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과학 > 공학 > 환경공학
· ISBN : 9788929304201
· 쪽수 : 384쪽
· 출판일 : 2013-06-21
책 소개
목차
<추천사>
<머리말>
제1장. 총론
제1절 세상을 움직이는 에너지
1. 우리 생활 속의 에너지
2. 에너지 변천사
(BOX)목적에 따라 다르게 쓰이는 에너지
3. 한국과 미국의 기름 값
제2절 에너지를 둘러싼 세계 강국의 대립
1. 미국과 러시아
2. 중국과 러시아
3. 미국과 중국
(BOX) 유럽연합(EU)의 결속
제3절. 세계 에너지시장은 어떻게 변화할까
1. 2035년까지의 4가지 공통된 현상
2. 2010년~2035년 세계 1차 에너지 수요
3. 지역별 에너지 수요 전망
(BOX) 화석연료 소비에 보조금 주는 국가들
4. 우리나라의 에너지 여건
5. 우리나라의 에너지원별 소비
제2장 석탄
제1절. 석탄산업의 이해
1. 석탄의 기원
2. 석탄의 종류
3. 세계 석탄 매장량, 생산량, 소비량
4. 우리나라의 석탄 부존 현황
제2절. 우리나라의 석탄산업
1. 근대적 석탄 개발의 시작
(BOX) 일제의 자원 수탈
2. 석탄 중흥시대와 주유종탄 정책
3. 석탄산업 합리화 방안
(BOX) 폐광지역특별법과 강원랜드
4. 석탄의 미래와 석탄가스화복합발전
제3장 석유
제1절. 석유와 관련된 몇가지 궁금한 것들
1. 석유의 정의, 석유제품 생산과정
2. 인류의 석유 사용 역사
(BOX)석유는 어떻게 처음 채굴하게 됐을까
3. 석유고갈론, 석유 피크론
4. 석유매장량의 진실은
5. 세계 원유 매장량, 생산량, 소비량
제2절. 석유를 둘러싼 국가간 갈등
1. 1950년 석유가 제1의 에너지원으로
2. 1차·2차 석유파동
3. 중동에서 발생한 석유전쟁 1 (걸프전쟁)
4. 중동에서 발생한 석유전쟁 2 (이라크 전쟁)
5. 카스피해를 둘러싼 국가간 분쟁
6. 남중국해 영유권 다툼과 향후 전망
제3절. 국제 석유시장의 흐름
1. 국제 석유시장의 변화
2. OPEC과 비OPEC의 석유공급
3. 세계 석유물량의 3분의 2는 해상운송으로
3-1. 호르무즈해협
3-2. 말래카해협
3-3. 수에즈 운하
3-4. 파나마운하
3-5. 중국의 야심-제2의 파나마운하(BOX) 한국의 석유수송로
4. 송유관 수송
제4절. 국제유가와 주요 시장
1. 국제 유가 추이
2. WTI와 두바이유의 가격 역전과 영향
(BOX)국제유가 사이클
3. 국제유가의 아시아 프리미엄
4. 한국의 원유 중동의존도
5. 세계 최대 석유소비국인 미국
(BOX) 미국의 세계 석유시장 전략
6. 주목받는 이라크
제5절. 한국의 석유산업
1. 우리나라의 석유 기원
2. 정유산업의 태동
3. 한국 석유산업 특징
4. 한국의 석유소비
5. 국내 휘발유 가격
6. 국내 기름 값이 묘하다?
(BOX)정부는 왜 유류세에 목매달까
7. 해외자원개발의 필요성
(BOX)한국을 산유국 대열로 올린 동해가스전
8. 한국의 석유비축
<르포> 카자흐스탄 아다·악자르광구
제4장. 셰일가스
제1절. 전통가스와 비전통가스
1. 전통가스와 비전통가스 정의
2. 전통가스의 생산
3. 비전통가스의 생산
(BOX) 채굴방식의 혁명-수압파쇄기법
4. PNG와 LNG
제2절. 국제LNG 시장 동향
1. 천연가스 시장의 3가지 특징
2. 세계 천연가스 매장량, 생산량, 소비량
3. 한국의 가스산업 현황
4. 아시아 프리미엄 가격
(BOX)가스가격 결정방식
제3절. 천연가스와 러시아
1. 러시아 천연가스 산업의 위상
2. 천연가스 강국 러시아의 위기 1
3. 천연가스 강국 러시아의 위기 2
(BOX) 러시아의 가스공급 중단 … 유럽 비상
4. 러시아의 동북아시아 가스 프로젝트
5. 북한을 경유하는 러시아 천연가스 도입 가능성
(BOX) 독일의 동방정책에서 배우는 러시아 천연가스 도입 사례
제4절. 에너지시장의 ‘신데렐라’로 떠오른 셰일가스
1. 셰일가스 매장량
2. 세계 각국의 셰일가스 개발 동향
2-1. 북미지역(미국/ 캐나다·멕시코)
2-2. 남미지역
2-3. 유럽지역
2-4. 아시아지역(중국/ 인도·호주)
2-5. 아프리카 지역
2-6. 러시아 및 중동지역
3. 주요 기업의 셰일가스 개발 현황
4. 셰일가스 개발확대의 핵심 변수
5. 셰일가스의 불확실성
