-
03 참여형 증강현실의 무대화 그리고 무용의 본질-이정연프로젝트 <루시드드림Ⅱ>-
04 다양한 색깔의 표현 방식, 2020 창작산실 올해의 신작 네 작품-댄스프로젝트 Tan Tanta Dan <평안하게 하라>, 노네임소수 <BLACK>, 최지연 무브먼트 <플라스틱 버드>, 김남식&댄스투룹-다 <호모 모빌리쿠스>-
05 실험적이면서도 기본에 충실한 무대-노네임소수 <BLACK>-
06 주제의 명확성 그리고 안정적 표현 방법-알티밋 무용단 <고요한 순환>-
07 사회적이면서도 안정적 표현방법의 추구-김윤정 안무 <그런데 사과는 왜 까먹었습니까>, 조현상 안무 <두 개의 혀>-
08 본질적 요소에 충실한 표현 방법론의 한 모습-홍경화무용단 <BODA-보이는 것과 보이지 않는 것>-
09 환상적 리얼리즘을 통한 현실적 인식-세컨드네이처댄스컴퍼니 <슬리핑 뷰티>-
10 과거, 현재, 미래를 바라보는 또 다른 문턱-가림다댄스컴퍼니 40주년 기획공연 <공존 가ㆍ림ㆍ다 흔적을 남기다>-
11 새로운 변화를 기대하며-국립발레단 <해적>-
12 경계를 넘어서는 새로운 안무의 방향성-서연수 안무 <직선과 곡선>, 오정은 안무 <[ ]타다>-
13 수행적 몸짓 속에서 드러난 철학적 사유-휴먼스탕스 <돌>-
14 시대를 치유하는 총체적 무용극-서울시무용단 <감괘>-
15 또 다른 변화의 모멘텀-윤수미무용단 <툰드라>-
16 사회적 문제를 과감하게 수용한 발레 작품들-김용걸 안무 <La Lumiere, Le silence et…(빛, 침묵 그리고 …)>, 홍성욱 안무 <The Last Exit>-
17 확장을 위한 하나의 디딤돌-2021년 젊은 안무가 창작공연 D조-
18 전통의 변용을 통한 동시대적 감각의 구현-제35회 한국무용제전 경연작-
19 마음을 치유하는 반영反映의 공연예술-조기숙 뉴발레단 <물끄러미, 하염없이>-
20 실존에 대한 회의적 사유와 현실성-신유진 세라비(C’est La Vie) 프로젝트 <ILLUSION 일루전>-
21 양가적 표현을 통한 사회적 담론의 표현-이루다 블랙토 <DYSTOPIA>-
22 한국적이면서 동시대적 감각의 격정적 춤혼-무트댄스 <김영희 춤의 혼을 담다>-
23 트랜스컬처의 동시대적 감각을 드러낸 세 가지 이야기-유니버설발레단 <트리플 빌>-
24 위드 코로나, 춤으로 풀어놓은 사회적 행위-김남식 안무 <내 이름 아시죠?>, 권령은 안무 <작꾸 둥글구 서뚜르게>, 김보라 안무 <점.>-
25 주제에 담아 새롭게 펼쳐진 정재의 여러 모습들-국립국악원 무용단 <춤으로 빚은 효>-
26 코로나 펜데믹 상황 속 젊은 안무가의 도전 의식-2021 24회 크리틱스 초이스 댄스 페스티벌-
27 공간의 확장 속에 그려진 환상과 미메시스-씨투댄스 컴퍼니 <Illusion of If>-
28 새로운 가치 창출의 재생산 행위-장은정 안무 <매스?게임! vol2.5>, 황수현 안무 <검정감각360>-
29 개성적 춤꾼을 위한 디딤-김유나 첫 번째 춤판 <판화>-
30 다양한 실험적 표현의 방법론-댄스컴퍼니 브레이브맨 <아뇌쿠메네>-
31 현존과 전통의 개성적 창출 무대-국립현대무용단 <HIP合>-
32 색감을 통한 전통춤의 감각적 표현-코리안댄스컴퍼니 결 <RGB>-
33 집단적 행위 속에 나타난 개성적 몸짓-윤덕경 무용단 <아리랑Factory 기쁨도 슬픔도 넘치지 않고>, 국립발레단 <KNB Movement Sreies6>, 알티밋 무용단 <2nd 알티밋-무용단 알티밋 2회 정기공연>-
34 창조적 발레 창작을 기대하며-M발레단 <안중근, 천국에서의 춤>-
35 다양한 몸짓 속 살아있음에 대한 공유 무대-제27회 창무국제공연예술제 개막작-
36 한국적 고유성과 일상적 보편성의 창작을 기대하며-주빈 컴퍼니 <새다림>-
37 확장을 통한 새로운 가치 형성-서연수 안무 <집속의 집-두 번째 이야기>-
38 새로운 창작 방법의 확장을 기대하며-2021 무트댄스 워크숍퍼포먼스-
39 시작과 끝의 거시적 서사 구조-이화발레앙상블 <A&Z>-
40 인간성 회복에 대한 짙은 고민-세컨드네이처댄스컴퍼니 <눈먼자들>-
41 고전에 대한 체화된 재생산적 방법론-최자인 안무 <시빌Sibyl>-
42 전통의 현대적 수용과 펼침-경기도무용단 <경합>-
43 무대예술로 다양한 표현 방식-퍼포먼스그룹153 <체인지 오브 시즌7>, 김순정발레단 <4인 안무가전>-
44 추모 속에 담긴 응축된 몸짓-양민아 <자모사慈母思>-
45 한국적 고유성의 현대적 발현-국립무용단 <다섯 오>-
46 현대 자본사회를 직관하는 진지한 관점-아트독댄스 프로젝트 <살루트 더 로얄>-
47 움직임에 대한 총체적 리서치-안상화 안무 <1687 움직임에 대한 원리>-
48 개작에 따른 또 다른 가치 창출-이루다 블랙토 <디스토피아>-
49 지역문화 기반의 개성적 전통춤의 발현-정진욱 <영남산조춤>-
50 담담히 그려낸 동시대 인식-국립무용단 <다녀와요, 다녀왔습니다>, 장혜림 안무 <제Ver.2 타오르는 삶>, 정보경 안무 <친애하는 나의 그르메>-
51 한국 춤의 전통성과 동시대 감각의 펼침-<공감시대-무용, 이 시대의 춤꾼>-

