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인문계열 > 역사학
· ISBN : 9788930313049
· 쪽수 : 326쪽
· 출판일 : 2007-11-01
목차
제1부 한국의 창조신화 연구
1. 서론
1) 연구 목적
2) 연구사 및 방법론
2. 창세신화의 창조신화적 성격과 의미
1) <창세가> 계열
(1) 의식의 불완전한 출현: 우주 창조
·천지개벽: 무의식으로부터 의식의 분리
·창세신의 거인성: 세계를 형성하는 질료
·꽃피우기 경쟁: 꽃과 우주세계의 동질성
·창세신의 대식성: 자기강화를 위한 의식의 노력
·여러 개의 해와 달: 의식 출현 초기의 불안정성
·최초의 인류는 불구자
(2) 의식의 출현: 인세 창조
(3) 전체정신의 실현: 신들의 세계와의 교통
·제석신과 당금애기의 결합: 의식의 무의식으로의 복귀
·출생의 미스터리와 부계의 이중 계보
·신의 지상적 육화로서의 삼태자
·박씨: 내적 변화의 상징
·입무의례의 반영으로서의 <당금애기>
·<당금애기>의 현대적인 의미
(4) 무속신화의 변이과정 검토
2) <천지왕본풀이> 계열
(1) 우주 창조: 교술에 의한 전개
(2) 인세 창조: 서사에 의한 전개
① 수명장자 장치: 카오스의 삼각관계
② 대별왕과 소별왕의 성격과 의미
·쌍둥이신: 정신의 대극성
·기타 신화에서의 쌍둥이 모티프
(3) <천지왕본풀이>의 변환신화적 성격
3. 가택신화의 창조신화적 성격과 의미
1) <문전본풀이>
(1) 녹디생인의 출생과 모계의 이중 계보
·노일저대딸: 양모와 친모의 이중적 성격
·숫자 7의 상징성
(2) 녹디생인의 상징적 죽음
·칼: 의식과 리비도의 상징
(3) 녹디생인의 재생: 세계의 새로운 출현
·생물들의 탄생과 예산국의 부활
·그릇과 시루: 어둠과 빛의 상징
2) <성주풀이>
3) 집과 세계의 신화적 동질성
(1) 세계수로서의 성주목
(2) 물과 집의 이원 구조
·원초적인 물: 세계가 형성되는 토대
·<용놀이>와 <뱀장사놀이>의 상징성
·공간에 대한 인간의 심리적 반응
4. 사찰설화와 치병굿의 창조신화적 성격과 의미
1) 처용설화
(1) 연구사 검토
(2) 7명의 용의 자식: 의식 출현 초기의 불안정성
(3) 처용과 역신의 삼각관계: 카오스의 상징
(4) 처용의 노래: 어둠을 가르는 빛의 노래
·세밑 의례 처용무: 세계의 출현을 예고하는 빛의 춤
(5) 세계의 중심으로서의 사찰
2) <영감놀이>
·죽음과 재생에 의한 치병의 원리
5. 제주도 堂신화의 창조신화적 성격과 의미
1) <송당본풀이>
(1) <서귀리 본향본풀이>
(2) 일뢰또의 출생: 모계의 이중 계보
(3) 일뢰또의 죽음과 재생
2) <토산 웃당본풀이>
6. 결론
제2부 달신화 전승 연구: <연오랑 세오녀>와 <사금갑>을 중심으로
1. 서론
2. <연오랑 세오녀>
1) <연오랑 세오녀>와 천체신화
·천체의 운행 주기: 죽음과 재생의 드라마
2) 달신과 직녀신으로서의 세오녀
(1) 만물의 위대한 어머니인 달
(2) 세계창조로서의 베짜기
3. <사금갑>
1) 오기일과 농경의례
2) 비처왕의 일화와 달의 운행 주기
·화살의 상징성: 리비도의 역동성
4. 달신화 전승의 시대적 변화
5. 결론
[보록]: 중국의 <예(?)신화> 분석
<세경본풀이> 연구: 입무의례 모티프를 중심으로
1. 서론
2. 전체정신의 실현으로서 자청비의 행적
·자청비의 출생담: 전체성으로의 지향
·문도령과의 만남과 이별: 내적인 남성과의 결합
·집단무의식의 상징으로서 지혜의 책
·새로운 탄생을 위한 자청비의 시련
·천상에서의 며느리 자격시험: 내림굿의 성공적 통과
3. 농경신으로서의 자청비
1) 자청비의 순환적 공간 이동
·서천꽃밭: 대극합일의 공간
·지상과 서천꽃밭의 순환적 이동: 곡물신의 죽음과 재생의 주기
2) 농경신화에서 무속신화로의 변이
4. 정수남의 입무의례와 수렵문화적 성격
1) 정수남의 죽음과 재생: 샤먼의 입무의례 반영
(1) 1차적 공간 이동: 입무의례 전의 이상 징후
(2) 2차적 공간 이동: 수렵문화적 입무의례
·생명과 영혼의 원천으로서 뼈
·정수남과 자청비의 관계: 샤먼 후보자와 입무스승
5. 결론
참고문헌
찾아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