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사회복지학
· ISBN : 9788930316835
· 쪽수 : 228쪽
· 출판일 : 2015-07-01
책 소개
목차
제1장 서론
1. 거주 노인 중심 노인장기요양시설 도입의 필요성
2. 연구의 목적과 내용
3. 자료 및 연구 방법
1) 양적 조사
2) 질적 조사
3) 조사 응답 노인요양시설 및 응답자의 일반적 특성
제2장 노인장기요양시설의 문화 변화와 거주자중심케어
1. 노인장기요양시설의 문화 변화
1) 미국 노인장기요양시설의 역사적 특성과 문화 변화의 등장 배경
2) 문화 변화의 개념
3) 문화 변화의 구성 요인
4) 문화 변화와 관련한 국내외 연구 동향 검토
5) 문화 변화의 구체적 실천 모델
2. 노인장기요양시설의 거주자중심케어
1) 거주자중심케어의 개념과 특성
2) 거주자중심케어의 성과
3) 거주자중심케어의 측정 방법
제3장 외국 노인장기요양시설의 거주자중심케어 사례
1. 미국의 경험: 캔자스 주의 사례를 중심으로
1) 노인장기요양시설의 문화 변화
2) 미국 문화 변화 운동의 등장과 역사: 연방 정부?주 정부의 변화와 지원을 중심으로
3) 캔자스 주의 노인요양시설 문화 변화 사례
4) 캔자스 주 소재의 성공적 노인요양시설 사례
5) 캔자스 주 사례의 함의
2. 호주의 경험: Eden Alternative 모델의 도입 사례
1) Eden Alternative의 발전 과정
2) 기존 노인요양시설의 ‘3가지 고질적 문제(plagues)’
3) Eden Alternative의 핵심 가치
4) 호주와 뉴질랜드 Eden Alternative(EiON)의 운영
5) Eden Alternative의 적용 사례: 호주 ‘Anam Cara’
6) 한국 노인요양시설에 주는 시사점
제4장 한국 노인장기요양시설의 현황 및 거주자중심케어 실태
1. 노인장기요양시설의 현황 및 과제
1) 노인요양시설(노인요양공동생활가정 포함) 현황
2) 노인장기요양보험 전체 인정자 수 및 등급외자 현황
3) 노인장기요양기관 전문 인력 현황
4) 국내 노인장기요양시설이 해결해야 할 과제
2. 노인장기요양시설의 ‘거주자중심케어’ 실태
1) 거주 노인의 자율성 정도
2) 거주 노인의 개인적 특성에 대한 배려 정도
3) 개별 거주 노인에 대한 이해 정도
4) 거주 노인의 관계 형성 지원 정도
5) 거주 노인을 위한 편안한 케어의 정도
3. ‘거주자중심케어를 위한 노인요양시설의 환경 지원’ 실태
1) 요양시설의 개별화된 환경 지원 정도
2) 거주 노인을 위한 업무 노력의 정도
3) 시설의 관리 구조 정도
제5장 거주자중심케어의 영향 요인, 발생 경로, 그리고 성과
1. 국내 노인장기요양시설의 거주자중심케어 도입을 위한 탐색적 접근
2. 거주자중심케어의 영향 요인(방해 요인) 및 발생 경로
1) 거주자중심케어의 영향 요인
2) 거주자중심케어의 방해 요인
3) 거주자중심케어의 발생 경로
3. 거주자중심케어의 성과
제6장 한국 노인장기요양시설의 거주 노인 중심으로의 문화 변화를 위한 정책 방향
1. 거주자중심케어 모델 확산을 위한 제도적 접근
1) 공공 부문
2) 민간 부문
2. 거주자중심케어 모델 확산을 위한 전략적 접근
1) 성공 사례 공유
2) 컨설팅을 통한 인증
3) 교육 훈련
4) 인센티브 프로그램
5) 전담 센터 설치 운영
6) 서구 모델을 응용한 한국 모델 개발 보급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