제4장 무용시평 및 서평

01 뉴노멀 시대, 새로운 무용문화의 길
02 현실 반영과 심미적 표현의 경계에서
03 지역문화 창조를 위한 끊임없는 노력 - 박시종
04 예술가에서 문화경영자로 새로운 도전 - 백정희
05 동시대 다양한 담론을 펼치는 안무가 그리고 무용수 - 서연수
06 진정성 있는 무용 대중화의 선봉 - 장경민
07 비평적 에세이로 풀어낸 통시적 관점의 발레사-<서평> 김순정, [김순정의 발레 인사이트]-

저자소개

김호연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학부에서 국문학을 전공하였고, 「한국 근대 악극 연구」로 문학박사를 취득한 뒤, 근현대 공연예술에 집중하였다. 2년여 일본 도쿄에서 외유한 이후 그 폭을 넓혀 대중문화, 한류 등을 비롯한 한국학과 관련된 논문을 썼다. 우연한 기회에 무용과에 속하며 무용학 논문을 썼고, 이후 꼼꼼한 관객의 입장에서 춤평론을 쓰며 춤평론가로 활동하고 있다. 『한국근대무용사』, 『한국 춤 새롭게 바라보기』, 『전통 춤의 변용과 근대춤의 탄생』 등의 책을 썼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