(BOX)셰일가스 개발을 둘러싼 환경 논란
제5절. 한국과 셰일가스
1. 한국기업의 진출현황
2. 국내 정유사들의 반응
3. 산업통상자원부의 셰일가스 대책
제6절. 셰일가스의 파급 효과
1. 미국 에너지산업에 미친 영향
2. 세계 에너지산업에 미친 영향
3. 셰일가스가 몰고 올 3대 변화
4. 우리나라 산업에 미치는 영향
4-1. 단기적 효과
4-2. 장기적 효과
5. 우리나라 가스가격과의 연동 여부
제7절. 셰일오일
1. 셰일오일의 정의 및 미래
2. 미국의 셰일오일 생산현황
3. 셰일오일 개발의 걸림돌 및 과제
<르포>미국 아나다코 셰일가스 광구
제5장 원자력
제1절. 원자력과 한국의 원전 도입
1. 원자력이란 무엇인가
2. 최초의 원자력발전소
3. 이승만 시대
(BOX)아이젠하워 미국 대통령과 핵개발 도미노
4. 핵무기비확산조약(NPT)
5. 박정희 시대-1
6. 박정희 시대-2
(BOX)경수로와 중수로
제2절. 한국형 원자력발전소 발전사
1. 고리1·2호기, 월성1호기는 턴키방식으로
2. 논턴키 방식과 기술자립
(BOX)바닷물 사용에도 돈이 든다
3. 한국형표준원전의 건립
4. 차세대 원자로(APR 1400) 개발
5. 한국의 원전 현황
6. 원자력의 과제 ‘안전성’
제3절. 다시보는 세계 3대 원전사고
1. 미국 스리마일섬(TMI) 원전사고
2. 소련 체르노빌 원전사고
3. 일본 후쿠시마 원전사고
제4절. 후쿠시마 사고 이후 주요국의 원전정책 동향
1. 원전정책 유지, 신규원전 도입 국가들
1-1. 미국/ 1-2. 중국/ 1-3. 프랑스/ 1-4. 영국/ 1-5. 핀란드, 스웨덴, 인도, 러시아, 브라질, 카자흐스탄/ 1-6. UAE, 사우디, 터키, 폴란드
2. 원전정책 재검토, 축소, 신규원전 보류 국가들
2-1. 일본/ 2-2. 독일/
제5절. 사용후핵연료 재처리 논란
1. 해외 우라늄 자원개발 추진
2. 방폐장부지 선정과정
3. 사용후핵연료 처분논란
4. 사용후 핵연료 처리의 신기술
5. 원전사후처리 비용의 현실화 필요
6. 사용후핵연료, 재처리냐 직접처분이냐
7. 사용후핵연료 재처리의 이점
(BOX)한미원자력협력협정
8. 사용후핵연료 처분에 대한 해외 사례
8-1. 영국/ 8-2. 캐나다/ 8-3. 프랑스/ 8-4. 스웨덴/ 8-5. 핀란드/ 8-6. 일본 /
(BOX)북한으로 핵폐기물을 수출(?)
제6절. 한국 원전 정책의 나아갈 길
1. 원자력은 ‘필요악’
(BOX)자원민족주의 실태
2. 한국의 원자력산업 경쟁력
3. 세계 원자력 3강에서 2강으로
(BOX) UAE 원전수출 뒷얘기
4. 계속운전 논란의 현상
<르포>계속운전 기다리는 월성원전 1호기
제6장. 신재생에너지
제1절. 재생에너지가 주목받는 이유
1. 지구온난화 극복할 해법
2. 신재생에너지의 특징과 장점
3. 재생에너지의 보급 확대의 장애요인
(BOX)에너지원별 전력판매단가
제2절 개별 재생에너지의 장단점
1. 태양광(열)
2. 풍력
(BOX)떠오르는 에너지 해상풍력
3. 수력
4. 조력
5. 바이오디젤·바이오에탄올
6. 폐기물에너지
(BOX)폐기물 기준은 국가마다 다르다
제3절. 세계 주요국의 재생에너지 현황
1. 재생에너지를 둘러싼 선진국과 개도국의 입장차이
2. 주요 국가별 현황
2-1. 노르웨이/ 2-2. 네덜란드/ 2-3. 스웨덴/ 2-4. 프랑스/ 2-5. 독일/ (BOX)독일의 탈원전·신재생 확대 선언 이후/ 2-6. 미국/ 2-7. 캐나다/ 2-8. 브라질/ 2-9. 일본/ 2-10. 중국/ 2-11. 뉴질랜드/ 2-12. 사우디아라비아/ 2-13. 아랍에미리트(UAE)/ 2-14. 나이지리아/ 2-15. 남아프리카공화국
3. OECD 국가들의 재생에너지 비중
제4절. 한국의 신재생에너지 산업
1. 2030년 11% 목표
2. 신재생에너지 보급 프로그램
2-1. 발전차액지원제도(FIT)
2-2. 의무공급제도(RPS)
2-3. 기타 사업
3. 재생에너지 비중 1%를 늘리려면 얼마나 투자해야 하나
(BOX)독일만큼 태양광설치하면 전기요금 35% 인상
4. 한국의 신재생에너지 기술 수준
5. 신재생에너지 테스트베드
6. 보완책 및 개선사항
<르포>국산풍력 발원지 ‘태백풍력발전단지’
<맺음말>
-단위
-참고문헌
-저자소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