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미술 > 서예
· ISBN : 9788928520640
· 쪽수 : 464쪽
· 출판일 : 2024-12-21
책 소개
목차
머리말
제1장 조선 명필 창암 이삼만, 정읍에서 태어나다
1. 창암의 일생에 관한 간략한 소묘
2. 창암의 ‘출생설’에 관한 두 가지 견해들:‘정읍 출생설’을 확정하고, ‘전주 출생설’의 문제점을 논증함
제2장 창암의 선대(先代)와 가계(家系)
1. 창암의 선대와 가계
2. 창암의 선대로서의 원교와 창암의 관계
3. 창암과 원교의 서도적 만남
4. 창암의 가족관계
5. 창암 필생의 연인 ‘명창(名唱) 심녀(沈女)’ 정씨(鄭氏)
제3장 궁벽진 정읍 산촌 마을 부무실(富武室)에서 ‘득필천연(得筆天然)’의 미래를 꿈꾸다
-창암의 유소년시절
1. 가혹한 제도와 세태에 항거한 아버지의 산촌 은거와 그로 인한 ‘가난’
2. 스승은 하늘, 붓은 작대기, 종이는 대지
3. 산속에서 찾아낸 서도/서예 재료들과 내어버린 천 조각들
제4장 가난 속에서 채약(採藥)으로 연명하며 서도(書道)에 몰두하다
-창암의 청년시절
1. 독사에 물려 돌아간 아버지와 ‘뱀’ 트라우마
2. 자신의 가난한 거처에 손수 편액을 써서 걸다
3. 채약(採藥)으로 연명하며 서도에 몰두하다
4. 낡은 베 쪼가리를 빨아가며 글씨를 연습하다
5. 처음으로 집안 선조의 비문을 쓰다
제5장 가난 속에서 나무꾼[樵夫]을 자처하며 서도(書道)에 몰두하다
-창암의 장년시절
1. 서도의 꿈을 이루기 위해 서법 책을 발간하다
2. 이 시기에 쓴 그의 편액 글씨들
3. 집 앞 시냇가 자연석에 자신의 글씨를 새기다
4. 이 시기에 처음 발견되는 그의 초기 서첩 글씨들
5. 40대 후반에 우연히 찾아온 득명의 기회
제6장 전주 ‘옥류동(玉流洞)’으로 이거하여, 서도(書道)에의 뜻을 더욱 기루다
-창암의 노년기 전반
1. 선조들의 세거지 전주로의 귀향, 그리고 월당(月塘) 최담(崔?) 집안의 사숙(私塾) 생활
2. 옥류동 사숙(私塾) 터에 남긴 그의 석각 흔적들
3. 눈에 띄는 그의 50대 작품 몇 점들
4. 부인의 서거, 후사(後嗣)의 단절
5. ‘명창(名唱) 심녀(沈女)’ 정씨(鄭氏)와의 인연으로 서도의 뜻을 더욱더 기루어 나아가다
6. 부단히 서도(書道)에 정진하다:‘득필(得筆)’을 위한 부단한 임서(臨書) 공부와 그 결실들
7. ‘사법고(師法古)’의 강조와 ‘민족서도(民族書道)’의 발견
8. 드디어, 창암 서도이론의 기초를 세우다:‘신명(神明)/신바람’의 서도이론(書道理論)
제7장 전주 옥류동(玉流洞)에서 ‘득필천연(得筆天然)’의 경지를 보다
-창암의 노년기 중반
1. 옥류동에 스스로 마련한 자신의 집
2. 사랑하는 필생의 연인 ‘명창(名唱) 심녀(沈女)’ 정씨(鄭氏)의 죽음과 서도에의 매진
3. 창암 서도(書道)의 4대 실천 강령 수립 및 실행과 ‘차이’의 발견
4. 조선서도의 ‘차이’로 자신의 글씨를 쓰기 시작하다
제8장 완주 상관 공기골에서 창암 서도이론을 완성하고 창암 서체 ‘유수체(流水體)’를 확립하다
-창암의 노년기 후반
1. 창암의 말년:완주 ‘공기골[孔洞]’에서 고요히 은거하다
2. 마침내, 창암 서도이론의 완성에 이르다
3. 드디어, ‘득필천연(得筆天然)’의 서도 경지에 이르다:그가 이루어낸 물 흐르듯 자연스러운 ‘유수체(流水體)’의 행방
4. 그가 말년에 도달한 ‘득필천연(得筆天然)’의 수작들
5. 아예 붓을 내던지고, 손가락으로 자신 서도의 ‘절정’을 표현하다
제9장 창암의 서거와 사후, 그리고 후인들의 평가
1. 사랑하는 마지막 제자에게 유언서첩을 남기다
2. 그의 마지막 은거지 ‘공기골’에서 한 많은 삶을 마감하다
3. 평촌리 아랫잣골 선영에 ‘명창 심녀(名唱沈女) 정씨(鄭氏)’와 같이 영면에 들다
4. 추사가 유배지에서 돌아오는 길에 그의 묘비문을 써서 전하다
5. 후세인들의 평가
제10장 창암 서도의 계보와 그 역사적 전개
1. 창암 서도의 근원
2. 창암 서도의 기본 전범
3. 진나라 서도에서 취한 ‘고아함’
4. 수당(隨唐) 서도가들의 다양성 섭렵
5. 민족서도에의 관심과 공부:‘동국진체’에로의 길
6. 창암 이후, 그의 후예들
제11장 창암 서도와 서예의 역사적 의의와 가치
1. 창암이 추구한 민족서도의 방향과 특징:‘동국진체’ 전통의 계승과 그 테두리의 심화ㆍ확장
2. 창암이 개척해낸 민족?민중서도 의식의 폭과 깊이
3. 민족민중서도의 다양한 실험과 그 성과들
4. 창암이 이룩한 서도의 미학:‘민족민중적 우졸미(愚拙美)’
5. 창암이 마련한 한국 서도의 근현대적 출구:‘민족-민중서도’의 길
제12장 창암의 유묵(遺墨) 세계 : 주요 작품 감상
* 서첩(書帖)
* 병풍서
* 편액(扁額) 및 주련(柱聯)
* 비문ㆍ석각, 기타
부록 1. 창암 이삼만 인보(印譜)
부록 2. 창암 이삼만 연보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