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공학계열 > 컴퓨터공학 > 컴퓨터공학/전산학 개론
· ISBN : 9788931423648
· 쪽수 : 792쪽
· 출판일 : 2002-12-28
책 소개
목차
Part 1 유닉스,리눅스 환경에서 프로그래밍 시작하기
Chapter 1 유닉스,리눅스 첫 걸음
1. 유닉스와 C 언어와의 만남
2. 유닉스의 계보를 잇는 리눅스와 GNU 소프트웨어
3. 유닉스 프로그래밍을 위해 갖추어야 할 환경
4. 꼭 알아야 할 기본적인 유닉스 명령어들
5. 요약
Chapter 2 유닉스에서 C 프로그래밍 시작하기
1. C 프로그래밍을 위한 첫 단계 에디터와 컴파일러 준비하기
2. 단순하지만 강력한 기능으로 무장한 텍스트에디터 Vi
3. 너무나도 유명한 오픈 소스 컴파일러 gcc 사용법
4. 궁금증을 풀어주는 온라인 도움말, 맨 페이지 활용하기
5. 함수에서 발생하는 에러 처리하기
6. 시스템 콜과 라이브러리 함수의 관계
7. 요약
Part 2 C 프로그래밍 기반 다지기
Chapter 3 C 언어의 자료형
1. C 언어는 자료형을 엄격히 관리한다
2. 변수란 무엇인가
3. 변할 수 없는 데이터 '상수'
4. 요약
Chapter 4 문장, 수식, 연산자
1. 기본적인 문법은 몸으로 익혀라
2. 기본적인 연산자
3. 연산자의 우선 순위와 결합 방향
4. 그 밖의 연산자
5. 비트 연산자
6. 요약
Chapter 5 제어 구조
1. 참, 거짓으로 프로그램 흐름을 제어하는 분기 구조
2. 지정된 구간을 반복하는 구조 '루프'
3. goto 문
4. switch 문을 이용한 다중 선택 구조
5. 요약
Chapter 6 함수 다루기
1. 함수란 무엇인가
2. 라이브러리 함수의 사용
3. 효과적인 반복 작업을 수행을 위한 선택 '재귀 함수'
4. 보다 복잡한 함수 이용하기
5. 요약
Chapter 7 배열과 포인터
1. 배열이란 무엇인가
2. 주소를 저장하기 위해 사용되는 변수 '포인터'
3. 배열과 포인터
4. 2차원 배열과 이중 포인터
5. 요약
Chapter 8 문자열과 기본적인 입출력
1. 문자열이란?
2. 기본적인 I/O 함수
3. 문자열 처리 함수
4. 요약
Chapter 9 구조체와 공용체
1. 구조체
2. 구조체와 포인터
3. 공용체
4. 비트필드
5. 요약
Chapter 10 파일과 스트림
1. 파일과 스트림
2. 파일 다루기
3. 파일 다루기 예제
4. 요약
Chapter 11 C 전처리기
1. 전처리기란 무엇인가?
2. 매크로 정의
3. 헤더 파일 포함하기
4. 조건부 컴파일
5. 요약
Chapter 12 스토리지 클래스와 모듈화
1. 메모리 배치
2. 스토리지 클래스
3. 정적 외부 변수와 정적 함수
4. 모듈화 프로그래밍
5. 요약
Chapter 13 메모리 다루기 고급
1. 동적 메모리 활당
2. 메모리 관련 함수들
3. 도서 목록 관련 프로그램 개발
4. 요약
Part 3 유닉스/리눅스 프로그래밍
Chapter 14 파일 입출력
1. 파일 디스크립터
2. 시스템 콜을 이용한 파일 입출력
3. open 함수
4. creat 함수
5. close 함수
6. lseek 함수
7. read 함수
8. write 함수
9. 파일 입출력 함수들을 이용한 예제 소스 코드
10. 커널의 파일 입출력 정보 관리
11. dup 함수
12. fcnti 함수
13. 원자성 오퍼레이션
14. 스트림과 표준 입출력 라이브러리
15. 표준 입출력 라이브러리에서의 버퍼링
16. 요약
Chapter 15 파일 및 디렉토리 다루기
1. 유닉스의 파일 시스템
2. 파일 유형
3. 파일 접근 권한과 소유자
4. 스트키 비트
5. stat, lstat, fstat 함수
6. 파일 접근 권한과 소유자에 관한 함수들
7. 파일 링크와 관련된 함수들
8. utime 함수
9. 디렉토리와 관련된 함수들
10. 요약
Chapter 16 프로세스 다루기
1. 프로세스 ID
2. 환경변수
3. 사용자 ID와 사용자 그룹 ID
4. 프로세스의 종료
5. fork 함수
6. wait, waitpid 함수
7. exec 함수
8. vfork 함수
9. system 함수
10. 프로세스 그룹
11. 세션
12. 제어 터미널과 작업 제어
13. 요약
Chapter 17 시그널
1. 시그널이란?
2. 시그널의 발생
3. 시그널의 처리
4. 시그널의 종류
5. 시그널 핸들러 등록하기
6. 시그널 핸들러 처리시 문제점들
7. 시그널 블로킹과 시그널 셋
8. 시그널 핸들러 등록하기
9. 시그널을 이용한 좀비 프로세스 피하기
10. sigsuspend 함수
12. kill, raise 함수
13. alarm 함수
13. pause 함수
14. abort 함수
15. sleep 함수
16. 요약
Chapter 18 IPC(InterProcess Communication)
1. IPC란?
2. 파이프
3. popen, pclose 함수
4. FIFO
5. 요약
Part 4 네트워크 프로그래밍
Chapter 19 네트워크 프로그래밍의 첫걸음
1. TCP/IP의 개요
2. 소켓 API에 대한 소개
3. 소켓 프로그래밍을 하기 위한 준비 운동
4. 기본적인 소켓 API 함수들
5. 요약
Chapter 20 기본적인 소켓 프로그래밍
1. 소켓의 전반적인 동작
2. TCP 서버 프로그래밍
3. TCP 클라이언트 프로그래밍
4. TCP 에코 서버/클라이언트의 사용
5. UDP 서버 프로그래밍
6. UDP 클라이언트 프로그래밍
7. UDP 에코 서버/ 클라이언트의 사용
8. 요약
Chapter 21 추가적인 소켓 프로그래밍
1. 동시 동작서버
2. SIGCHLD 시그널 처리
3. EINTR 처리
4. uname 서버와 클라이언트 예제
5. 요약
Appendix 부록
A. 라이브러리 활용
B. make의 사용
C. gdb의 사용
D. 정수 데이터 다루기
E. 참고할 만한 웹 사이트, 참고서적
찾아보기